번 호
  139
작성자
  4
작성일
  2006-12-06 오전 4:30:32
조회수
  605 회
仄(측)

*【仄】(기울 측)
총4획:人-2획,〔職〕
(中) zè (日) そく(カタムク)

▣ 字解(자해) ▣
1. 기울다. 한쪽으로 기욺. 昃과 通함. 每旦視朝 日仄乃罷<後漢書>
2. 옆. 곁. 側과 通함. 罷退外親 及旁仄素餐之人<漢書>
3. 희미하다. 어렴풋함. 帝至尊嚴 鬼至幽仄<陸龜蒙>
4. 불안하다. 내심(內心) 불안함. 衷懷歉仄<紅樓夢>
5. 몰래. 자신의 겸사(謙辭). 竊值寰海闢 仄見圭緯昌<江淹>
6. 측운(仄韻). 사성(四聲) 중 상성(上聲)ㆍ거성(去聲)ㆍ입성(入聲). 上去入爲仄聲<沈約>
7. 돈 이름. 赤仄.

▣ 用例(용례) ▣
[仄起]<측기> 한시(漢詩)에서 기구(起句)의 둘째 글자에 측운(仄韻)을 쓰는 일. 또는, 그 글자. ↔평기(平起).
[仄陋]<측루> 낮은 신분. 측루(側陋).
[仄目]<측목> 곁눈. 또는, 그 눈으로 봄.
[仄聞]<측문> ①얼핏 풍문에 들음 ②남의 말을 잠깐 들음.
[仄斜]<측사> 기욺. 경사(傾斜).
[仄聲]<측성> 한자의 상성(上聲)ㆍ입성(入聲)ㆍ거성(去聲). 또는, 그에 해당하는 76운자(韻字). ↔평성(平聲).
[仄悚]<측송> 두려워 불안함.
[仄室]<측실> ①경대부(卿大夫)의 서자(庶子). ②첩(妾). 측실(側室).
[仄韻]<측운> 사성(四聲)중에서 상성(上聲), 거성(去聲), 입성(入聲)에 속하는 운(韻). ↔평운(平韻).
[仄日]<측일> 지는 해. 사양(斜陽).
[仄入]<측입> 시(詩)의 변격(變格)으로서 율시(律詩) 여덟 구의 첫째 글자를 측운(仄韻)으로 쓰는 일.
[仄字]<측자> 사성(四聲) 가운데 상성(上聲)ㆍ거성(去聲)ㆍ입성(入聲)에 딸린 한자. 곧 측운(仄韻)의 한자. 한문의 시나 부를 지을 때 염을 보는 데 쓰임. 측성자(仄聲字).
[仄注冠]<측주관> 양 옆이 우뚝 솟아나고 끝이 아래로 숙은 관. 측주(側注).
[仄慝]<측특> 달과 해의 운행(運行)이 어긋나, 음력 초하루에 달이 동쪽에 솟는 일.
[仄行]<측행> 모로 걸음. 비뚜로 걸음. 측행(側行).

패스워드 :

★전자자전★ 한자박사 제공
일련번호
한자(음)
총획(總劃)
작성일
조회수
136
亿(억)
3
2006-12-06
109
137
什(십,집)
4
2006-12-06
155
138
仁(인)
4
2006-12-06
384
139
仄(측)
4
2006-12-06
139
140
仇(구)
4
2006-12-06
199
141
今(금)
4
2006-12-06
266
142
介(개)
4
2006-12-06
306
143
仍(잉)
4
2006-12-06
258
144
仂(륵,늑,력,역)
4
2006-12-06
150
145
仃(정)
4
2006-12-06
146
146
仆(부)
4
2006-12-06
131
147
仈(팔)
4
2006-12-06
117
148
仉(장)
4
2006-12-06
106
149
仏(불)
4
2006-12-06
102
150
仔(자)
5
2006-12-06
173
   총 15270건의 글 (10/1018)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