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문집
서원
누정
고문서
학맥도
급문록

 

서원편 - 陶山書院(도산서원) -

 

▶ 관련 글

陶山雜詠十八絶

                 <陶山書堂>      <도산서당>
                大舜親陶樂且安      순임금 친히 질그릇 구우니 즐겁고 또 편안하였으며,
                淵明躬稼亦歡顔      도연명 몸소 농사지으니 또한 얼굴에 기쁨 넘치네.
                聖賢心事吾何得      성인과 현인의 마음쓰는 일 내 어찌 터득하리오만,
                白首歸來試考槃      흰 머리 되어 돌아와 ≪시경≫의 <고반시> 읊어야지.
                
    

                 <巖栖軒>      <암서헌>
                曾氏稱顔實若虛      증자는 안연 칭찬하여 찼는데도 빈 듯하다 하였고,
                屛山引發晦翁初      유병산은 끌어서 펼쳐 주었네, 회옹을 처음으로.
                暮年窺得巖栖意      늘그막에야 알게되었네, 바위 틈에 깃든다는 뜻을,
                博約淵冰恐自疎      널리 요약함과 못에 다다른 듯 얼음 밟듯함 스스로 멀리할까 걱정되네.
                
    

                 <玩樂齋>      <완락재>
                主敬還須集義功      경을 주로함은 또한 모름지기 의를 모으는 공부이니,
                非忘非助漸融通      잊지도 말며 조장하지도 않는다면 차츰차츰 두루 통달하게 되리.
                恰臻太極濂溪妙      꼭 태극의 염계의 오묘함에 도달한다면,
                始信千年此樂同      비로소 믿겠네, 천년에 이 즐거움 똑같음을.
                
    

                 <幽貞門>      <유정문>
                不待韓公假大龜      한문공의 큰 거북 빌림 기다리지 않아도,
                新居縹緲映柴扉      새 거처에 아득하게 사립문 비치네.
                未應山徑憂茅塞      산의 오솔길 풀에 덮힐 것 걱정할 것 없고,
                道在幽貞覺坦夷      도 그윽하고 곧은데 있으니 탄탄하고 평평함 느껴지네.
                
    

                 <淨友塘>      <정우당>
                物物皆含妙一天      온갖 사물 모두들 온 하늘의 오묘함 머금었는데,
                濂溪何事獨君憐      주렴계는 어쩐 일로 유독 그대만 어여삐 여겼던가?
                細思馨德眞難友      향기로운 덕 곰곰이 생각해보니 정말 벗하기 어려운데,
                一淨稱呼恐亦偏      한마디로 깨끗하다고만 칭찬한 말 또한 치우친 듯하네.
                
    

                 <節友社>      <절우사>
                松菊陶園與竹三      소나무와 국화 도연명의 동산에 대나무 더불어 셋인데,
                梅兄胡柰不同參      매화 형은 어찌하여 함께 들지 않았던가?
                我今倂作風霜契      내 이제 바람과 서리의 서약 함께 맺었으니,
                苦節淸芬儘飽諳      굳은 절개 맑은 향기 너무나 잘 아네.
                
    

                 <隴雲精舍>      <농운정사>
                常愛陶公隴上雲      늘 도홍경의 언덕 위의 구름 사랑하거늘,
                唯堪自悅未輸君      다만 제 스스로 즐길 만할 뿐 임금님께 보내 드릴 수는 없다네.
                晩來結屋中間臥      늘그막에 집 하나 얽어 그 가운데 누워 있으니,
                一半閒情野鹿分      한가로운 정 절반 들사슴이 나누어 갖네.
                
    

                 <觀瀾軒>      <관란헌>
                浩浩洋洋理若何      넘실넘실 흘러가는 저 이치 어떠한가?
                如斯曾發聖咨嗟      「이와 같구나」일찍이 성인께서 탄식하셨다네.
                幸然道體因玆見      본래부터 도의 본체 이것으로 볼 수 있으니,
                莫使工夫間斷多      공부 중간에 끊어지는 일 많지 않게 하려므나.
                
    

                 <時習齋>      <시습재>
                日事明誠類數飛      날로 밝음과 정성 일삼음 새가 자주 나는 것과 비슷하고,
                重思複踐趁時時      거듭 생각하고 거듭 실천하여 그때그때 쫓아가네.
                得深正在工夫熟      얻음 깊어감은 바로 공부 무르익음에 있으니,
                何啻珍烹悅口頤      어찌 진귀한 요리 입만 즐겁게 함과 비교하겠는가?
                
    

                 <止宿寮>      <지숙료>
                愧無雞黍謾留君      닭잡고 기장밥 지어 잠깐 그대 붙들지 못함 부끄러우나,
                我亦初非鳥獸羣      나 또한 처음부터 새 짐승과 무리짓고 살지는 않았다네.
                願把從師浮海志      원컨대 스승 따라 바다로 떠다닐 뜻 가지고,
                聯床終夜細云云      침상 나란히하고 밤새도록 자세히 이야기나 해보세.
                
    

                 <谷口巖>      <곡구암>
                東躡江臺北入雲      동쪽으로는 강가의 높은 곳 오르고 북으로는 구름까지 들어가,
                開荒谷口擬山門      골짜기 입구 틔워서 산의 문 본땄네.
                此名偶似前賢地      이 이름 마침 전대의 선현 있던 곳과 비슷하니,
                耕隱風聲詎易論      밭갈이에 은거하는 명예 어찌 쉽게 논할텐가?
                
    

                 <天淵臺>      <천연대>
                縱翼揚鱗孰使然      날개 솟구치고 지느러미 놀림 누가 그렇게 시켰던가?
                流行活潑妙天淵      자연의 운행 활발하니 하늘과 못 오묘하네.
                江臺盡日開心眼      강가 높은 곳에서 하루 종일 마음의 눈 열려,
                三復明誠一巨編      밝음과 정성 세 번이나 반복하네 한편 훌륭한 저서의 가운데서.
                
    

                 <天光雲影臺 或只稱天雲臺>      <천운대>
                活水天雲鑑影光      살아 있는 물 하늘과 구름의 그림자와 빛 비추고,
                觀書深喩在方塘      책 보는 깨우침은 네모 반듯한 연못에 있네.
                我今得意淸潭上      내 이제 뜻 얻었네 맑은 못가에서,
                恰似當年感歎長      마치 그 해에 감탄 길게 한 것과 같네.
                
    

                 <濯纓潭>      <탁영담>
                漁父當年笑獨醒      어부 그 당시 홀로 깬 것 비웃었는데.
                何如孔聖戒丁寧      어떠한가? 성인이신 공자 훈계 친절함이.
                我來叩枻吟風月      내 와서 노 두드리며 바람과 달 읊조리니,
                卻喜淸潭可濯纓      오히려 기쁘네, 맑은 못에서 갓끈 씻을 만함이.
                
    

                 <盤陀石>      <반타석>
                黃濁滔滔便隱形      누런 탁류 도도히 흐르니 형태 감추었다가,
                安流帖帖始分明      편안한 물결 느긋하니 비로소 분명해지네.
                可憐如許奔衝裏      아리땁도다! 얼마나 내달아 부딪히는 가운데서도,
                千古盤陀不轉傾      천고에 펀펀하고 비스듬함 기울어지지 않네.
                
    

                 <東翠屛山>      <동취병산>
                簇簇羣巒左翠屛      빽빽한 뭇 봉우리 왼쪽의 취병산,
                晴嵐時帶白雲橫      개인날 남기 이따금 띠고 있네, 흰 구름 걸쳐서.
                斯須變化成飛雨      잠깐 만에 변화하여 날리는 비 되니,
                疑是營丘筆下生      영구가 붓 대어 생겨난 것이리.
                
    

                 <西翠屛山>      <서취병산>
                嶷嶷羣峯右翠屛      우뚝우뚝한 뭇 봉우리는 오른쪽의 취병산,
                中藏蘭若下園亭      중턱에는 절 감추고 아래로는 뜰 안에 정자 있네.
                高吟坐對眞宜晩      격조높이 읊조리며 마주하고 앉기에는 저녁이 정말 알맞아,
                一任浮雲萬古靑      한번 뜬 구름에 내맡기니 만고에 푸러르네.
                
    

                 <芙蓉峯 趙上舍士敬家, 在峯下>      <부용봉 진사 조목의 집이 봉우리 아래에 있다>
                南望雲峯半隱形      남쪽으로 구름낀 봉우리 바라보니 반은 형태 감추었으나,
                芙蓉曾見足嘉名      부용봉은 진작 보이니 아름다운 이름에 값하네.
                主人亦有烟霞癖      주인 또한 산수를 좋아하는 성벽 가지고 있으나,
                茅棟深懷久未成     띠집 지으려는 깊은 마음 오래도록 이루지 못했네.

書堂偶吟

                幽幽寂寂復深深,      그윽하면서 적적하고 또 다시 깊은데,
                落落休休得得吟.      낙락하고도 휴휴히 득음을 얻었네.
                明月有情頻入戶,      밝은 달은 정이 있어 자주 문안으로 들고,
                淸風不斷每盈襟.      맑은 바람은 끊어지지 않고 매번 옷깃 가득.
                重重庭樹層層影,      겹겹 뜰의 나무는 층층이 그림자 드리우고,
                色色山禽款款音.      가지가지에는 산새들이 정겹게 지저귀네.
                六十八年吾已老,      예순여덟 내 나이 이미 늙었으니,
                東皐身世葛天心.     동고의 신세요, 갈천의 마음일세.

 

書堂閒吟

                春晩湖山物色開,      봄이 저무니 호수와 산 녹음 짙은데,
                一堂高處意悠哉.      서당 높은 곳엔 뜻이 한가롭도다.
                墨峯相對雲舒卷,      묵봉을 대하니 구름 서서히 걷히고,
                硯道長看鷺去來.      연도에는 길게 해오라기 오감 보이네.
                曲水重洲饒勝槩,      굽은 물 겹겹의 섬 경치가 좋을시고,
                蒼松白石絶纖埃.      푸른 소나무 흰 돌이 티끌세상 끊었네.
                散人七十猶强健,      산인(散人) 나이 칠십에 오히려 강건하여,
                酒興詩狂兩傑魁.     술에 흥겹고 시에 미침 모두 뛰어났다네.

 

陶山書院次月川丈韻四首

                一道江流兩岸秋,     

                胸中舊恨與新愁.     

                逢場莫緩行盃手,     

                忍負黃花對白頭.     

                
    

                今秋悲思倍前秋,     

                處處干戈物物愁.     

                千里美人消息斷,     

                愛而搔首暮江頭.     

                
    

                過盡冬春又夏秋,     

                一身兼摠四時愁.     

                筭來憂患年來劇,     

                塵世如何不白頭.     

                
    

                平戎何日罷防秋,     

                鐵鎧霜多壯士愁.     

                四海干戈今二載,     

                星文夜夜看旄頭.    

 

 

祗謁陶山尙德祠

                靑山深處白雲堆,     

                夫子宮墻萬古開.     

                四十年來生晩歎,     

               
 함江風月獨徘徊.(*氵菡)    

 

陶山書院月川趙公從享時告元位退陶李先生祝文

於惟先生道學之宗倡明絶緖日星大東遡沿洛寤寐考亭標的斯文發揮聖經聞風色悅覿德心醉多士雲趨講劘道義鼓篋昇堂儘多英賢惟時月川聞道最先敬義明誠篤信師說硏精性理討論心訣奧旨宏綱毫分縷析培壅根本攘斥禪寂牖我來學扶我民彛魯無君子斯焉取斯進退有義幾辭乘除高蹈雲山屢空晏如壁立之操嚴毅之量砥柱頹波士皆尊仰眷玆陶丘講學之所有儼廟貌式陳簠筥爰倣古事禮合從享德宇昭臨庶幾顧饗

從享位月川趙公奉安文

天性謹嚴學問淵篤壁立之操迵扳流俗進道之誠比堅金石先生挺生闡明絶學摳衣當日獨立庭雪時雨春風莪長蘭茁有倡斯和志同德合明誠兩進敬義偕立討論經訓講劘心法龍門餘韻更理琴南丈從容道義嗟切末學多岐異歸殊轍聖路蓁塞陸海沉沒不有明辨孰開後覺尊信程朱攘斥禪寂面命提耳幾多誘掖簡牘論難扶植正脉如水朝東如矢注的指引眞訣有此啓迪業勤師傳功護道適難進易退屢辭徵辟白道丘園簞瓢自樂頹波著脚大有定力素履貞吉淸風如昨人多景慕士爭矜式豈但祭社可配尙德恭承綸命敬涓良吉爰祔廟食享祀芬苾有泂玆觴庶幾昭假

 

陶山書堂營建記事

嘉靖六年丁巳 先生得書堂基址於陶山之南 有感賦二詩 其後再往視陶山南洞 有五言古詩 遂欲移建書堂於此而有浮屠法蓮者 請 幹其事而未及結屋 戊午七月 先生赴召入都 寫屋舍圖子一本 書與碧梧李丈 使之指授蓮僧而結構焉 又與趙士敬書曰 陶山精舍之卜 最是晩來關心事 蓮闍梨勇有擔當 不待吾歸而欲事營葺 今聞蓮僧化去 有此魔事云云 法蓮死後 淨一者繼而營建 與蘭秀書曰陶山事 有僧 欲任陶瓦 次第將有可望 然豈如蓮僧之勇自擔當耶云云 庚申七月始役 十日月 堂成 堂凡三間 軒曰巖棲 齋曰玩樂 合而扁之曰陶山書堂 堂之西構精舍八間 軒曰觀瀾 齋曰時習 寮曰止宿 合而扁之曰隴雲精舍 其所以堂必南向 正方位便行禮也 齋必西偏 對園圃尙幽致也 其餘房室廚藏門戶 皆有意思 所揭扁額皆先生手書而敬齋箴白鹿洞規名堂室記亦揭于 壁上 自是又號陶翁 先生筆法 端勁雅重非如他名家尙奇怪而已 或因人求懇時 書屛簇而未嘗見其對人揮灑 或當寫未畢而有自外至者 雖常居門下者 亦必藏而待之 其謹嚴類如此 巖栖軒位勢面陽用三間之制而三面立退柱 東面覆翼簷故 頗極瀟灑 室中西北壁 造書架而西則隔限半寢而空其中 蘭秀問書架之不設燕寢下方者亦有意乎 先生曰此是余之寢處及起居之所 經訓在後 背之未安故 如是爾 中有古書千餘卷 分揷左右 書架又有一花盆一書床一硯匣一几一杖寢具簟席香爐渾天儀 南壁上面後 橫架置衣箱書笥 此外無他物 書架所儲書籤 整齊不亂 每於槐夏淸明之日 出而曝曬 與溪上所藏書 互相往來故 時有盈縮 嘗使蘭秀出兩處書簿 通共計數凡一千七百餘卷 侍座之日 先生或有考覽處 命抽第幾架第幾行第幾卷某 書而抽出撿視 無一差誤 先生之力量精神 亦可見其一端矣 節友社 在巖栖軒東麓下 辛酉三月所築也 先生一日 自溪上步出陶山 有詩一絶曰花發巖厓春寂寂 鳥鳴澗樹水潺潺 偶從山後攜童冠 閒到山前問考槃 蘭秀嘗問此詩有上下同流各得其所之妙而與曾點浴沂氣像濂溪庭草一般意思同 先生曰李德弘輩 亦有此語而但推言之太過耳 淨友塘 堂之東偏 鑿小方塘 種蓮其中 取濂溪之意名以淨友 幽貞門 堂前出入處掩以柴扉 名以幽貞 取易屨道但垣幽人貞吉之意也 天淵臺 戊午三月令僧愼如輩 臨水築臺 始名滄浪者此也 臨江斗截 境界敞豁 甲子夏 蘭秀自孤山 往拜先生 先生杖屨逍遙於臺上 時 風日暄姸 景物和暢 天理流行 無所滯礙之妙 可得於仰觀府察矣 先生曰今日遇會心境 君此際來到 又得會心人矣 因進而問曰鳶飛魚躍 子思子引之 以明上下昭(?)著之理而特言鳶之飛魚之躍 何也 先生曰凡事物之自然者是理也 鳶之戾天魚之躍淵 豈勉强而爲之歟 纔涉於有所作爲 非理之自然也 天光雲影臺 癸亥三月所築也 在天淵臺西麓上 與天淵臺齊等 一名天雲臺 谷口門在天淵臺雲影臺兩麓間出入之洞門一名谷口巖 濯纓潭 在天淵臺下 辛酉四月旣望 泛舟濯纓潭 先生令姪僑孫安道及李宏仲 以淸風明月 分韻 得明字 有不知百歲通泉下 更有何人續正聲之句 盤陀石 在濯纓潭中 水漲則八水中 記中與齊俱入四字 語出莊子 先生借用之耳 齊水之旋磨處也 石磵臺 在雲影臺西聲洞洞口 壬戌三月 先生乘舟抵靑溪 名其臺曰靑溪 卽石磵臺也 每年夏秋之交 官家築漁梁於此臺下故 先生未嘗 往來焉 嘗與聾巖李先生 遊此臺 有踏靑詩 李剛而來留陶山數日而還 先生送別于此臺 先生書唐人詩他日相思來水頭之句 以贈辛酉李君美與趙士敬琴士任金愼仲琴夾之壎之金惇敘及蘭秀 約搆數間齋室於隴雲之側 以爲讀書肄業之所 先生嘉其意而許之 李君欲張大其事 兩度出文 遠近願入者亦多 以至設施之境矣 先生與士敬書曰僑姪輩 欲於陶山 構小屋 意與聞遠德弘等 隨便草造故 不爲禁止 今 聞兩道出回文 與於其事者二十餘 人云 爲今之計 不得已又當止之 速以此意 通于聞遠 若往竹溪必過榮川而見僑等 詳告停之云云 其後始事諸人 與鄭士誠搆齋於前日所擬之地 名曰亦樂齋 先生著記在辛酉十一月卽先生回甲之歲 遞參判移拜同中樞府事時也 有陶山言志詩及雜詠詩 明宗大王丙寅 自上 命畫陶山堂齋及遠近山川形勢 令礪城君宋寅 書記與詩 列爲屛風 張之臥內 隆慶四年庚午五月 先生出陶山 與諸生 講啓蒙 九月又講心經啓蒙(附先生言行數條) 萬曆二年甲戌春 一鄕士子議陶山 先生講道之所 不可無書院 乃就書堂後數步而闢地營建

돌아가기

Copyright ⓒ 2004 국제퇴계학회 대구경북지부(한자박사 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