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응규(黃應奎)
생몰연대
:1518(중종13) -1598(선조31)본관 : 창원(昌原) 호 : 송간(松澗) 별칭 : 자
중문(仲文) 활동분야 : 주요저서 : 송간고(松澗稿)
家狀
公昌原黃氏
諱應奎 字仲文 自號松澗 亦曰雲松晩澗 金華山人 遠祖諱石柱 相高麗 子諱英烈 判軍簿 子諱裕 忠烈朝登第 官典客署令 有文學德行 早歿 子諱眞伯寢園署令
子諱承厚 中卽將 皆仕恭愍朝 子諱處中 我太祖朝官延日監務 子諱躔 通禮院奉禮 早休官居鄕 有先見明 子諱貴卿 贈戶曹判書 子諱希聖 有順興徙居豊基 好讀書
不應擧 贈崇政贊成 是爲公祖考 考諱士祐 崇政右贊成 判兵吏曹 有山東望 事任大提學申企齋光漢所撰碑銘 妣貞敬夫人迎日吳氏 金化縣監壽禎女 德城君李南後
正德戊寅七月十九日生公于漢城之東里第 鄭氏姑無子 襁抱而育焉 不敎而能通書 臨文先識大意 弄筆善草書 嘉靖癸卯中司馬試 遊泮爲輩頹所推 申企齋坐皐比
見而禮之曰非三代下人物 爲文尙古 不入時腔 屢擧不第 猶手不釋卷曰我自樂此 豈强爲擧子冗耶 家屢空 怡怡如也 隣有同年 爲權宰 有知公者 勸之一屈 宰亦慕公名
屢邀 公咜曰分定矣 甲子太學薦公才行 第一 於是始筮仕爲典艦司別提 俄拜金吾郞 臨囚取供立辨 要會囚無稱寃者 又轉長興庫直長 己巳秋今上謁聖別試 丙科第出身
遷典牲主簿 出爲麟蹄縣監 以病不檢屍 罷 歷調禮戶刑工正佐郞 選師儒 由直講至司成 又歷司贍禮賓宗簿三寺正 所莅不畏强禦 一心奉公 同列多憚之
公歎曰此何足以行吾志 淸道民稠吏猾 號難治 上命銓曹擇可爲守者 以公對 乙亥赴任 至則簿書雲委 過限輒空 御吏不待鞭朴 賦役先緩期會 課農柔節財用 躬儉以率之
政以養老育士爲先 不期年而治成 始公之未至也 郡有濯纓潭金公祠院之議 公樂爲成之 捐俸金折官錢 命士子幹敏有識者管之 躬自董督 三年而成 自爲文記之
又以三足堂金公逍遙堂朴公鄕賢 可祭 爲之建祠於仙巖山水之傍 二役也 民不知勞而士風丕作 洋洋有絃誦之美矣 又採民言 開雲門山路 置新倉修武庫 百廢俱興 民俗大變
樂而歌之 病將歸 髫白奔走涕泣 圍衙門環守累日 立遺愛碑 己卯補丹陽郡 土磽賦稠 人民逃散 公殫心撫字 上章陳七弊三策 蠲免百役 深山窮谷流逋雲集 修橋梁治亭院
行旅無露宿朝涉之苦 又勸父老立黨序 迎師長 訓誨子弟數年識向方 暇日幅巾藜杖 嘯詠山水間 人不知爲太守也 時遇農民男女 訪問生理疾苦 農桑佳惡 慇勳如家人親戚
百姓懷之 瓜滿借留一年 戊子夏以司贍正赴謝而已 歎曰吾老矣 秋風起矣 盍歸乎 遂掛帆而南 自是不復西 有醉吟一絶曰終南一念 未能忘 强策駑烏入洛陽
衰朽不堪供卯酉 歸船還載上來裝 後除司諫院正言 善山府使 皆不起 居鄕謝交遊 獨喜與鄕之賢子弟 論經史討文墨 遇義理是非則必明卞乃已 常曰今之世食祿 難矣
無所爲則義不可 有所爲則勢不能 自筮仕來 未嘗終一年淹洛 壬辰難 天兵南下 郡邑蕩然 無以餉 行朝亦倉皇未有命令 公時已癃病 泣曰老臣 旣不能討賊
又未及扈駕西巡 何以報效 所有家藏 皆是國恩 願罄儲以補涓埈 庶他人效之 遂納穀累百斛 繼以牛酒 該曹啓聞遂行下事目 頒示域內 人多繼之 爲諸路助邊倡 陞嘉善階
再授同知敦寧府事 公以病未謝命 陳疏 幷時務 有褒批下該曹擧行 居常 慷慨言寇賊 尙今據邊 吾死不瞑目 雖病 豈遑啓處 中夜不寐 彷徨太息 倡一鄕鼓義氣募衆聚糧
爲久遠備禦計 戊戌七月十四日 昜簀于正庵病方革 呼曰有捷音乎 又曰寇退告吾墓 因揮婦人出 促寇服來 緩聲曰吾逝矣 享年八十一 越八月二十日癸酉
祔葬于古順興墨洞子坐午向之原 夫人墓左 連月潦霖 喪車旣戒 猶不止 人報水漲難涉 夜忽開霽 星漢昭明 旣葬而雨 人異之 嗚乎 公天姿奇偉 磊落有大節
常抱激濁揚淸之志 少習文章於愼齋周公 旣而 從退溪李先生學 負笈來往 讀書訂疑 自是聞見開益德器愈崇 早有當世之志 常慕范希文先憂後樂之言 以爲士當如是
嘗讀書山寺 夢占一絶曰水北秋如錦 天西月似眉 有心悲世事 無力鑄雍熙 覺而悲吟 知不能有爲於世也 初置別業于正庵 爲講業終老之地 後築精舍於山後二澗之上
茅屋荊扉 種松以自娛 題詩曰雲松居士愛雲松 長在雲松翠白中 居士平生 以爾二物 爲莫逆 不願松爲回牛兮 不願雲爲從龍 但願不墜歲寒節 有時爲雨爲年豊 晩値黨議作
朝廷不和 益不樂俯仰則遂改命曰金華石室 有詩曰我是初平平是我 誰知松澗卽金華 白首何勞誤蠧簡書齋宜換作仙家 蓋寓言也 郡有紹修書院 久而廢弛 公殫心修復雖細事
未嘗不管幹 且以院額舊規 只聽場屋入格 大欠蒙養 別作童蒙齋 以延幼學之士 誘獎後生 俾各成就 未嘗有論辨著述而慕賢憂道之誠 老猶未替 及卒 校院儒生 爭來哭奠
淸道丹陽二郡民吏 賻哭埴門 居家篤於孝友 母夫人喪 幼尙行素 事伯氏 同財用共憂樂 同享高年 融融也 一弟早亡 內助又廢疾 敎育子女 婚嫁如已出 尙朴素喜儉約
衣止澣濯 一襲 食不二味 敎子孫不令有芬華事 擬耳面命只是勤學篤行 灑掃堂宇 沈潛書史 往往寓懷翰墨 詩尙李杜 筆法金生 所著詩文 皆不收拾 今有亂稿若干篇
藏于家 夫人驪興李氏考儀賓府都事諱壽旅 祖掌隷院司評諱之和 曾祖兵曹判書敬憲公諱繼孫 出入將相 有北門功 妣完山李氏宗室牛山君踵之女 於獻陵曾孫女
戊寅十二月十四日生 未人歸于公 婦德備 治家有法 先公三十二年丁卯九月十五日沒 未及見公及二男登第 後贈貞夫人有三男一女 長杲 先公逝 無嗣次都承旨暹
生三男四女 次應敎是 生一男 女適大司憲柳永慶 生五男三女 內外孫曾並男女三十四人 男暹謹述
墓碣銘幷序
松澗黃先生
齒下吾先人十一歲 先人 與之友 最善 山海自未冠 從之遊 先生 不以年少視 乃許以忘年之交 自吾先人下世 親舊長老淪沒殆盡 獨公在世而離違隔闊 垂數十載
歲乙未春 山海自嶺東蒙恩西還 路出竹嶺 訪公於豊之別業 公尙康健無恙 炊梁敍舊 握手而別 越三年 公計至京師 山海哭於僑舍 常謂公齡雖高
餘日尙遠會合有期而豈料嶺外一面 還成永設遂爲之哽咽 數日不能語 翌年春 公之胤承旨公 具狀走一星 乞銘于山海 且曰此先人遺命也 不獲公言而揭墓道 猶不葬也 嗚呼
山海尙忍銘公爲 第公之托銘于山海 非爲其文也 爲其知之久且深也 義無敢辭者 謹按公 諱應奎 字仲文 松澗其號也 黃氏出昌原遠祖諱石柱 相高麗有諱裕
登第官至典客署令 有文行 諱眞伯 寢園署令 諱承厚中郞將 入我朝有諱處中 官迎日縣監 務子通禮院奉禮 諱躔 於公爲高祖 有六男皆知名 內外孫名卿巨人 繼世迭出
如金沖庵淨 權判書輗 最近 曾大父諱貴卿 無忮求隱不仕 太父諱希聖 好讀書不赴擧 自順興徙居豊基 考議政府右贊成諱士祐 妣貞敬夫人迎日吳氏 靑城君季南之後
縣監壽禎之女 正德戊寅九月日生公 姑黃氏無嗣 抱而育之 嬉戱殊凡兒 不勤訓誨而論文通大義 弄筆善草書 及長 受業於周愼齋 愼齋公 器重之 癸卯中司馬試
遊泮爲輩流所推 申企齋光漢 坐皐比 禮之曰非三代下人物 爲文尙古 累擧皆不第 猶求古文不釋手曰我自樂此 豈但爲擧子業 家累空 怡怡如也 隣有同榜 爲權宰
或勸公一屈 宰亦累要 終不就 甲子太學惜公才 累薦每第一 初仕典艦司別提 旋爲金吾郞 轉長興庫扉長 己巳秋今上謁聖登丙科第 遷典牲主簿 調禮戶刑工正佐郞 選師儒
由直講司成歷司贍禮賓宗簿三寺正 所過惟竭誠奉公 會淸道有窠 銓曹以公補之 郡民稠吏猾號難治 公至則簿書雲委 過眼輒空 御下不待鞭朴 賦役不加尺寸
政以養老育民爲先 民俗大變 樂而歌之 病將歸 髫白犇走涕泣 束荊圍衙門 環守累日 未幾爲溪山 乞丹陽郡 上章蠲免 流逋雲集暇日幅巾藜杖 嘯詠泉石 勸父老立黨序
誨子弟不數年 童蒙識向方 苽滿借留一年 戊子夏如洛供仕 旣而歎曰吾老夫 秋風起 盍歸乎 遂掛帆而南不復西 晩出仕路 未展素蘊 退休田園屢除皆不就 居鄕 謝交遊
遇是非必明辨乃已 善者好之 不善者或怨之 壬辰之亂 天兵 南下 郡邑蕩然 無以餉 行朝亦倉皇未有命令 公泣曰老臣癃病 旣不及扈駕西巡 又永能荷戈討賊 何以報國
遂出穀累百 繼以牛酒 爲諸路助邊倡 事聞 賞折衝 至事日頒行 該曹計啓 乃增嘉善階再授同知敦寧府事 病難謝命 陳疏懇辭 拜時務以進 有褒 居常
慷慨言倭奴尙今據邊 吾雖衰病 豈遑啓居 倡一鄕鼓義氣 一鄕 推爲鄕兵大將 方募衆聚糧 戊戌七月十四日 易簀于別業之正庵 先一夕 麾婦人出 促冠服來
乃緩聲曰吾逝矣 享年八十一 其年八月二十日 祔葬于古順興西墨洞子坐原 夫人墓右 時連月霖潦 喪車旣戒猶不止 人報前溪漲難渡 夜忽開霽 星漢昭朗 旣葬而雨
人皆異之 嗚呼 公天姿奇偉 磊落有大節 當事無苟且 居贊成公憂 廬墓終制 於所養亦如之 母夫人喪 公尙幼 猶行素與伯氏潤奎 分憂樂共財用 家無間言 弟瑞奎早世
婚嫁其子女 猶已出 性儉約 不喜芬華 所著只澣濯一衣 誨子弟惟勤學篤行 一室書史 沈潛忘倦 往往寓懷翰墨 詩尙李杜 筆慕金生 有松間稿若于卷 公少時 讀書山房
夢占一絶曰水北秋如錦 天西月似眉 有心悲世事 無力鑄雍熙 覺而悲吟 知不能有爲於世也 晩年嘗自歎曰今之世食祿 難矣 無所爲則義不可 有所爲則勢不能 是以不求人知
通塞 一委之天 優游往來 未嘗終一年淹洛 戊子南還日 吟一絶曰終南一念未能忘 强策駑駘入洛陽 衰朽不堪供卯酉 歸船還載上來裝 觀此 可知公之懷抱也
亂時流離者坌集門巷 全活甚衆 遇族屬 必解衣與之 郡有紹修書院 學規久而寢弛 公慨然志修復 且以舊制院接 只聽場屋入格 大欠蒙養 於是作童蒙別齋 亂後猶惓惓不置
奬後生 俾各成就 鄕士皆仰之 及卒 椊儒院士 哭奠塡門 贊成身後 不幸有踣碑事 公將改竪而未果 憤功倭寇 常曰賊亡吾乃死 及病 顧二子曰以公則平賊未聞
以私則墓碣未改 吾死不暝目矣 碣文托汝曺 寇退告吾墓 屬纊日 幾不能言 諄諄說二款不絶口 病革自作畵像贊 有曰孫吳未學 國恥難雪若見子弟從外來
偶語輒問曰有捷音乎 否則愀然咄咄 夫人驪興李氏考儀賓府都事諱壽旅 祖掌隷院司評諱之和 曾祖兵曹判書敬憲公諱繼孫 出入將相 有北門功 妣完山李氏宗室牛山君踵之女
於獻陵曾孫 戊寅十二月生夫人 年十五歸于公 婦德備 治家有法 先公三十二年丁卯沒 未及見公及二男登第
贈貞夫人有三男一女長果娶士人金紳女無嗣亦先公逝次卽承政院都承旨暹娶宗室豊城君銓女生三男四女內外孫男女九人季是弘文館應敎娶士人李民秉女生一男女適兵曹判書柳永慶生五男三女內外孫男女七人
嗚呼以公之德之才 不克大鳴于時 小試郡縣 卷而退鄕里以終 玆豈非天耶 數耶 無狀 竊念平日分義 有可以爲公致力者 惟撰述文字楊幽光垂不朽而衰病所痼 神思昏瞀
不得形容大君子德儀於萬一 其負公於冥冥者多矣 只就狀中所載世系顚末 略加櫽括而系以銘 銘曰 猗黃之門維卿之昆 遠流源 才爲德飾 文以道碩且心晝躍遲試微
其終與違盍卷歸 肥遯于埛 優游養靈 命斯聽 丁時不藏 無力斯匡 但倔强聚 義于同 罄補于公 匪稱忠 吁爵之屯 得二乎尊 足式聞而積之光 歸定于蒼 豈茫茫
我最其跡 請考千億墓之石 領敦寧府事鵝城府院君李山海撰
行狀
公姓黃氏 諱應奎
字仲文 號松澗貫昌原 遠祖諱石柱 爲高麗大相 生諱英烈 憲簿判書 生諱裕 忠烈王朝登文科 典客署令 有文行 生諱眞伯 寢園署令 生諱承厚 中郞將 生諱處中
入我朝 官延日監務 生諱躔 通禮院奉禮 是爲公高祖 曾祖諱貴卿 贈戶曹判書 祖諱希聖 始自順興 徙居豊基 好讀書不應擧 贈議政府左贊成 考諱士祐 右贊成號慵軒
妣貞敬夫人延日吳氏金化縣監壽禎之女 德城君季南之後 正德戊寅九月十九日生公于漢城東里之第 鄭氏姑無子 抱而育之 自幼不勤敎而能通書 臨文識大義 弄筆善草書
少習文章 於周愼齋世鵬 又受業於退溪李先生 聞爲學之方 負笈來往 窮經訂疑 聞見益博 嘉靖癸卯中司馬 遊太學 爲輩流所推 申企齋光漢 坐皐比
見而禮之曰非三代下人物 爲文尙古 屢擧不第 猶求古文 不釋手曰我自樂此 豈强爲擧子體耶 隣有同榜 時稱權宰 或勸公一屈 宰亦慕公名而累邀之 公曰分定矣
終不就甲子太學 薦公才行第一 除典艦司別提 旋移義禁府都事 臨囚取供 立辦要會獄無寃囚 同僚皆以爲不及 遷長興庫直長 宣祖己巳秋 登謁聖丙科 遷典牲署主簿
移戶曹佐郞陞正郞 壬申除麟蹄縣監 癸酉以病不檢屍被罷歷禮刑工三曹佐正郞 選師儒 由成均館直講至司成 歷司贍禮賓宗簿三寺正 所莅竭誠奉公 不畏强禦同列憚之
公歎曰此何足以行吾志 乙亥除淸道 民稠吏猾 號難治 上命銓曹擇可爲守者 以公對 公至則簿書 雲委 過眼輒空 政以養老 育士爲先 課農桑節財用 躬儉而率之
御下不用鞭朴 賦役每緩期會 不期年而治成 採民言開雲門山路 置新倉修武庫 百廢俱興 民皆樂而歌之 病將歸 髫白奔走涕泣遮道曰公不可失 環守衙門者累日 仍立遺愛碑
己卯出守丹陽 土磽賦繁 民多逃散 公上章陳七弊三策 蠲免諸役 殫心撫字 流逋雲集 時遇農民 訪問農桑生理疾苦 慇懃如家人 民益懷之 暇日幅巾藜杖 嘯詠山水間
勸父老立黨序 迎師長 訓誨子弟 數年 蒙學識向方 修橋梁治亭院 行旅無朝涉露宿之患 及瓜 民借留一年 乙酉除司贍寺正 戊子夏 如洛供仕 旣而歎曰吾老矣 秋風起矣
盍歸乎 遂掛帆而南 不復西 後除司諫院正言 善山府使皆不起 壬辰之亂 天兵南下 郡邑蕩然 無以餉 行朝亦蒼黃 未有命令 公泣曰老臣癃病 旣不能荷戈討賊
又未得扈駕西巡 何以報國 所有家藏 皆是國恩 顧傾備以報涓埈 納穀累百斛 繼以牛酒該曹啓聞賞加通政甲午陞嘉善 再授同知敦寧府事 公病未謝命 上疏懇辭
並陳本道時務 承褒批 備邊司覆啓黃應奎 以老病閒退之人 不忘憂國之心 盡發私藏 以補軍餉 今又備陳本道財力窮乏 軍卒冗雜之弊 其誠可嘉 請令巡察使都元帥
十分善處 以期濟事 公慷慨言倭奴 尙今據邊 吾雖衰病 豈遑啓處 倡一鄕鼓義氣 鄕人推公爲鄕兵大將 募衆聚糧 爲久遠備禦計 流民依歸 門巷全活甚多
見族人必解衣與之 自作畵像贊曰孫吳未學 國恥難雪 每見子弟從外來 問曰有捷音乎 及病革 謂二子曰寇退 告吾墓 因揮婦人出 促冠服來 乃緩聲曰吾逝矣
戊戌七月十四日易簀于別業之正庵 享年八十有一 越八月二十日葬于順興黑洞子坐原 夫人墓合封焉 時連月霖潦 喪車旣戒 猶不止 人報前溪水漲難涉 夜忽開霽 星漢昭朗
旣葬而雨 人皆異之 後以子暹錄原從一等勳 追贈吏曹判書兩館大提學 公事親誠孝 居家篤厚 遭內憂 幼尙行素 外艱廬墓終制 事伯氏潤奎 同財用共憂樂 同享高年
家無間言 弟瑞奎早亡 敎育子女婚嫁如己出 性儉約衣食甚薄 敎子弟不事芬華 惟令勤學篤行 有藻鑑先識事無大小 皆素定無苟且 天姿奇偉 磊落有大節 常抱激濁揚淸之志
慕范希文先憂後樂之言以爲士當如是 早有當世之志 嘗讀書山寺 夢占一絶曰水北秋如錦 天西月似眉 有心悲世事 無力鑄雍熙 覺而悲吟 已知不能有爲於世也 晩出仕路
未展所蘊 又見人心世道無復可爲 嘗自歎曰今之世食祿 難矣 無所爲則義不可 有所爲則力不能 自筮全來 未嘗終一年淹洛 及南還 醉吟一絶曰終南一念 未能忘 强策駑駘
入洛陽 衰朽不堪供卯酉 歸船還載上來裝 居鄕 謝交遊 一室書史沈潛忘倦 寓懷翰墨 詩尙李杜 筆慕金生 喜與鄕之子弟 論經史討文墨 遇義理是非則必明辨之
初建正庵於別業 爲講學終老之計 後築精舍於山後二澗之上 茅茨荊扉 種松以自娛 自號雲松晩澗 晩値黨議作 朝著不和 益不樂俯仰則遂改命曰金華石室 益老於世事
深有感於牧半子云 郡有紹修書院 卽安文成故里 周愼齋所建 久而寢廢 公殫心修復 無不管幹 且以院儒舊規 只聽場屋入格 實非蒙養之道 別作童蒙齋 以延幼學之士
誘奬敎訓 各得成就 拜陶山祠 有詩曰齊明如左右 髣髴拜平生 霽月濂溪後 何人是兩程 慕賢憂道之誠 發於吟詠如此 及卒 校院儒士爭來吊奠 淸道丹陽吏民 賻哭塡門
有遺稿若干篇 藏于家 配贈貞夫人驪興李氏儀賓府都事壽旅之女 兵曹判書敬憲公繼孫之曾孫 生戊寅十二月十四日 婦德克備 治家有法 先公三十二年丁卯九月十五日卒
擧三男 杲娶金紳女 暹吏曹參判 贈吏曹判書 娶宗室豊城君銓女 是左承旨娶李民秉女 一女適柳永慶領議政 杲早卒無嗣 暹三男 有中兵曹佐郞 有吉敦寧府都正 有詹生員
四女適宋孝祚王子師傅 金重謙都事 沈關正郞 尹祥 元是二男 有淨中直大夫 有漢護軍 柳永慶五男 悅縣監 忻贈佐郞 莻佐郞 悌縣監 愃贈正郞 三女適兪守曾掌令
李袨監司 韓昭一 有中三男 立震贈執義 立敬通德郞 立遠 有吉三男 立頴部將 立信文科縣監 立顯察訪 一女適成就學縣監 有詹無子 以立顯爲子
二女適沈檍僉知中樞府事贈吏曹判書 李時白左議政 有淨一男立命 四女適朴見復 沈廷信 尹元燮 洪聖範 有漢四女適權喜學 沈挺義 李世元兵使 南極杓都事
庶男立亨承嫡玄仍 以下不盡錄 公之後孫中琯中愼 持公家狀 訪余而言曰吾先祖有志有才而晩第寡合 官未究用 欲得文苑鉅筆 闡揚德美敢以行狀來請焉
余曰以我後生淺識何以當諸君之托而公之曾孫女壻贈判書沈公之曾孫領議政壽賢 卽義俊先君子太學士公之外祖 義俊於公爲外裔 義不敢辭 亦樂爲撰次而敍之也 公早從師門
志槪高邁 學業夙就 素抱經濟之才 期致廐廟之任而晩得一第 功名蹉跎潦倒郞潛 棲遲郡紱 少試所蘊 民皆去思 自此宦情益薄 浩然南歸 寄跡雲松之間 以經史翰墨自娛
恬介之操頣養之功 克享大耋而壬辰之難 納穀補餉 上章陳弊 倡義募兵 雖未遂志而歿 爲國忠愛之誠 至老彌篤可以見之矣 以公不食之報 餘慶所及 其胤息庵公 以原從勳
追贈公家宰 內外子孫其麗千百 詩云樂只君子 遐不黃耉 樂只君子 㑱艾爾後 其公之謂也歟 正憲大夫兵曹判書兼弘文館提學世子右賓啓豊山洪羲俊謹狀
공은 성이 황씨, 휘가 응규, 자가 중문, 호가 송간이며 본관은 창원이다. 원조 휘 석주는 고려 대상이고 아들 휘 영렬은 군부판서이며
아들 휘 유는 충렬왕 때에 문과에 올라 전객서령이 되고 문행이 있었다. 아들 휘 진백은 침원서령이고, 아들 휘 승후는 중랑장이며 아들 휘 처중은
조선조에 들어와서 벼슬이 연일현감이다. 아들 휘 처중은 조선조에 들어와서 벼슬이 연일현감이다. 아들 휘 전은 통례원 봉례인데 바로 공의
고조이다. 증조 휘 귀경은 증직 호조판서이다. 조부 휘 의성이 비로소 순흥에서 풍기로 옮겼는데, 글 읽기를 좋아하고 과거에는 응시하지
아니하였는데 증직이 의정부 좌찬성이다. 고의 휘는 사우인데 우찬성이고 호는 용헌이다. 비는 정경부인 연일 오씨인데 김화현감 수정의 딸이고 덕성군
계남의 후손이다. 정덕 무인년 9월 19일에 한성 동쪽 마을 집에서 공을 낳았다. 정씨 아주머니가 아들이 없어 안아서 길렀다. 어려서부터 힘써
가르치지 아니하여도 능히 글에 통하여 글에 임하면 대의를 알고 붓을 놀려서 초서를 잘 썼다. 젊어서 신재 주세붕에게 문장을 익히고 또 퇴계
이선생에게 수업하여 학문을 하는 방법을 들었다. 책을 지고 내왕하면서 경을 연구하고 의심스러운 것을 밝혀서 보고 들음이 더욱 넓었다. 가정
계묘년에 사마에 합격하여 태학에 유학하면서 같은 무리의 추대하는 바가 되었다. 기재 신광한이 강의하는 자리에 앉아서 보고 예하면서 말하기를,
“삼대 이하의 인물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글을 하는 데에 고문을 숭상하고 여러 번 과거에 응시하여 합격하지 못하였으나 그래도 고문을 구하여
손에서 놓지 아니하면서 말하기를, “내가 스스로 이를 좋아하는데 어찌 억지로 과거 보는 사람의 문체를 하겠는가? 하였다. 이웃에 동방이 있어
당시에 권세 있는 재상으로 알려진 이다. 어떤 이가 공에게 한 번 찾아가 청탁해 보라고 권하였고, 재상도 공의 이름을 사모하여 여러 번
초청하였으나 공이 말하기를, 분수가 정해져 있다, 고 하고 마침내 찾아가지 아니하였다. 갑자년에 태학에서 공을 재행이 첫째라고 천거하여, 전함사
별제에 제수되었다가 곧 의금부 도사로 옮겼는데 공이 죄수에게 공초를 받는데 요점을 그 자리에서 판단하여 옥에 억울한 죄수가 없었다. 동료들이
모두 미치지 못하겠다고 하였다. 장흥고 직장에 옮겼다가 선조 기사년 가을에 알성 병과에 올라, 전생서 주부로 옮겼다. 호조좌랑으로 옮겼다가
정랑으로 오르고 임신년에 인제 현감에 제수되었다가 계유년에 병으로 검시하지 아니하였다, 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예조, 형조, 공조, 3조의
좌랑, 정랑을 지내고, 사유로 뽑혀서 성균관 직강을 거쳐 사성에 이르고 사섬시, 예빈시, 종부시 3시의 정을 지냈는데, 임하는 곳마다 정성을
다하여 공무에 봉사하고 강어를 두려워하지 아니하여 동렬들은 이를 꺼려하였다. 공은 탄식하기를, 여기서 어떻게 내 뜻을 행할 수 있겠는가?
하였다. 을해년에 청도 군수에 제수되었는데, 백성이 많고 아전이 교활하여 다스리기 어렵기로 소문난 곳이라. 임금이 전조에 명하여 수령이 될만한
자를 고르라 하여, 공이 적임이라고 대답하였기 때문이다. 공이 부임하자 부서가 구름처럼 쌓였는데 한번 보고 처결하여 없앴다. 행정은 노인을
봉양하고 선비를 기르는 것을 먼저 하여, 농상을 권장하고 재용을 절약하며 몸소 검소함을 행하여 거느리고, 사람을 제어하는 데에 채찍과 매를 쓰지
아니하였고 부역은 매양 기한을 늦추니, 돌이 못 되어 다스리는 데 성공하였다. 백성의 말을 받아들여, 운문산에 길을 개통하여 신창을 설치하고,
무고를 수리하였다. 백 가지 폐한 것을 모두 일으키니 백성들이 모두 기뻐하여 노래하였다. 병이 들어 장차 돌아가려고 하자, 젊은이와 늙은이가
달려와서 눈물을 흘리면서 길을 막고, 공을 놓칠 수 없다고 하면서 아문에 둘러서서 지키는 것이 여러 날이 되었고, 인하여 유애비를 세웠다.
기묘년에 단양 군수로 나갔는데 토지가 메마르고 부세가 많으므로 백성이 도망해 흩어지는 일이 많았다. 공이 글을 올려 일곱 가지 폐단과 세 가지
계책을 진술하여, 여러 가지 부역을 감면하고, 마음을 다하여 어루만져 사랑하니 흩어져 도망한 자가 구름처럼 모였다. 때로 농민을 만나서 농상과
생리의 괴로움을 묻고 자상함이 한집 사람과 같이 하니, 백성이 더욱 품에 들었다. 한가로운 날에는 복건을 쓰고 명아주 지팡이를 짚고서 산수
사이에 거닐면서 읊조렸다. 부로들에게 권하여 당서를 세우고 스승을 맞이하여 자제를 가르치게 하니, 수년 만에 배우는 어린이가 향방을 알았다.
교량을 수리하고 정원을 다스려서 행려가 아침에 물을 건너거나 한데서 잠자는 근심이 없었다. 임기가 차자 백성이 1년을 더 머물기를 청하였다.
을유년에 사섬시정에 제수되었다. 무자년 여름에 서울에 가서 벼슬에 이바지하다가 탄식하기를, “내가 늙어서 가을바람이 일어나는데 어찌 돌아가지
아니겠는가?”하고 드디어 배에 돛을 달고 남쪽으로 내려와서 다시 서쪽으로 가지 아니하였다. 뒤에 사간원 정과 선산부사를 제수하였으나 모두 나가지
아니하였다. 임진년의 난리에 명나라 군사가 남쪽으로 내려왔는데, 고을이 비어서 군사를 먹일 수 없고, 행조(行朝)에서도 창황하여 명령을 내리지
못하니, 공이 울면서 말하기를, “늙은 신하가 늙고 병들었으니, 창을 메고 적을 토벌할 수 없고, 또 호가하여 서쪽으로 수행하지 못하니,
무엇으로 나라에 보답하겠는가? 집에 간직한 것은 모두 나라의 은혜인데 모두 둔 것을 기울여서 작은 정성을 보답하기를 원한다.”고 하고, 곡식
수백 섬을 바치고 이어서 소와 술을 바쳤다. 해조에서 계문하여 상이 통정을 가자하고, 갑오년에 가선으로 올렸으며, 두 번이나 동지동녕부사를
제수하였으나, 공은 병으로 왕명에 사은하지 못하고 상소하여 간곡히 사양하고, 아울러 본도의 시무를 진달하니 포장하는 비답을 받았다. 비변사에서
복계하기를, “황응규는 늙고 병들어서 한가로이 물러간 사람으로서 나라를 근심하는 마음을 잊지 아니하여, 사사로 간직한 것을 모두 내어서 군향에
보충하였으며 이제 또 본도의 재력이 궁핍함과 군졸의 용잡한 폐단을 갖추어 진달하였으니, 그 정성이 가상할 만합니다. 청컨대, 순찰사와 도원수로
하여금 십분 잘 처리하여 큰일을 이루기를 기약하게 하소서” 하였다. 공이 강개하여 말하기를, “왜노가 아직도 변경을 점거하고 있으니, 내가 비록
노쇠하고 병들었으나 어찌 편히 있을 겨를이 있겠는가?”하고 온 고을에 창의하여 의기를 고취하니, 고을 사람이 공을 추대하여 향병대장으로 삼아,
무리를 모집하고 양곡을 모아서 오래도록 방어에 대비할 계책을 세웠다. 이에 유리하던 백성이 돌아와 의지하니 집안이 다 살아난 이가 매우 많고,
친족 사람을 보면 반드시 옷을 벗어서 주었다. 스스로 화상찬을 짓기를, “손오를 배우지 않았으니 나라의 부끄러움을 씻기 어렵다”고 하였다. 매양
자제가 밖에서 오는 것을 보면 묻기를, “승전한 소식이 있으냐?”고 하였다. 병이 위독함에 미쳐서 두 아들에게 이르기를, “왜구가 물러가거든 내
무덤에 고하라.”고 하고, 인하여 부인에게 나가서 관복을 가져올 것을 재촉하고, 곧 느린 말소리로 이르기를, “나는 간다”고 하였다. 무술년
정암에서 별세하니, 향년이 81세이다. 다음 달 8월20일에 순흥 묵동 자좌에 장사하였는데 부인 묘와 합장하였다. 그때 한달을 연하여 장마가
졌다. 상여는 이미 갖추었으나 비가 그치지 아니하여, 사람들이 앞 시내에 물이 불어서 건너기 어렵다고 말하더니, 밤에 갑자기 비가 개고 별이
밝아졌다가, 장사를 마치자 비가 내리니 사람들이 기이하게 여겼다. 뒤에 아들 섬이 원종 일등훈에 녹함으로써 이조판서․양관대제학을 추증하였다.
공은 어버이를 섬기기를 효성으로 하고 집을 다스리는데 돈독하였다. 내우를 당하여서는 어린 나이로도 소를 행하였고 외간에는 묘에 여막을 짓고
3년상을 마쳤다. 백씨 윤규를 섬겨서 재물 쓰는 것을 같이하고 근심과 즐거움을 함께하며 높은 나이를 같이 누리면서 집에 서로 어긋나는 말이
없었다. 동생 서규가 일찍 죽었는데 그 자녀의 교육과 혼인을 자기 자녀와 같이 하였다. 성품이 검약하여 의식을 심히 박하게 하고 자제를 가르치매
화려함을 일삼지 말고 오직 부지런히 배우고 독실하게 행하라하였다. 미리 아는 감별력이 있어 일의 크고 작음이 없이 모두 미리 정하고 구차함이
없었으며, 타고난 바탕의 모양이 빼어나고 뜻이 커서 대절이 있었다. 항상 흐린 것을 물리차고 맑은 것을 드러낸 뜻을 가졌고, 범문정공의 “먼저
근심하고 나중에 즐긴다.”는 말을 사모하여, “선비가 마땅히 이와 같아야 한다”고 하였다. 일찍 세상을 담당할 뜻이 있었는데 언제가 산사에서
글을 읽다가 꿈에 한 절구를 지었는데,
강 북쪽엔 가을빛이 비단 같은데 서쪽 하늘에는 달이 눈썹처럼 걸렸다. 세상
일 슬퍼하는 마음 가졌건만 태평시대 만들려 해도 힘이 없구나
하였다. 꿈을 깨자 슬피 읊고는 세상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없음을 이미 알았다. 늦게 벼슬 길에 나왔으나 포부를 펴지 못하고 또 인심과 세도가 다시 어떻게 할 수 없음을 보고는 일찍이 스스로 탄식하기를,
“지금 세상은 녹을 먹기가 어렵다. 하는 바가 엇으면 의리에 어긋나고, 하는 바가 있으려니 힘이 미치지 못한다, 고 하였다. 처음 벼슬한
이래로, 1년 동안도 서울에서 머문 적이 없었으니, 남쪽에 돌아와서 취하여 절구 하나를 읊었는데,
종남산 한 생각을 잊을 수
없어서 둔한 말채찍 치며 한양에 들어왔지만 몸이 노쇠하여 벼슬 일 감당 못해, 올라올 때 행장 싣고 배 타고 돌아왔네.
하였다. 시골에 있으면서 사귀어 노는 것을 사절하고 한 방에 책을 쌓아 놓고 생각에 잠겨서 피곤함을 잊으며 글과 글씨에 마음을
붙쳤다. 시는 이백, 두보를 숭상하고 글씨는 김생을 본받았다. 고을 자제와 더불어 경사를 의논하고 문묵을 토론하기를 좋아하여 의리의 시비를
만나면 반드시 명백하게 분변하였다. 처음에는 정암을 별업에 세워서 학문을 강구하고 늙음을 마칠 계책을 하였는데, 뒤에 정사를 산 뒤의 두 시내
위에 짓고 띠 지붕과 가시나무 사립에 소나무를 심고 스스로 호를, 운송만간, 이라고 하였다가, 나중에 당론이 일어나 조정이 불화함을 드러내니
더욱 세상 풍파에 따르기를 즐겨하지 아니하여 드디어 고쳐서, 금화석실, 이라고 명명하였다. 대저 세상일에 늙어서 목양자의 일에 깊이 감동한
것이다. 고을에 소수서원이 있는데 바로 안문성공의 옛 마을이고 주신재가 세운 것이다. 오래되어 퇴폐하였으므로 공이 마음을 다해 수리하여 회복하는
데 주관하지 아니함이 없었고, 또 서원 유생의 옛 법이 단지 장옥에 입격하는 것만 배우니 진실로 어린 선비를 기르는 도리가 아니므로 따로
동몽재를 지어서 유학의 선배를 맞이하여 권유하고 가르쳐서 각각 성취함을 얻게 하였다. 도산사에 참배하고 시를 지었는데,
몸과 마음
깨끗이 하여 좌우에 모시는 듯 사당에 참배하니 생전에 뵈옵는 듯. 밝은 달, 염계 뒤에 두 정자는 누구인가? (시의
전문은 위에 나와 있음)
라 하였다. 어진 이를 추모고하 도를 근심하는 정성이 시를 읊는 데 나타남이 이와 같았다. 졸 하자
향교, 서운의 유사가 다투어 와서 조전하고, 청도, 단양의 이민이 부의하고 곡하는 이가 문에 찼었다. 유고 몇 편이 집에 간직되었다. 배는 중직
정부인 여흥 이씨인데 의빈부 도사 수려의 딸이고 병조판서 경헌공 계손의 증손이다. 무인년 12월 14일에 출생하였는데 부덕을 잘 갖추었고 집을
다스리는 데 법이 있었다. 공보다 32년 먼저 정묘년 9월 15일에 졸하였다. 3남을 두었는데 고는 김신의 딸에게 장가들었고, 섬은 이조참판으로
증직 이조판서인데 종시 풍성군 전의 딸에게 장가들었고, 시는 좌승지인데 이민병의 딸에게 장가들었다. 딸이 하나로 유영경에게 시집갔는데
영의정이다. 고는 일찍 죽어 후사가 없다. 섬은 아들이 셋인데 유중은 병조좌랑이고 유길은 돈녕부 도정이며 유첨은 생원이다. 딸이 넷인데 사위
송효조는 왕자사부이고 김중겸은 도사이며 시관은 정랑이고 다음은 윤상원이다. 시는 아들이 둘인데 유정은 중직대부이고 유한은 호군이다. 유영경은
아들이 다섯인데 열은 현감, 혼은 증직 좌랑, 박은 좌랑, 제는 현감, 훤은 증직 정랑이다. 딸이 셋인데 사위 유수증은 장령, 이현은 가사,
다음은 한소일이다. 유중은 아들이 셋인데 입진은 중직 집의, 입경은 통덕랑, 그리고 입원이다. 유길은 아들이 셋인데 입영은 부장, 입산은
문과하여 현감이고, 입현은 찰방이며 딸이 하나인데 현감 성취학에게 시집갔다. 유첨은 아들이 없어서 입현을 아들로 삼고 딸이 둘인데 사위 심억은
첨지중추부사로 증직 이조판서이고 이시백은 좌의정이다. 유정은 아들이 하나인데 입명이고 딸이 넷인데 박현복, 심정신, 유원섭, 홍성범에게
시집갔다. 유한은 딸이 넷인데 권희학, 심정의, 병사 이세원, 도사 남극표에게 시집갔고 서남 입형이 승적 하였다. 현손 이하는 다 기록하지
아니한다. 공의 후손 중관, 중신이 공이 가장을 가지고 나를 찾아와서 말하기를, 우리 선조께서 뜻과 재주를 가지셨으나 늦게 과거에 올랐고 합하는
것이 적어, 벼슬에서 쓰임을 다하지 못하였으니, 문원의 거필을 얻어서 아름다운 덕행을 찬양하려고 하여 감히 와서 행장을 청한다, 고 한다. 내가
말하기를, 내가 아는 것이 없는 후생으로서 어찌 제군의 부탁을 감당하겠는가? 하지만 공의 중손녀서인 증직 판선 심공의 증손인 영의정 수현은 바로
희준의 선군자 태학사 공의 외조가 되므로, 희준은 공에게 외예가 되니 감히 사양할 수 없다, 고 하고 기꺼이 찬자하여 서 한다. 공은 일찍
사문에 들어가서 뜻이 고매하고 학업을 일찍 성취하였고 본디 경제의 재주를 품고 낭묘의 임무를 이루기를 기약하였으나. 늦게 한번 과거에 올라
공명이 뜻에 어긋났다. 낭관과 수령의 직책에 머물면서 조금 포부를 시험하니, 떠난 뒤에 백성이 모두 은혜를 생각하였다. 이로부터 벼슬할 뜻이
더욱 적어서 호연히 남쪽으로 돌아가서 구름과 소나무 사이에 몸을 머물면서 경사와 한묵으로 스스로 즐겼다. 청렴하고 굳은 지조와 수양하는 공으로,
능히 대질의 수를 누렸고, 임진년 국란에 곡식을 바쳐서 군량을 돕고, 글을 올려 폐단을 진술하였으며, 창의하여 향병을 모집한 것은 비록 뜻을
이루지 못하고 별세하였으나, 나라에 충성하고 사랑하는 마음은 늙음에 이르러 더욱 돈독함을 여기에 볼 수 있다. 공이 누리지 못한 갚음으로 끼친
경사가 자손에게 미쳤으니, 그 아들 식암공의 원종공으로 공을 이조판서에 추증하였으며, 내외 자손이 그 무리가 천백에 이르니,
<시경>에 이르기를, 즐겁다 군자여, 어찌 장수하지 아니하리요! 즐겁다 군자여, 어찌 그대의 후손이 복 받지 아니하리요! 하였으니
이는 바로 공을 두고 말한 것이다. 정헌대부 병조판서 겸홍문관제학 세자우빈객 풍산 홍희준 근장.
輓詞
園林自適任蹁蹮樂地安居一老仙塵世是非寧到耳人間榮辱只從天一家五馬雙城奉兩井加年萬福全草誄如今須老筆德光應八史家傳等閒平地作神仙碩德狵眉又大年默笑經過塵世變優遊閒閱歲時遷詩書自是家庭訓道義從來世代傳垂裕後昆餘慶遠川流松茂福綿連亂後音書久不傳邇來屈指七經年猶聞氣力多康健誰意儀刑永邈綿歲晩幽期無復望春城舊跡尙依然顧瞻四海知音少獨立淸秋雙淚漣
輓詞
吾孫頃日報余知聘祖違和有日時頗意遠傳難可悉那知凶訃遽如斯
居鄕謹度人無間爲國輸糧義可觀壽過八旬官二品人生到此豈非難 輓詞
猿免妨衰境田園勇急流三生弄翰墨千首傲公俟隱德知昌嗣高風足激偸恩銜耀金玉天報未應優
嶺海歸來日尋公叩野扄迎門先拍手炊黍強留程只祝身長健那知病忽嬰數書猶在篋披閱淚沾纓
義分先人最年齡季父行靑春曾忝契白石舊聯牀聚散頻回首存亡每熱腸音容倘憑夢落月照空樑
輓詞
壽福人爭頌屯艱我獨哀雲衢通晩步塵簿屈雄才事業閒中過恩榮望外來遠遊懷德範庵月夢初回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