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문집
서원
누정

 

문집편 -訥齋集 -

 

 主思說

聖賢之學 以思爲主. 故孔子曰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孟子曰 心之官則思 思則得之 不思則不得 洪範 思曰睿 睿作聖 中庸 學問思辨行五者 思處其中 如五行待土而生 四端由信而成 則心固身之主宰 而思爲心之官.故修身思敬 格物思知 日用常行 無思不立 學而不思 則徒爲口耳而已 何益之有哉. 蓋思字之義 從田從心 人若治此心田 若農夫之去莠培穀 則人欲消而天理明矣. 惟精惟一之功 不外乎是 則思之爲義 顧不重且大歟. 於是乎 作主思說 以爲警省之資.
성현의 학문은 생각함을 중심으로 삼았다. 그러므로 공자(孔子)께서는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음이 없고, 생각하기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고 하였으며, 맹자(孟子)께서는 “마음의 기능은 생각함이니 생각하면 얻고 생각하지 못하면 얻지 못한다.” 하였으며, 「홍범(洪範)」에서는 생각하면 슬기로워지고 슬기로우면 성인이 된다“고 하였으며, 『중용(中庸)』에서는 배움[學]·물음[問]·생각함[思]·분변함[辨]·실행[行] 다섯 가지 가운데 생각함을 그 가운데에 놓아 마치 오행(五行)이 토(土)를 기다려서 생겨나고 사단(四端)이 미쁨(信)으로 말미암아 이루어지는 것과 같이 하였으니, 그렇다면 마음은 진실로 몸의 주재(主宰)요 생각함은 마음의 기능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몸을 닦을 적엔 공경할 것을 생각하고 물리(物理)를 궁구할 적엔 알 것을 생각해야 할 것이니, 일상 생활의 떳떳한 행실도 생각함이 없으면 성립되지 못하고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그저 구이지학(口耳之學) 1)이 될 뿐일 것이니 무슨 보탬이 있겠는가! 대개 사(思)라는 글자의 뜻을 전(田)을 따르고 심(心)을 따르니, 사람이 만일 이 마음의 밭[心田]을 다스리기를 마치 농부가 가라지를 제거하여 곡식을 배양하듯이 한다면 인욕(人欲)이 사그러져 천리(天理)가 밝아지게 될 것이다. 오직 정밀하게 하고 전일하게 하는 공부(功夫)도 이에서 벗어나지 않으니 생각함의 의의가 도리어 무겁고도 크지 않겠는가! 이에 생각함을 중심으로 한다는 글을 지어 경계하고 성찰하는 자료로 삼고자 한다.
1)구이지학(口耳之學) : 귀로 들은 바를 생각하지 않고 바로 입으로 지껄이는 천박한 학문.

 

돌아가기

Copyright ⓒ 2004 국제퇴계학회 대구경북지부(한자박사 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