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문집
서원
누정

 

문집편 -日休堂先生遺稿 -

 

 自警八首

                性逐情移遂喪初      성(性)이 정(情)을 따라 옮겨가면 마침내 그 처음을 잃게되리니
                開昏通塞在劬書      혼미함을 깨치고 막힌 것을 통하게 함은 독서에 힘쓰는데 있어라
                訓謨垂示群蒙切      성현(聖賢)이 드리워준 가르침 어리석은 이들에게 절실하니
                義理昭融自得餘      의리를 밝혀 무르녹으면 스스로 터득함이 넉넉하리다
                莫遣聰明聾瞽似      밝은 눈․밝은 귀를 귀먹고 눈멀게 하지 말고
                須知意味稻粱如      모름지기 글 뜻 알기를 도량(稻粱)처럼 익숙히 하라
                硏窮業在心專一      의리 탐구는 마음을 전일(專一)하게 함에 달려 있으니
                主敬工夫且莫疎      무엇보다도 주경공부(主敬工夫) 성글게 말라
                 右讀書      -이상은㰡독서㰡‘이다-
                
    

                藐我身從父母分      작은 나의 이 몸 부모로부터 나뉘어졌으니
                吾身不敬慢吾親      내 몸을 공경히 하지 않음은 나의 부모 업수히 여김이라
                天之與我異於物      하늘이 나에게 준 것 만물과는 다르나
                我若褻天誰曰仁      내 만일 하늘에 무람하다면 누가 그것을 인(仁)이라 하리오
                必飭爾躬如大祭      반드시 네 몸 삼가기를 큰 제사 받들 듯이 하고
                有幽其室對明神      어두운 방에서도 밝은 신(神)을 대하듯이 하라
                視聽言動皆循理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이는 것이 모두 도리를 따라야 하리니
                然後謂之能敬身      그런 연후에야 몸을 공경히 했다 할 수 있으리라
                 右敬身      -이상은 㰡몸을 공경히 함㰡‘이다.-
                
    

                發於形氣故惟危      형기(形氣)로부터 나오는 까닭에 위태로울 뿐이니
                一刻放之千里馳      짧은 순간이라도 놓아버리면 천리 밖으로 달아나 버리네
                本性向來堯共善      본성(本性)은 지금까지도 요(堯)임금같이 선(善)하지만
                利心纔動跖同歸      이심(利心)이 발동되면 도척(盜跖)과 함께 돌아가리라
                己私克若攻仇敵      자기의 사사로움 이겨내기를 원수 공격하듯이 한다면
                戒愼切嚴對父師      삼감이 절실하고 엄격하기가 부사(父師)를 대한 듯 하리라
                觴濫本從涓滴始      람상(濫觴)도 본래 작은 물방울로 시작되었으니
                操心尤貴在防微      마음잡기는 은미할 적에 막는 것을 더욱 귀하게 여긴다네
                 右操心      -이상은 ‘마음잡기’이다.-
                
    

                無易由言禍所因      말을 함부로 하지 말지니 화(禍)의 원인이 되느니라
                同衾異意况非親      이불을 함께 쓰더라도 생각이 다르거늘 하물며 친한 이가 아님에랴
                宜如甁守邦無道      병(甁)처럼 입을 막아야 함은 나라에 도(道)가 없어서이니
                且學金緘廟有人      사당 안에 있는 이의 굳게 함구함을 배우도록 하라
                莫把是非輕掉舌      시비거릴 잡고 가벼이 혀를 놀리지 말 것이니
                幾多今古致亡身      예나 이제나 얼마나 많은 이들이 몸을 망치었던가
                修辭本貴明乎實      글을 닦음은 본시 실정 밝힘을 귀하게 여기나니
                利口從來鮮矣仁      말만 잘하는 이들에겐 옛부터 인(仁)이 드물었느니라
                 右愼言      -이상은 㰡말을 삼감㰡‘이다-
                
    

                忿氣焚如火一般      성난 기운 타오르는 것 불(火)과 같고
                七情惟欲制之難      칠정(七情)은 욕심 덩어리라 제지하기 어려워라
                敗身實自毫芒細      몸을 망침도 기실 털끝같이 미세한 것으로부터 시작되니
                應物須求器量寬      외물(外物)과 응함에 기량(器量)을 너그럽게 할 것이다
                倘使持心如止水      만일 마음가짐을 고요한 물과 같이 한다면
                終然得力驗嶊山      끝내는 득력(得力)하여 산도 무너뜨릴 수 있으리
                藥山有戒君知否      약산(藥山)의 경계를 그대는 알지 못하는가
                鬼國漂船一瞥間      귀국(鬼國)의 떠다니는 배처럼 한 순간이라네
                 右制忿      -이상은 㰡성냄을 제어함㰡‘이다-
                
    

                嘵嘵讒口昔人憂      두렵고 두려워라 참소하는 입이여, 옛 분들도 근심하셨네
                何况如今俗益渝      하물며 지금 같이 풍속이 더욱 변해 버렸음에랴
                積毁誰知到銷骨      비방이 쌓이면 뼈까지 녹임을 뉘라서 알 수 있으리
                禦寒要亦在添裘      추위를 막으려면 갖옷을 껴입어야 하듯이
                呶呶勿用言相辨      시끌시끌하여도 말로써 서로 분별하지 말고
                勉勉惟思德益修      부지런히 더욱 더 덕(德) 닦기만을 생각해야 한다네
                寄語元和遭謗者      원화(元和) 년간에 비방 당한 이들에게 말하노니
                蹈仁須作理身諒      인(仁)을 행하며 자신을 진실되게 다스려야 할 것이네
                 右彌謗      -이상은 㰡비방을 그치게 함㰡‘이다-
                
    

                粤自三韓奕業開      삼한(三韓)의 빛나는 업적 시작된 후로
                祖先遺澤儘悠哉      조상님의 남기신 은택 모두 아득해 졌구나
                規模本自詩書出      그 법도는 모두 시경, 서경에서 나왔으며
                源委都從孝友來      근본과 끝도 모두 효도와 우의에서 유래하였네
                積善累仁能致慶      선(善)과 인(仁)을 쌓고 거듭해야 경사를 이룰 것이요
                事巫祈福反招灾      무당을 섬기며 복(福)을 구하면 반대로 재앙이 있으리라
                但將四敎正家法      단지 네 가지 가르침으로 집안의 법도를 바르게 한다면
                舊業庶看今再恢      옛날의 업적 오늘 다시 회복할 수 있으리라
                 右正家      -이상은 㰡집안을 바르게 함㰡‘이다-
                
    

                相保相周著禮經      이웃간에 서로 보호하고 돕는 것은 예경(禮經)에도 나 타나 있으니
                維求相睦豈相爭      오직 서로 화목하게 지낼 것이요 어찌 서로 다투겠는가
                共期醉飽鷄豚社      함께 배불리 먹고 마시며 닭과 돼지로 한 동아리가 될 것이요
                切戒喧呼雀鼠庭      절대로 시끄럽게 다투며 송사(訟事)를 벌려선 안 될 것이네
                直斥嬴餘資緩急      남는 여유가 있으면 바로 이웃의 급함을 도와줄 것이요
                莫將貪暴侮孤惸      탐욕과 사나움으로 고아와 외로운 이를 업신여기지 말 것이네
                藍田有約如能討      남전(藍田) 여(呂)씨의 향약(鄕約) 그것을 탐구한다면
                禮俗何憂今不成      어찌 예속(禮俗)을 오늘날 이루지 못할까 근심하리요
                 右睦隣     -이상은 㰡이웃과 화목함㰡‘이다-

 

돌아가기

Copyright ⓒ 2004 국제퇴계학회 대구경북지부(한자박사 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