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練】(익힐 련)
총15획:糸-9획,〔霰〕
(中) liàn 일] れん(ネル) (英) practice
▣ 字解(자해) ▣
1. 익히다. 鍊과 通함.
① 명주 따위를 누이다. 春暴練<周禮>
② 단련하다. 繕甲練兵<北史>
③ 시험하다. 경험함. 音靡不練<漢書>
2. 누인 명주. 練衣.
3. 익다. 숙달(熟達)함. 閑練故事<後漢書>
4. 가리다. 택(擇)함. 柬, 揀과 通함. 練時日<漢書>
5. 일다. 일어서 가려냄. 湅과 通함. 灑練五藏<枚乘>
6. 흐물흐물하게 익히다.
7. 희다. 見 練絲而泣之<淮南子>
8. 소상(小祥)에 입는 상복(喪服). 또는, 소상. 付練祥<周禮>
▣ 用例(용례) ▣
[練冠]<연관> 누인 명주로 만든 관.
[練究]<연구> 정성을 들여 구명(究明)함.
[練句練字]<연구연자> 시문(詩文)을 짓는 데 자구(字句)를 여러 번 퇴고(堆敲)함.
[練囊]<연낭> 누인 명주로 만든 주머니.
[練囊盛螢]<연낭성형> 진(晉)나라의 차윤(車胤)이 집이 가난하여 기름을 살 돈이 없어서 여름 밤에 명주 주머니에 개똥벌레를 여러 마리 잡아 담고 그 빛으로 공부하였다는 고사(故事).
[練達]<연달> 익숙하고 통달(通達)함. 숙달(熟達). 숙련(熟練).
[練練]<연련> 회고 반들반들한 모양.
[練磨]<연마> ①갈고 닦음. ②노력(勞力)을 거듭하여 정신(精神)이나 학문(學問), 기술(技術)을 닦음. ③어떤 분야(分野)를 깊이 연구(硏究)함.
[練武]<연무> 무예를 익힘.
[練帛]<연백> 누인 비단.
[練兵]<연병> 평시(平時)에 군대(軍隊)를 훈련(訓鍊)함.
[練服]<연복> 소상(小祥) 다음부터 담제 전까지 입는 상제의 옷.
[練絲]<연사> 생실을 비누나 소다 물에 담가서 희고 윤이 나게 한 실.
[練祥]<연상> 사람이 죽은 지 한 돌만에 지내는 제사(祭祀). 소상(小祥).
[練熟]<연숙> 경험을 쌓아 익숙함. 숙련(熟鍊).
[練習]<연습> 학문(學問)이나 기예 따위를 익숙하도록 되풀이하여 익힘.
[練悉]<연실> 잘 익히어 자세히 앎.
[練實]<연실> 대나무의 열매.
[練若]<연야> 절(寺)의 별칭(別稱). 범어(梵語) 아란야(阿蘭若)의 준말.
[練染]<연염> 마전하여 물들임.
[練銳]<연예> 훈련이 잘되어 날램. 또, 그 군사.
[練字]<연자> ‘연구연자(練句練字)’를 보라.
[練鵲]<연작> 때까치.
[練祭]<연제> 아버지가 살아 있을 때, 돌아간 어머니의 한 돌 만에 지내는 소상(小祥)을 미리 다가서 열 한 달만에 지내는 제사(祭祀). 연제사(練祭祀).
[練繒]<연증> 누인 명주.
[練擇]<연택> 고름. 가림.
[練布]<연포> 누인 베.
[練覈]<연핵> 세밀히 조사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