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 호
  9007
작성자
  6
작성일
  2006-12-17 오후 3:07:14
조회수
  1022 회
米(미)

*【米】(쌀 미)
총6획:米-0획,〔薺〕
(中) mǐ (日) まい(コメ) (英) rice

▣ 字解(자해) ▣
1. 쌀.
2. 쌀 모양을 한 식물의 열매. 野客病時分竹米<皮日休>
3. 수(繡)의 무늬. 䋛와 通함. 藻火粉米<書經>
4. 길이의 단위. 미터(meter)의 취음.

▣ 用例(용례) ▣
[米價]<미가> 쌀값
[米甘]<미감> 쌀뜨물
[米糠]<미강> 쌀겨
[米穀]<미곡> ①쌀. ②쌀과 잡곡.
[米課]<미과> 쌀로 바치는 구실. 쌀의 현물세(現物稅).
[米櫃]<미궤> 쌀뒤주
[米禁]<미금> 쌀을 타성(他省)으로 반출하거나 외국으로 수출하는 것을 금하는 일.
[米納]<미납> 미과(米課).
[米囊花]<미낭화> 양귀비(楊貴妃).
[米年]<미년> 여든여덟 살. 88세. ‘米’자의 파자(破字)에서 나온 말. 미수(米壽).
[米突]<미돌> 미터(meter)의 음역(音譯).
[米瀾]<미란> 쌀뜨물, 미감(米甘).
[米糧]<미량> 쌀양식.
[米廩]<미름> ①쌀을 넣어 두는 창고. ②중국(中國)의 하(夏)나라 때의 학교(學校) 이름.
[米粒]<미립> 쌀알.
[米麥]<미맥> 쌀과 보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米麪]<미면> 쌀가루.
[米飯]<미반> 쌀밥.
[米潘]<미반> 쌀뜨물. 미감(米甘).
[米粉]<미분> 쌀가루.
[米芾]<미불> 중국 북송(北宋) 때의 서화가(1051~1107). 자는 원장(元章). 호는 해악(海嶽). 글씨는 왕희지의 서풍을 이었으며, 채양ㆍ소식ㆍ황정견 등과 나란히 송나라 사대가(四大家)의 한 사람. 그림으로는 선을 사용하지 않고 먹의 번짐과 농담(濃淡)만으로 그리는 미법 산수를 창시. 저서에 《화사(畵史)》, 《서사(書史)》 따위가 있음.
[米糒]<미비> 말린 밥.
[米商]<미상> 쌀 장사. 쌀 장수. 미곡상(米穀商).
[米船]<미선> 쌀을 싣는 배. 군량과 말꼴을 실은 군선.
[米粟]<미속> 쌀과 벼를 아울러 이르는 말.
[米壽]<미수> 여든여덟 살을 달리 이르는 말.
[米食]<미식> 쌀밥을 주식으로 함.
[米鹽]<미염> ①쌀과 소금. ②'잗달고 번거로운 일'의 비유(比喩).
[米鹽博辯]<미연박변> 잗달고 번거로운 변론(辯論).
[米運]<미운> 쌀의 수송.
[米肉]<미육> 쌀과 고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米作]<미작> 벼농사. 도작(稻作).
[米田]<미전> 논.
[米廛]<미전> 싸전.
[米顚]<미전> 송(宋)나라의 화가(畫家) 미불(米芾 )의 별명(別名 ).
[米點]<미점> 동양화에서, 수목이나 산수 따위를 그릴 때 가로로 찍는 작은 점. 중국 송나라 때의 미불(米芾) 부자에 의하여 시작.
[米珠薪桂]<미주신계> 미곡과 땔나무가 대단히 비쌈의 비유.
[米汁]<미즙> 쌀뜨물. 미감( 米泔 ).
[米車]<미차> 쌀을 운반하는 수레.
[米包]<미포> 쌀 푸대. 쌀 가마니.
[米苞]<미포> 미포(米包).
[米蝦]<미하> 쌀새우.

패스워드 :

★전자자전★ 한자박사 제공
일련번호
한자(음)
총획(總劃)
작성일
조회수
8994
籢(렴,염)
23
2006-12-17
95
8995
籣(란,난)
23
2006-12-17
110
8996
籥(약)
23
2006-12-17
108
8997
籦(종)
23
2006-12-17
97
8998
籧(거)
23
2006-12-17
91
8999
䉶(쌍)
24
2006-12-17
102
9000
籪(단)
24
2006-12-17
88
9001
籬(리,이)
25
2006-12-17
139
9002
籩(변)
25
2006-12-17
123
9003
籫(찬)
25
2006-12-17
109
9004
籮(라,나)
25
2006-12-17
94
9005
籯(영)
26
2006-12-17
112
9006
籲(유,약)
32
2006-12-17
142
9007
米(미)
6
2006-12-17
130
9008
籵(십)
8
2006-12-17
85
   총 15270건의 글 (599/1018)   
  [1] ...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 [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