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차례 제)
총11획:竹-5획,〔霽〕
(中) dì (日) だい, てい(ツイデ) (英) order
▣ 字解(자해) ▣
1. 차례. 弟와 同字. 亂必有第<呂氏春秋>
2. 차례를 정하다. 品而第之<晋書>
3. 품등(品等). 계급. 爲三等之第<晋書>
4. 집. 저택. 賜大第室<漢書>
5. 과거(科擧). 또는, 그 시험에 합격함. 劉蕡下第<唐書>
6. 만일. 가령. 藉第令毋斬<史記>
7. 다만. 陸下第出僞遊雲夢<史記>
▣ 用例(용례) ▣
[第看下回]<제간하회> 나중에 결과(結果)가 나타나게 되는 일.
[第館]<제관> 저택(邸宅).
[第觀]<제관> 저택과 누각(樓閣).
[第內]<제내> 저택 안.
[第問]<제문> 저택 무느 저문(著聞).
[第舍]<제사> 제택(第宅).
[第四階級]<제사계급> ①무산 계급. ②언론직에 종사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특히, 신문 기자를 이름.
[第四世界]<제사세계> 발전(發展) 도상국(途上國) 가운데. 자원(資源)도 갖지 못하고 식량(食糧)의 자급조차 어려운 후발(後發) 도상국(途上國)의 일컬음.
[第三階級]<제삼계급> 유럽의 봉건 사회에서 부르주아를 비롯한 상공업자, 농민, 소상인 등의 평민 계급. 제일 계급인 국왕과 제후(諸侯), 제이 계급인 귀족과 성직자에 대항하여 시민 혁명을 일으켜 자본주의 사회의 주역이 되었음. 칼라일의 계급 분류에 의한 용어.
[第三國]<제삼국> 직접(直接) 관계(關係)되는 당사국 밖의 나라.
[第三人稱]<제삼인칭>화자와 청자 이외의 사람을 가리키는 말. ‘그’, ‘그녀’, ‘당신’ 따위.
[第三者]<제삼자> ①일정한 일에 직접 관계가 없는 사람. ②법률 행위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사람.
[第三世界]<제삼세계> 제2차 세계(世界) 대전(大戰) 후(後) 근본적(根本的)으로 변화(變化)한 세계(世界) 정치(政治) 구조(構造) 속에서 후진제국(後進諸國)에 대하여 편의적(便宜的)으로 일컬음.
[第三帝國]<제삼제국> ①영육(靈肉)이 일치하여 이상과 현실이 일체가 되는 세계. 물질적 세계를 제일제국, 정신적 세계를 제이제국이라고 함. ②나치스 통치하의 독일을 이르던 말.
[第六感]<지육감> 오관(五官)으로는 느낄 수 없다고 생각되는 감각(感覺). 일반적(一般的)으로 도무지 알 수 없는 사물(事物)의 본질(本質)을 직감적으로 포착(捕捉)하는 마음의 기능(機能).
[第二義]<제이의> 근본(根本) 되는 뜻이 아닌 둘째의 의의(意義).
[第二人稱]<제이인칭> 인칭(人稱) 대명사(代名詞)의 한 가지. 자기(自己)와 대화(對話)하는 상대편(相對便)을 가리키는 말.
[第二天]<제이천> 다음날. 익일(翌日).
[第一]<제일> 첫째. 가장 훌륭함.
[第一江山]<제일간산> 경치(景致)가 매우 좋은 곳.
[第一流]<제일류> 제일(第一) 가는 등급(等級).
[第一義]<제일의> ①근본(根本) 되는 첫째 의의(意義). 궁극(窮極)의 진리(眞理). ②더할 수 없는 깊은 묘의(妙義). 제법 실상(諸法實相)의 이(理). 또는, 제일(第一) 의제(議題).
[第一人者]<제일인자> 어느방면에 있어서 그와 견줄이가 없을 만큼 뛰어나서 첫손 꼽히는 사람.
[第一人稱]<제일인칭> 말하는 사람이 자기(自己)를 일컬을 때 쓰는 인칭(人稱).
[第一香]<제일향> 난초, 곧 난(蘭)의 별칭(別稱). 모란(牡丹)의 별칭.
[第七天國]<제칠천국> ①위안(慰安)의 이상향(理想鄕). ②'전당포(典當鋪)'의 별칭(別稱).
[第宅]<제택> 저택(邸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