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用】(쓸 용)
총5획:用-0획,〔宋〕
(中) yòng (日) よう(モチイル) (英) use
▣ 字解(자해) ▣
1. 쓰다.
① 베풀다. 시행함. 初九 潛龍勿用<易經>
② 부리다. 사역(使役)함. 雖楚有材 晋實用之<左傳>
③ 등용하다. 인물을 끌어 씀. 魯用孔丘<史記>
④ 행하다. 일함. 焉用稼<論語>
⑤ 다스리다. 나라를 다스림. 仁人之用國<荀子>
⑥ 들어 주다. 何鄕者慕用之誠 後相背之盭也<漢書>
2. 작용. 능력. 顯諸仁 藏諸用<易經>
3. 용도(用途). 吾爲其無用而掊之<莊子>
4. 방비(防備). 時至而求用<國語>
5. 비발. 비용(費用). 有財此有用<大學>
6. 재산. 밑천. 乘其財用之出入<周禮>
7. 제구(諸具). 연장. 利器用也<左傳>
8. 써. 以와 同字. 王由足用爲善<孟子>
9. 말미암다. 由와 同字. 故謀用是作<禮記>
10. 하다. 爲와 同字. 何用不臧<詩經>
11. 통하다. 用也者 通也<莊子ㆍ注>
12. 말. 언어. 文貌情用 相爲內外表裏<荀子>
13. 쇠북. 종. 큰 종. 鏞과 通함.
▣ 用例(용례) ▣
[用奸]<용간> 간사한 꾀로 남을 속임.
[用間]<용간> 간첩을 씀. 간첩을 이용하는 방법.
[用件]<용건> 볼일. 용무(用務).
[用功]<용공> 공부함.
[用管闚天]<용관규천> 대통 구멍으로 하늘을 본다는 뜻으로, 식견이 좁음의 비유. 관중 규포(管中窺豹).
[用具]<용구> 무엇을 하거나 만드는 데 쓰는 여러 가지 도구.
[用權]<용권> 권세를 마음대로 부림.
[用器]<용기> 기구(器具)를 사용함. 사용하는 그릇. 소용되는 기구.
[用達]<용달> 일과 물건(物件)을 전수(傳受)하거나 배달(配達)함. 또는, 그 일.
[用談]<용담> ①볼일에 관한 말 ②필요(必要)한 이야기.
[用度]<용도> 씀씀이, 관청이나 회사에서 물품을 공급하는 일.
[用途]<용도> 쓰이는 길. 쓰이는 곳.
[用道]<용도> 사용(使用)하는 길. 쓰이는 길.
[用量]<용량> 약제(藥劑)의 한 번 또는 하루의 사용(使用) 분량(分量).
[用慮]<용려> 마음을 씀. 걱정함.
[用力]<용력> 힘을 씀.
[用例]<용례> 쓰고 있는 예. 또는 용법의 보기.
[用命]<용명> 윗사람의 명령을 받듦.
[用務]<용무> 볼일.
[用武之地]<용무지지> ①군사(軍士)를 쓸 만한 곳. ②무력(武力)을 쓸 만한 곳.
[用法]<용법> 쓰는 법.
[用便]<용변> 대변이나 소변을 봄.
[用兵]<용병> 무기(武器)를 사용함. 전쟁을 함. 또, 군사(軍士)를 부림. 군대를 조종(操縱)함.
[用兵術]<용병술> 군사(軍士)를 부리는 기술(技術).
[用不盡]<용부진> 이루 다 쓸 수 없음. 무한(無限)함.
[用不用]<용불용> 필요함과 필요하지 않음.
[用不用說]<용불용설> 진화(進化) 학설(學說)의 하나. 생물(生物)의 개체(個體)에 있어서, 많이 사용(使用)되는 기관(器官)은 발달(發達)하고 많이 쓰이지 않는 기관(器官)은 발달(發達)하지 못하고 마침내 소실(消失)한다고 함. 이러한 발달(發達)과 미발달(未發達)은 자손(子孫)에게 유전(遺傳)한다고 하며 1909년 라마르크가 제창(提唱)함. 라마르크설(說). 사용불사용설(使用不使用說).
[用費]<용비> 쓰는 비용(費用).
[用事]<용사> ①하여야 할 일. 필요한 사항. 용건(用件). ②요로(要路)에 있어 정권(政權)을 좌지우지(左之右之)함. 권세를 마음대로 부림. ③한문(漢文) 시작(詩作)에 있어서의 전고(典故)나 사실(事實)의 인용(引用).
[用捨]<용사> 취하여 쓰거나 내버림.
[用捨行藏]<용사행장> 일자리를 얻었을 때에는 나가서 자신(自身)이 믿는 바를 행하고, 버리면 물러나 몸을 숨긴다는 뜻으로, 나아가고 물러섬이 깨끗하고 분명(分明)함을 이르는 말.
[用色]<용색> 남녀가 교합하여 색을 씀.
[用世]<용세> 세상(世上)에 쓰이게 됨.
[用手]<용수> 수단(手段)을 부림. 또는 부리는 수단(手段). 용수(容手).
[用水]<용수> ①방화ㆍ관개ㆍ공업ㆍ발전ㆍ음료 따위를 위하여 먼 곳에서 물을 끌어 옴. 또는 그 물. ②허드렛물을 음용수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用水路]<용수로> 수원(水原)에서 경작지(耕作地)까지 관개(灌漑) 용수를 보내기 위한 수로.
[用心]<용심> 마음을 씀.
[用語]<용어> 사용하는 언어. 쓰는 말.
[用言]<용언> 독립(獨立)한 뜻을 가지고 어미(語尾)를 활용(活用)하여 서술어(敍述語)로 쓰이는 말.
[用餘]<용여> 쓰고 남은 것.
[用役]<용역> 물재(物財)의 형태(形態)를 취하지 않고 생산(生産)과 소비(消費)에 필요(必要)한 노무(勞務)를 제공(提供)하는 일.
[用意]<용의> ①마음을 먹음. 뜻을 가다듬음. ②마음의 준비(準備).
[用意周到]<용의주도> ①어떤 일을 할 마음이 두루 미친다는 뜻으로, 마음의 준비(準備)가 두루 미쳐 빈틈이 없음. ②무슨 일에든지 주의(主義)와 준비(準備)가 완벽(完璧)하여 실수(失手)가 없음.
[用益]<용익> ①사용(使用)과 수익(收益) ②또는, 사용(使用)하여 이익(利益)을 얻는 일.
[用人]<용인> 사람을 씀.
[用字法]<용자법> 문자(文字)의 사용법(使用法). 특(特)히 어구(語句)ㆍ문장(文章)을 표기(表記)함에 있어서의 한자(漢字)의 용법.
[用字窓]<용자창> 가로살 두 개와 세로살 한 개로 '用'자 형으로 창살을 성기게 대어 짠 창.
[用杖]<용장> 매를 치는 벌을 적용(適用)함.
[用長用短]<용장용단> 긴 것이나 짧은 것이나 다 함께 사용(使用)함. 장단점(長短點)을 다 같이 이용(利用)함.
[用才]<용재> 재능이 있는 사람을 씀. 용인(用人).
[用材]<용재> ①사용하는 재목. ②사용하는 재료.
[用箋]<용전> 편지 따위의 글을 쓰는, 일정한 규격의 종이.
[用錢]<용전> ①돈을 씀. ②수수료(手數料).
[用錢如水]<용전여수> 돈을 물같이 흔하게 씀.
[用紙]<용지> 어떤 일에 쓰는 종이.
[用之不渴]<용지불갈> 아무리 써도 없어지지 아니함.
[用志不分]<용지불분> 오직 한 가지 일에만 전념(專念)하고 이것저것 정신(精神)을 팔지 않음.
[用之則爲虎不用則爲鼠]<용지즉위호불용즉위서> 사람을 중요한 지위에 임용(任用)하면 범 같은 위세(威勢)가 있으나, 쓰지 않으면 쥐처럼 숨게 됨의 비유.
[用之何處]<용지하처> 쓸 만한 곳이 없음.
[用處]<용처> 돈이나 물품 따위의 쓸 곳.
[用錐指地]<용추지지> 송곳으로 땅을 가리킨다는 뜻으로, 조그마한 지식(知識)으로 큰 도리(道理)를 깨달으려 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用筆]<용필> ①붓을 쓰는 방법. 운필(運筆). ②붓을 씀. ③쓰는 붓.
[用筆沈雄]<용필침웅> 그림이나 글씨의 운필(運筆)이 침착(沈着)하고 웅건(雄建)함.
[用下]<용하> ①비용(費用)을 내어 줌. ②또는, 그 돈.
[用夏變夷]<용하변이> 夏(하)나라, 곧 중국(中國)의 풍속(風俗)과 문화(文化)로 오랑캐의 풍속(風俗)을 변화(變化)시킴.
[用行舍藏]<용행사장> 일자리를 얻었을 때에는 나가서 자신(自身)이 믿는 바를 행하고, 버리면 물러나 몸을 숨긴다는 뜻으로, 나아가고 물러섬이 깨끗하고 분명(分明)함을 이르는 말.
[用賢]<용현> 어질고 총명한 사람을 등용함.
[用嫌]<용혐> 싫어하고 원망하는 마음을 품음.
[用刑]<용형> 형벌을 행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