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淸】(맑을 청)
총11획:水-8획,〔庚〕
(中) qīng (日) せい, しん(キヨイ) (英) clear
▣ 字解(자해) ▣
1. 맑다. 視容淸明<禮記>
2. 맑게 하다. 淸其灰<周禮>
3. 갚다. 年年淸利<拍案驚奇>
4. 다스려지다. 古之淸世<呂氏春秋>
5. 서늘하다. 腰痛足淸<素問>
6. 온화하다. 養之以淸<荀子>
7. 조용하다. 太淸之始<淮南子>
8. 밝게 하다. 淸目而不以視<淮南子>
9. 거른 술. 청주(淸酒).
10. 음료. 飮用六淸<周禮>
11. 눈매. 子之淸揚<詩經>
12. 맑은 소리. 聞淸濁之聲<呂氏春秋>
13. 변소. 圊과 通함.
14. 도가(道家)의 이상적 세계. 仙登太淸<茶香室叢鈔>
15. 왕조 이름. 淸國.
16. 성(姓).
▣ 用例(용례) ▣
[淸歌]<청가> 맑은 목소리로 부르는 노래.
[淸恪]<청각> 청신(淸愼).
[淸澗]<청간> 산골을 흐르는 맑은 시내.
[淸勘]<청감> 깨끗이 모두 마감함.
[淸鑒]<청감> 환히 감식하는 힘, 자작의 시문. 서화를 남에게 보일 때에 쓰는 경칭.
[淸江]<청강> 물이 맑은 강.
[淸介]<청개> 마음이 깨끗하여 남과 어울리지 아니함.
[淸客]<청객> ①풍류가 있고 속되지 아니한 손님. ②‘매화나무’를 달리 이르는 말.
[淸儉]<청검> 청렴하고 검소함.
[淸潔]<청결> 청렴하고 결백함. 청백.
[淸輕]<청경> 맑고 가벼움.
[淸鯁]<청경> 청렴하고 강직함.
[淸鏡]<청경> 맑은 거울. 잘 보이는 거울.
[淸契]<청계> 깨끗한 교분.
[淸溪]<청계> 물이 맑은 시내.
[淸苦]<청고> 청렴하여 곤궁을 견디어 냄.
[淸高]<청고> 청렴하여 곤궁을 견디어 냄.
[淸官]<청관> 조선 시대에 둔 홍문관의 벼슬아치. 문명(文名)과 청망(淸望)이 있는 청백리(淸白吏)라는 뜻.
[淸貫]<청관> 시종의 벼슬.
[淸聒]<청괄> 소리가 너무 쨍쨍하여 시끄러움.
[淸光]<청광> 선명한 빛.
[淸狂]<청광> ①마음이 깨끗하여 청아한 맛이 있으면서도 그 언행이 규범에 어긋나는 일. 또는 그런 사람. ②지나치게 결백하여 다른 사람들이 꺼리고 멀리하는 사람.
[淸巧]<청교> 청아하고 교묘함.
[淸敎徒]<청교도> 16세기 후반, 영국 국교회에 반항하여 생긴 개신교의 한 교파. 칼뱅주의를 바탕으로 모든 쾌락을 죄악시하고 사치와 성직자의 권위를 배격하였으며, 철저한 금욕주의를 주장하였음.
[請求]<청구> ①남에게 돈이나 물건 따위를 달라고 요구함. ②상대편에 대하여 일정한 행위나 급부를 요구하는 일.
[淸宮]<청궁> 집을 깨끗이 함, 집을 청소하여 환영의 뜻을 표함.
[淸穹]<청궁> 맑은 하늘. 청소(淸霄).
[淸規]<청규>《佛》승당(僧堂)이나 선원(禪院)에서, 좌선하는 도량에서 지켜야 할 기거동작 따위에 대한 규칙. 청정(淸淨)한 규칙이라는 뜻.
[淸均]<청균> 깨끗하고 고름.
[淸琴]<청금> 맑은 소리가 나는 거문고.
[淸禁]<청금> 대궐. 금중(禁中).
[淸級]<청급> 청관(淸官).
[淸南]<청남> ①조선 시대에, 남인(南人) 가운데 허목(許穆)을 영수로 한 분파. 숙종 때 복제(服制) 문제로 세력을 잡은 뒤 서인의 죄를 엄하게 다루자고 주장하였음.
[淸恬]<청념> 마음이 깨끗하고 조용함.
[淸寧]<청녕> 조용하고 편안함, 천하가 편안하게 잘 다스려짐.
[淸但]<청단> 맑은 새벽. 청신(淸晨).
[淸湍]<청단> 물이 쏜살같이 흐르는 여율.
[淸淡]<청담> ①맛ㆍ빛깔 등이 맑고 엷음 ②마음이 깨끗하고 담박함.
[淸談]<청담> 속되지 아니한 이야기. 청아한 이야기.
[淸澹]<청담> 청렴하고 담박함, 마음이 깨끗하고 집착이 없음.
[淸黨]<청당> ①당 안의 적대 세력이나 불순한 세력을 당에서 몰아냄. 또는 그런 일. ②당 안에서 일부 당원들을 지나치게 극단적이거나 과격하게 마구 내쫓음. 또는 그런 일.
[淸德]<청덕> 청렴하고 고결한 덕행.
[淸道]<청도> ①깨끗한 도(道). ②길을 깨끗하게 함. 임금의 행차에 앞서 벽제(辟除)함.
[淸塗]<청도> 좋은 벼슬자리에 나아갈 길.
[淸鸞]<청란> 맑은 소리가 나는 방울이라는 뜻으로 천자가 타는 수레
[淸覽]<청람> ①맑고 깨끗한 조망(眺望). ②자작(自作)의 글이나 그림 따위를 남에게 보일 때에 그 보는 일을 높여 이르는 말.
[淸朗]<청랑> 맑고 명랑함.
[淸冷]<청랭> 맑고 시원함.
[淸良]<청량> 인품이나 성격이 깨끗하고 선량함. 또는 그런 사람.
[淸亮]<청량> 마음이 맑고 밝음. 소리가 맑음.
[靑涼]<청량> ①맑고 시원함. ②산서성(山西省) 오대현(五臺縣)의 동북에 있는 산 이름.
[淸麗]<청려> 청아하고 수려함. 맑고 고움
[淸歷]<청력> 아름답게 줄지어 있음.
[淸漣]<청련> 맑은 잔 물결.
[淸冽]<청렬> 물이 맑고 차가움.
[淸廉]<청렴> 성품과 행실이 높고 맑으며, 탐욕이 없음.
[淸泠]<청령> 바람ㆍ물ㆍ갠 하늘. 또는 악기 소리가 맑고 시원함.
[淸靈]<청령> 만물의 맑은 원기, 맑은 정기.
[淸弄]<청롱> 청아한 악곡.
[淸瀨]<청뢰> 청단(淸湍).
[淸籟]<청뢰> 맑은 바람 소리.
[淸醪]<청료> 맑은 술, 안주.
[淸流]<청류> ①맑게 흐르는 물. ②명분과 절의를 지키는 깨끗한 사람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③좋은 가문 또는 그 출신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淸律]<청률> 바른 규율.
[淸吏]<청리> 청렴한 관리.
[淸邈]<청막> 청원.
[淸望]<청망> 청렴 결백하여 인망이 있는 사람, 또 그 사람에게 주는 관적.
[淸猛]<청맹> 마음이 깨끗하고 행동이 용맹함.
[淸名]<청명> 청렴하다는 명망(名望).
[淸明]<청명> ①깨끗하고 밝은 마음. ②잘 다스려져 평온함. ③이십사기(二十四氣)의 하나. 춘분(春分)의 다음. 양력4월 5~6일경.
[淸溟]<청명> 맑은 바다.
[淸明風]<청명풍> 동남풍(東南風).
[淸眸]<청모> ①맑은 눈동자. ②서슬 푸른 눈초리.
[淸穆]<청목> ①맑고 온화함. ②주로 편지 글에서, 상대편의 건강함을 이르는 말.
[淸廟]<청묘> 맑고 깨끗한 종묘라는 뜻으로, 조촐하고 고요한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淸門]<청문> 훌륭한 가문(家門).
[淸文鑑]<청문감> 청(淸)나라 건륭(乾隆) 46년에 부항(溥恒) 등의 칙명(勅命)에 의하여 편찬한 사서(辭書). 45권. 만주어(滿洲語)를 한역(漢譯)하였음.
[淸味]<청미> 깨끗하고 산뜻한 맛.
[淸美]<청미> 맑고 아름다움.
[淸敏]<청민> 마음이 깨끗하고 총명함.
[淸蜜]<청밀> 질이 좋은 맑은 꿀.
[淸謐]<청밀> 청녕(淸寧).
[廳班]<청반> 청관(淸官).
[淸拔]<청발> 깨끗하고 빼어남. 글에 속기(俗氣)가 없는 것을 이름.
[淸防]<청방> 병풍(屛風).
[淸白]<청백> 재물에 대한 욕심이 없이 곧고 깨끗함.
[淸白吏]<청백리> ①재물에 대한 욕심이 없이 곧고 깨끗한 관리. ②조선 시대에, 이품 이상의 당상관과 사헌부ㆍ사간원의 수직(首職)들이 추천하여 뽑던 청렴한 벼슬아치.
[淸白遺子孫]<청백유자손> 청백한 가풍(家風)을 자손에게 전함.
[淸梵]<청범> 중의 경(經)읽는 소리.
[淸福]<청복> ①깨끗한 복(福) ②상대방의 복의 경칭(敬稱).
[淸氛]<청분> 맑은 기(氣).
[淸芬]<청분> ①맑은 향기. ②맑고 높은 덕행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淸濆]<청분> 물이 맑은 물가.
[淸泌]<청비> 맑은 물이 흐름.
[淸貧]<청빈> 성품이 깨끗하고 재물에 대한 욕심이 없어 가난함.
[淸士]<청사> 청렴하고 결백한 선비.
[淸祀]<청사> 동지(冬至)에 지내는 제사. 납향(臘享).
[淸駛]<청사> 물이 맑고 빨리 흐름.
[淸森]<청삼> 나무가 깨끗하게 우거짐.
[淸尙]<청상> 청고(淸高).
[淸商]<청상> 예전에, 우리나라에 와서 장사하던 청(淸)나라 상인.
[淸爽]<청상> 맑고 시원함.
[淸湘]<청상> 물이 맑은 상강(湘江).
[淸賞]<청상> ①깨끗하고 빼어난 일. ②산수(山水)에서 노는 것을 이름.
[淸省]<청생> 잘 조사하여 까다롭지 않게 규칙을 고치는 일.
[淸書]<청서> 정서(淨書)함. 또, 그것.
[淸選]<청선> ①적당한 물건이나 인물을 바르게 고름. 또는 그 물건이나 인물. ②초빙하여 맡기던 벼슬.
[淸雪]<청설> 치욕을 깨끗이 씻음.
[淸蟾]<청섬> 달[月].
[淸贍]<청섬> 조촐하고 넉넉함. 문장 같은 것이 청신(淸新)하고 어휘(語彙)가 섬부(贍富)함.
[淸世]<청세> 잘 다스러져 조용한 세상.
[淸劭]<청소> 깨끗하게 이음.
[淸宵]<청소> 청야(淸夜).
[淸素]<청소> 청렴하고 소박(素朴)함.
[淸埽]<청소> 청소(淸掃).
[淸掃]<청소> 더럽거나 어지러운 것을 쓸고 닦아서 깨끗하게 함.
[淸霄]<청소> 청궁(靑穹).
[淸嘯]<청소> 맑은 소리로 시(詩)를 읊음.
[淸率]<청솔> 청렴하고 솔직함.
[淸灑]<청쇄> 깨끗이 소제함.
[淸水]<청수> ①맑고 깨끗한 물. ②천도교에서, 의식에 쓰는 맑은 물. 교조 최제우가 형벌을 받을 때 청수(淸水)를 받은 뒤에 죽었다는 데서 교주의 성스러운 피를 뜻함.
[淸秀]<청수> ①맑고 빼어남. ②용모가 청초(淸楚)하고 준수함. 미목(眉目)이 수려(秀麗)함.
[淸粹]<청수> 청순(淸純).
[淸瘦]<청수> 몸이 날씬하여 고상해 보임.
[淸淑]<청숙> ①청초(淸楚)하고 정숙(貞淑)함. ②맑아 좋음.
[淸肅]<청숙> 잘 다스러져 조용함.
[淸純]<청순> 맑고 순수함
[淸淳]<청순> 청렴하고 순박(醇朴)함.
[淸醇]<청순> 맑고 진함. 또, 그 술.
[淸瑟]<청슬> 맑은 소리가 나는 큰 거문고. 또는 그 거문고 소리.
[淸時]<청시> 청세(淸世).
[淸諡]<청시> 예전에, 살아 있는 동안 청렴결백하고 마음이 곧았던 사람에게 내리던 시호(諡號).
[淸湜]<청식> 물이 맑음.
[淸晨]<청신> 맑은 새벽. 청단(淸旦).
[淸新]<청신> 산뜻하고 새로움. 진부(陳腐)하지 아니함.
[淸愼]<청신> 청렴하고 신중함.
[淸愼勤]<청신근> 벼슬아치가 지켜야 할 청렴ㆍ근신ㆍ근면의 세 가지 도(道).
[淸信士]<청신사> 거사(居士).
[淸室]<청실> ①깨끗한 방. ②마음을 깨끗하게 함. 마음을 깨끗이 가짐.
[淸實]<청실> 청렴하고 신의(信義)가 있음.
[淸心]<청심> ①잡념을 없애어 마음을 깨끗이 함. 또는 그 마음. ②열사(熱邪)가 심포(心包)에 들어간 것을 치료하는 방법.
[淸深]<청심> 맑고 깊음.
[淸審]<청심> 자세하게 살핌.
[淸潯]<청심> 물이 맑은 물가. 물이 깨끗한 수변(水邊).
[淸雅]<청아> 맑고 아담함
[淸晏]<청안> 깨끗하고 평안(平安)함.
[淸顔]<청안> 청초(淸楚)한 얼굴. 고상한 얼굴. 학문과 덕행이 뛰어난 사람의 얼굴을 이름.
[淸夜]<청야> 맑게 갠 밤. 청소(淸宵).
[淸野]<청야> ①적이 이용하지 못하도록 농작물이나 건물 등 지상에 있는 것들을 말끔히 없앰. ②깨끗한 들.
[請約]<청약> 일정한 내용의 계약을 체결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방적ㆍ확정적 의사 표시.
[淸揚]<청양> 미목(眉目)이 수려(秀麗)함.
[淸言]<청언> 위진 시대(魏晉時代)에 유행한 노장(老將)의 도(道)에 관한 담론(談論). 청담(淸談).
[淸嚴]<청엄> 청렴하고 엄격함.
[淸宴]<청연> 조촐하고 고상한 연회.
[淸輭]<청연> 청신(淸新)하고 유화(宥和)함. 새롭고 부드러움.
[淸映]<청영> 맑고 밝음.
[淸榮]<청영> 무사(無事)하여 번영함.
[淸影]<청영> 맑은 그림자라는 뜻으로, 소나무나 대나무 따위의 그림자를 운치 있게 이르는 말.
[淸悟]<청오> 청백(淸白)하고 총명(聰明)함.
[淸溫]<청온> 청초(淸楚)하고 온화함.
[淸婉]<청완> 맑고 고움.
[淸畏]<청외> 나라가 잘 다스러져 백성이 두려워하여 복종함.
[淸要]<청요> 청환(淸宦)과 요직(要職)을 아울러 이르던 말.
[淸曜]<청요> 청휘(晴暉).
[淸友]<청우> ①사귐이 깨끗한 벗. ②‘매화(梅花)’를 달리 이르는 말.
[淸圓]<청원> 맑고 둥긂.
[淸源]<청원> 맑은 수원(水源).
[淸遠]<청원> 맑고 멂. 명료하고 심원(深遠)함.
[淸愿]<청원> 청백하고 신중함.
[淸月]<청월> 맑은 달.
[淸越]<청월> 소리가 맑고 가락이 높음.
[淸樾]<청월> 청음(淸蔭).
[淸幽]<청유> 속세와 떨어져, 아담하고 깨끗하며 그윽함. 또는 그런 곳.
[淸游]<청유> 청유(淸遊).
[淸遊]<청유> 아담하고 깨끗하며 속되지 아니하게 놂. 또는 그런 놀이.
[淸猷]<청유> 좋은 꾀. 훌륭한 도(道).
[淸音]<청음> 맑고 깨끗한 소리.
[淸蔭]<청음> 서늘한 나무 그늘. 나무 그늘.
[淸猗]<청의> 청의(淸漪).
[淸漪]<청의> 맑은 잔 물결. 청련(淸漣).
[淸毅]<청의> 청백하고 강의(剛毅)함.
[淸議]<청의> 고결하고 공정한 언론.
[淸夷]<청이> 청평(淸平). 이(夷)는 평(平).
[淸逸]<청일> 맑고 속되지 않음.
[淸日戰爭]<청일전쟁> 1894년에 조선의 동학 농민 운동에 출병하는 문제로 일어난 청나라와 일본과의 전쟁.
[淸酌]<청작> ①제사에 쓰는 줄. 제주(祭酒). ②조촐한 주연(酒宴). 청연(淸宴).
[淸酌庶羞]<청작서수> 맑은 제주(祭酒)와 여러 가지 제수(祭羞). 제사에 쓰는 술과 음식.
[淸醬]<청장> 진하지 아니한 간장.
[淸齋]<청재> 몸을 깨끗이 재계(齋戒)하고 부정한 일을 멀리함.
[淸笛]<청적> 맑은 소리가 나는 피리. 또는 그 피리가 내는 소리.
[淸適]<청적> ①기분이 좋음. ②무사(無事)하고 건강함.
[淸殿]<청전> 깨끗한 궁전. 또, 궁전을 소제함.
[淸囀]<청전> 새가 맑은 소리로 지저귐.
[靑甎]<청전> 푸른 빛깔의 벽돌.
[淸切]<청절> ①대단히 맑음. ②퍽 시원함. ③지위가 높고 직무가 중요함. ④슬프고 애처로움.
[淸節]<청절> 깨끗한 절개. 변하지 않는 굳은 지조(志操). 청조(淸操).
[淸簟]<청점> 깨끗한 대자리.
[淸正]<청정> 맑고 바름.
[淸定]<청정> 나라가 깨끗하게 다스려져서 세상이 태평함을 이르는 말.
[淸貞]<청정> 마음이 깨끗하고 곧음.
[淸淨]<청정> ①깨끗함. 정함. ②속세의 번거로운 일을 떠나 마음을 깨끗하게 가짐. ③《佛》마음이 깨끗하여 번뇌(煩惱)와 사욕(私慾)이 없음.
[淸渟]<청정> 맑은 물이 괴어 있음.
[淸靖]<청정> 조용하고 평안하게 다스림.
[淸靜]<청정> ①맑고 고요함. ②욕심이 없고 마음이 깨끗함.
[淸淨寂滅]<청정적멸> 청정무위(淸淨無爲)의 교(敎)와 적멸위락(寂滅爲樂)의 교. 도교(道敎)와 불교.
[淸霽]<청제> 맑게 갬.
[淸朝]<청조> 중국 청나라의 왕조. 또는 그 조정.
[淸操]<청조> 깨끗한 정조(貞操). 또는 결백한 지조.
[淸族]<청족> ①대대로 절개와 의리를 숭상하여 온 집안. ②대대로 청환(淸宦)을 한 집안.
[淸酒]<청주> 다 익은 술에 용수를 박고 떠낸 술.
[靑晝]<청주> 맑게 갠 낮.
[淸罇]<청준> ①깨끗한 술 그릇. ②향긋한 술.
[淸池]<청지> 물이 맑은 못.
[淸沚]<청지> 물이 맑은 물가.
[淸芷]<청지> 좋은 향기가 나는 풀.
[淸直]<청직> 마음이 깨끗하고 곧음 청백하고 정직함.
[淸眞]<청진> 마음이 깨끗하고 거짓이 없음. 청백하고 진실함.
[淸秩]<청질> 청관(淸官).
[淸澄]<청징> 맑음. 흐리지 아니함.
[淸饌]<청찬> 정한 음식.
[聽唱]<청창> 맑은 소리로 노래를 부름.
[淸敞]<청창> 맑고 환함. 지대가 넓어 공기 맑고 앞이 탁 틔어 있음.
[淸滌]<청척> ①제사에 쓰는 물의 일컬음. ②깨끗이 씻음. 청설(淸雪).
[淸泉]<청천> 물이 맑은 샘.
[淸淺]<청천> 물이 맑고 얕음.
[淸徹]<청철> 맑아 투명(透明)함. 맑아 환히 비침.
[淸澈]<청철> ①맑음. 청징(淸澄). 전(轉)하여 ②마음이 깨끗하고 밝음.
[淸淸]<청청> 싱싱하게 푸름
[淸聽]<청청> ①말이나 소리가 똑똑하게 잘 들림. ②남이 자기 이야기 듣는 것을 존대하여 이르는 말. 자신의 이야기를 좀 들어 달라고 할 때 쓰는 말.
[淸楚]<청초> 깨끗하고 산뜻함. 산뜻하고 고움.
[淸最]<청최> 깨끗하고 훌륭함.
[淸秋]<청추> ①맑게 갠 가을. ②음력 8월을 달리 이르는 말.
[淸沖]<청충> 마음이 깨끗하여 아무 집착(執着)이 없음. 조금도 사심(私心)이 없음.
[淸徵]<청치> 맑은 치(緻)의 음(音). 치는 오음(五音)의 하나.
[淸快]<청쾌> 산뜻하여 기분이 상쾌함.
[淸卓]<청탁> 마음이 깨끗하고 재주가 탁월함.
[淸濁]<청탁> ①맑음과 흐림을 아울러 이르는 말. ②옳고 그름 또는 착함과 악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③청주와 탁주를 아울러 이르는 말. ④청음과 탁음을 아울러 이르는 말.
[淸蕩]<청탕> 청평(淸平). 탕(蕩)은 평(平).
[靑泰]<청태> 청녕(淸寧).
[淸派]<청파> 맑은 지류(支流).
[淸平]<청평> 세상이 잘 다스러짐, 또, 세상을 잘 다스림.
[淸平調]<청평조> 악부(樂府)의 하나. 삼장(三章). 당현종(唐玄宗)이 양귀비(楊貴妃)와 침향정(沈香亭)에서 모란을 완상(琓賞)하였을 때 이백(李百)이 명을 받들어 지은 것임.
[淸抱]<청포> 깨끗한 마음. 청심(淸心).
[淸標]<청표> ①풍채(風采)가 청초하고 고상함. ②명월(明月)을 이름.
[淸飆]<청표> 청풍(淸風).
[淸品]<청품> 좋은 벼슬. 또는 그 자리에 있는 사람.
[淸風]<청풍> 맑은 바람. 솔솔 부는 바람. 시원한 바람.
[淸風朗月不用一錢買]<청풍낭월불용일전매> 시원한 바람과 밝은 달은 돈 한 푼도 들이지 아니하고 누구나 다 완상(翫賞) 할 수 있음
[淸風來故人]<청풍내고인> 시원한 바람이 불어 올 때의 기분은 옛날부터 숙친(熟親)한 벗이 찾아와 대단히 반가와하는 기분과 다틈이 없음.
[淸蹕]<청필> 천자(天子)가 거동할 때 도로를 깨끗이 쓸고 통행하는 사람을 비키게 함.
[淸夏]<청하> 공기가 맑은 여름.
[淸學]<청학> ①중국 청나라 시대의 학문. ②만주어에 관한 학문.
[淸閒]<청한> 남의 한가한 때의 경칭(敬稱).
[淸閑]<청한> 청아(淸雅)하고 한가(閑暇)함. 청한(淸閒).
[淸吭]<청항> 맑은 소리를 내는 새의 목구멍.
[淸抗]<청항> 마음이 깨끗하고 고상함.
[淸香]<청향> 맑은 향기. 좋은 향내.
[淸響]<청향> 맑은 음향(音響).
[淸虛]<청허> 마음이 맑고 잡된 생각이 없어 깨끗함.
[淸玄]<청현> 맑고 깊숙함.
[淸絃]<청현> ①거문고의 괘상청, 괘하청, 문현을 통틀어 이르는 말. ②향비파의 둘째 줄.
[淸顯]<청현> 청환(淸宦)과 현직(顯職)을 아울러 이르는 말.
[淸逈]<청형> 맑고 아뜩함.
[淸魂]<청혼> 깨끗한 영혼. 또는, 혼을 맑게 함.
[淸化]<청화> 맑고 밝은 교화(敎化). 맑은 덕화(德化).
[淸和]<청화> 하늘이 개고 날씨가 화창(和暢)함.
[淸華]<청화> ①문장(文章)이 화려함. ②대대로 지체가 높은 가문(家門). ③깨끗한 꽃.
[淸曉]<청효> 청신(淸晨).
[淸暉]<청휘> 맑은 날에 비치는 햇빛.
[淸輝]<청휘> 맑은 광휘.
[淸徽]<청휘> ①깨끗하고 기품(氣品)이 높음. ②아름다운 음성(音聲)
[淸興]<청흥> 맑은 흥과 운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