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氷】(얼음 빙)
총5획:水-1획,〔㈠蒸,㈡徑〕
(中) bīng (日) ひょう(コオリ) (英) ice
▣ 字解(자해) ▣
㈠ 빙
1. 얼음. 仌과 同字.
① 물이 얼어서 굳어진 것. 水凝爲氷<論衡>
② 얼음처럼 투명하고 맑음의 비유. 一片氷心.
③ 얼음과 같이 참. 또는, 얼음처럼 풀리기 쉬운 모양. 氷姿. 氷解.
2. 얼다. 물이 얾. 孟冬之月…水始氷<禮記>
3. 오싹하다. 소름이 끼치는 모양. 氷衿.
4. 기름. 肌膚若氷雪<莊子>
5. 전동(箭筒) 뚜껑. 公徒釋甲 執氷而踞<左傳>
6. 성(姓).
㈡ 빙
1. 차갑다.
▣ 用例(용례) ▣
[氷鑑]<빙감> ①얼음을 담아 음식을 식히는 데 쓰는 단지. ②얼음의 거울이라는 뜻으로, 명철한 지인지감(知人之鑑)이 있는 시관(試官).
[氷結]<빙결> 얼음이 얾.
[氷潔]<빙결> 얼음과 같이 깨끗함.
[氷鏡]<빙경> 얼음처럼 맑고 밝으며 차게 보이는 달.
[氷庫]<빙고> ①얼음을 넣어 두는 창고. ②예전에, 얼음을 넣어 두는 일과 그에 관련된 일을 맡아보는 관아를 이르던 말.
[氷谷]<빙곡> 박빙 심곡(薄氷深谷)의 준말. 얇은 얼음과 깊은 골짜기라는 뜻으로, 두려워하여 조심조심하는 경우의 비유를 쓰임.
[氷菓]<빙과> 아이스 크림ㆍ아이스 케이크 따위.
[氷塊]<빙괴> 얼음덩이.
[氷窖]<빙교> 얼음을 저장하는 움집.
[氷甌]<빙구> 얼음을 넣는 단지. 깨끗한 거의 비유.
[氷筋]<빙근> 고드름. 빙주(氷柱).
[氷衿]<빙금> 무서워하여 가슴이 서늘한 모양. 오싹해짐.
[氷肌]<빙기> ①얼음같이 깨끗하고 아름다운 살결. ②매화(梅花)의 형용. 빙기옥골(氷肌玉骨).
[氷肌玉骨]<빙기옥골> ①살결이 맑고 깨끗한 미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②매화의 곱고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氷囊]<빙낭> 얼음 찜질에 쓰는 얼음을 담는 주머니.
[氷腦]<빙뇌> ‘용뇌향(龍腦香)’과 같음.
[氷糖]<빙당> 얼음사탕.
[氷堂酒]<빙당주> 하남성(河南省) 활현(滑縣)에서 빚은 술의 이름.
[氷臺]<빙대> 쑥[艾]의 별칭(別稱).
[氷凍]<빙동> 얼음.
[氷冷]<빙랭> 얼음처럼 참. 몹시 추움.
[氷凉]<빙량> 대단히 서늘함.
[氷遛]<빙류> 얼음이 녹아 방울져 떨어짐.
[氷輪]<빙륜> 얼음처럼 차고 맑게 보이는 둥근달.
[氷壁]<빙벽> ①빙산의 벽. ②얼음이나 눈에 덮인 낭떠러지.
[氷膚]<빙부> 얼음같이 회고 깨끗한 살결.
[氷山]<빙산> 빙하에서 떨어져 나와 호수나 바다에 흘러 다니는 얼음 덩어리.
[氷上]<빙상> 얼음 위.
[氷霜]<빙상> 얼음과 서리. 굳은 절개의 비유로 쓰임.
[氷釋]<빙석> 얼음이 녹듯이 의심이나 의혹 따위가 풀림.
[氷釋理順]<빙석이순> 의문이 얼음 녹듯이 죄다 풀려 이치를 환히 알게 됨.
[氷鮮]<빙선> 얼음에 채운 생선.
[氷雪]<빙설> ①얼음과 눈을 아울러 이르는 말. ②본디부터 타고난 마음씨가 결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③풍성암의 하나.
[氷雪心]<빙설심> 더럽히지 아니한 깨끗한 마음.
[氷雪操]<빙설조> 깨끗하고 굳은 지조.
[氷消]<빙소> 얼음이 녹듯이 자취도 없이 사라짐.
[氷水]<빙수> ①얼음냉수. ②얼음덩이를 잘게 갈아서 눈과 같이 만들고 거기에 당밀(糖蜜) 또는 설탕, 향미료 따위를 넣은 음식.
[氷叟]<빙수> 장인(丈人)을 달리 이르는 말. 빙옹(氷翁)①.
[氷芛]<빙순> 빙주(氷柱)의 별칭(別稱). 고드름.
[氷室]<빙실> 얼음을 저장하여 두는 곳
[氷心]<빙심> 얼음같이 맑고 깨끗한 마음.
[氷洋]<빙양> 사철 얼음이 녹지 않는 해양(海洋). 남극에 남빙양, 북극에 북빙양이 있음.
[氷漁]<빙어> 불고기의 한 가지.
[氷語]<빙어> 혼인 중매하는 사람의 말.
[氷玉]<빙옥> ①얼음과 옥을 아울러 이르는 말. ②맑고 깨끗하여 아무 티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氷翁]<빙옹> ①장인(丈人)의 높임말. 빙장(氷丈). ②중매인(中媒人). 빙인(氷人)
[氷原]<빙원> 지표의 전면이 두꺼운 얼음으로 덮여 있는 극지방의 벌판
[氷凝]<빙응> 얼어 굳음.
[氷夷]<빙이> 물귀신. 하백(河伯). 빙이(憑夷).
[氷人]<빙인> 혼인 중매하는 사람. 영호책(令狐策)이 꿈에 얼음 위에 썼는데, 얼음 밑[氷下]의 노인과 말을 주고 받았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월하빙인(月下氷人). 빙옹(氷翁).
[氷刃]<빙인> 잘 갈아서 서슬이 시퍼런 칼.
[氷姿玉骨]<빙자옥골> 빙기옥골(氷肌玉骨)
[氷蠶]<빙잠> 중국 전설 중에 나오는 누에. 서리와 눈 속에서 나며 이 누에고치에서 나온 실로 짠 베는 물에 젖지도 않고 불에 타지도 않는다고 함.
[氷點]<빙점> ①어는 점. ②일반적으로, 물질의 응고점.
[氷井]<빙정> 얼음을 저장하여 두는 곳.
[氷晶石]<빙정석> 불소, 나트륨, 알루미늄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할로겐 광물.
[氷柱]<빙주> ①낙숫물 따위가 흐르다가 기둥 모양으로 그대로 얼어붙은 것. 또는 처마 끝에 언 채 달려 있는 얼음. ②여름에 실내를 시원하게 하기 위하여 사람이 만들어 세워 놓은 얼음 기둥.
[氷廚]<빙주> 여름에 휘장을 치고 음식을 요리하는 곳.
[氷天]<빙천> 북쪽 끝의 하늘. 아주 추운 땅.
[氷淸]<빙청> 마음 같은 것이 얼음같이 맑고 깨끗함.
[氷廳]<빙청> 당(唐)나라의 사부(祠部)의 이칭(異稱). 깨끗하고 추웠기 때문임.
[氷靑玉潔]<빙청옥결> 마음이 아주 깨끗하여 조금도 티가 없음.
[氷淸玉潤]<빙청옥윤> 훌륭한 장인과 훌륭한 사위의 비유. 빙옥(氷玉)①을 보라.
[氷炭]<빙탄> 얼음과 숯이라는 뜻으로, 서로 정반대가 되어 용납하지 못하는 관계를 이르는 말.
[氷炭不同器]<빙탄부동기> 얼음과 불타는 숯은 성질이 상반(相反)되어 한 그릇에 담을 수 없음, 화합(和合)할 수 없음의 비유. 빙탄불상용(氷炭不相容).
[氷炭不相容]<빙탄불상용> 얼음과 숯불과 같이 성질이 정반대이어서 서로 용납 못 함.
[氷炭相愛]<빙탄상애> 얼음은 숯불로 녹아서 물의 본성(本性)으로 되돌아가고 숯불은 얼음 때문에 꺼져서 다 타지 않고 숯으로서 그냥 남으므로 서로 사랑함의 비유로 쓰임.
[氷河]<빙하> 육상에 퇴적한 거대한 얼음 덩어리가 중력에 의하여 강처럼 흐르는 것.
[氷海]<빙해> 얼어붙은 바다. 또는 얼음으로 뒤덮인 바다.
[氷解]<빙해> 빙석(氷釋).
[氷絃]<빙현> 당(唐)나라의 백수정(白秀貞)이 헌상(獻上)하였다는 비파(琵琶). 현(絃)을 빙잠(氷蠶)의 고치를 켠 실로 만들었다고 함.
[氷壺]<빙호> 얼음을 넣은 항아리라는 뜻으로, 아주 깨끗하고 맑은 마음을 이르는 말.
[氷壺玉鑑]<빙호옥감> 지극히 깨끗한 마음의 비유.
[氷壺秋月]<빙호추월> 얼음을 넣은 옥 단지와 가을 달이라는 뜻으로, 청렴하고 결백한 마음을 이르는 말.
[氷魂]<빙혼> 얼음과 같이 맑고 깨끗한 넋이라는 뜻으로, 매화(梅花)의 형용으로 쓰임.
[氷渙]<빙환> 얼음이 녹음.
[氷紈]<빙환> 얼음같이 희고 빛이 고운 명주.
[氷滑]<빙활> 얼음 지치기. 스케이팅.
[氷戱]<빙희> 얼음 지치기. 스케이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