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權】(저울추 권, 봉화 관)
총22획:木-18획,〔㈠先,㈡翰〕
(中) quán (日) けん, ごん(オモリ)
▣ 字解(자해) ▣
㈠ 권
1. 저울추. 縣과 通함. 正權槪<禮記>
2. 저울. 謹權量<論語>
3. 달다.
① 저울로 달다. 權然後知輕重<孟子>
② 달아 분별하다. 경중ㆍ대소를 분별함. 量資幣 權輕重<國語>
4. 꾀하다. 책략을 씀. 任輕者易權<淮南子>
5. 고르게 하다. 고름. 式權以相應<國語>
6. 권세. 권력. 親權者不能與人柄<莊子>
7. 능력. 吾見其杜權矣<莊子>
8. 권도(權道). 巽以行權<易經>
9. 잠시. 일시(一時). 權假日以餘榮<左思>
10. 임시로. 대리하여. 禁羨餘 罷權攝<宋史>
11. 시초. 百草權輿<大戴禮>
12. 광대뼈. 兩權協月<顔延之>
13. 봉화. 爟과 通함.
14. 잡다. 쥠. 是以經始權其多福<陸機>
15. 성(姓).
㈡ 관
1. 봉화(烽火). 爟(火部 十八劃)과 通함.
▣ 用例(용례) ▣
[權家]<권가> ①권문세가(權門勢家). ②병법가(兵法家). 권모(權謀)를 주로 하므로 이름.
[權奸]<권간> 권세를 가진 간신(奸臣).
[權減]<권감> 임시(臨時)로 감원(減員)함.
[權綱]<권강> 정권(政權)의 대강령.
[權官]<권관> ①권력이 있는 벼슬. ②겸섭(兼攝)하는 관직. 겸관(兼官). ③정관(正官) 외의 임시직.
[權敎]<권교> 대승의 참다운 이치를 깨닫게 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설한 부처님의 가르침. 아함(阿含)ㆍ방등(方等)ㆍ반야경 등이 있음. 실교(實敎)의 대(對).
[權貴]<권귀> 권세 있고 지위가 높음. 또, 그 사람.
[權奇]<권기> 기묘한 꾀.
[權能]<권능> 권리를 주장하고 행사(行使)할 수 있는 능력(能力). 권력과 능력.
[權德輿]<권덕여> 당대(唐代)의 유학자. 낙양(洛陽) 사람. 자(字)는 재지(載之). 덕종(德宗) 때에 예부상서(禮部尙書)를 지냈음. 권문공집(權文公集)이 있음.
[權度]<권도> 저울과 자. 전(轉)하여, 사물이 의거하여 좇아야 할 법도(法度).
[權道]<권도> ①수단 방법은 정도(正道)가 아니나 목적은 정도(正道)에 맞는 방식. ③임기응변(臨機應變)의 방편.
[權略]<권략> 임기응변의 꾀나 모략.
[權力]<권력> ①남을 강제(强制)하여 복종(服從)시키는 힘. ②치자(治者)가 피치자(被治者)에게 복종을 강요(强要)하는 힘.
[權利]<권리> ①권세(權勢)와 이익. 이권(利權). ③세력을 떨침. ③수단을 써서 이익을 꾀함. ④특정한 이익을 주장하며, 또는 향수(享受)할 수 있는 법률상의 능력.
[權謀]<권모> 임기응변(臨機應變)의 꾀.
[權謀術數]<권모술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인정이나 도덕도 돌보지 않고 모략과 중상 등 온갖 수단과 방법을 쓰는 술책.
[權門]<권문> 권문세가(權門勢家).
[權門勢家]<권문세가> 권세 있는 집안.
[權變]<권변> 일의 형편에 따라 임기로 꾸며 대는 수단. 권략(權略).
[權柄]<권병> 권력을 가지고 마음대로 사람을 좌우할 수 있는 힘.
[權不十年]<권불십년> 권세는 10년을 가지 못함.
[權詐]<권사> 권모(權謀)와 사기(詐欺).
[權攝]<권섭> 임시로 대리하여 사무를 맡아봄.
[權勢]<권세> 권력(權力).
[權數]<권수> 권모술수(權謀術數).
[權術]<권술> 권모술수(權謀術數).
[權臣]<권신> 권력 있는 신하.
[權實]<권실>《佛》①방편과 진실. ⓒ권교(權敎)와 실교(實敎). ③대승(大乘)과 소승(小乘).
[權輿]<권여> 權은 저울대, 輿는 수레 바탕 곧 저울을 만들 때는 저울대부터 만들고, 수레를 만들 때는 수레 바탕부터 만든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의 시초(始初).
[權要]<권요> 권력 있는 주요(主要)한 지위(地位).
[權右]<권우> 권력이 있는 지위에 있는 사람.
[權原]<권원> 권리를 얻은 원인. 또는, 법률상 어떤 행위를 정당화하는 이유.
[權威]<권위> ①권력(權力)과 위엄 (戚嚴). ②대가(大家). 태두(泰斗).
[權威主義]<권위주의> 권력이나 위력으로 남을 억누르거나 권위에 맹목적으로 복종하려고 하는 사고방식이나 행동 양식.
[權宜]<권의> 임시(臨時)의 조치 (措置).
[權益]<권익> 권리와 이익 (烈益).
[權制]<권제> ①권력과 법제(法制). 힘과 법. ②권력으로 남을 제어함.
[權厝]<권조> 권폄(權窆).
[權座]<권좌> 권세의 자리. 권력을 쥔 지위.
[權知]<권지> 임시로 그 일을 맡음. 또는, 벼슬 이름 앞에 붙여, 그것이 임시직임을 나타내는 말.
[權戚]<권척> 권력이 있는 제왕의 겨레.
[權寵]<권총> 권력이 있으며 임금의 총애를 받는 사람.
[權稱]<권칭> 저울.
[權便]<권편> 편의(便宜)함.
[權窆]<권폄> 좋은 산소를 구할 때까지 임시로 장사(葬事)를 지냄. 권조(權厝). 중폄(中窆).
[權限]<권한> 권능(權能)의 범위.
[權幸]<권행> 임금의 총애를 받는 권신(權臣).
[權現]<권현> 귄화(權化).
[權衡]<권형> ①저울추와 저울대. 또, 저울. ⓒ균형(均衡). ③품평(品評).
[權化]<권화>《佛》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려고 인간계에 사람으로 나타나는 일. 또는 그 화신(化身). 분신(分身).
[權凶]<권흉> 권세를 함부로 휘두르는 흉악한 사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