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동녘 동)
총8획:木-4획,〔東〕
(中) dōng (日) とう(ヒガシ) (英) east
▣ 字解(자해) ▣
1. 동녘. 동쪽. 오행(五行)으로는 목(木), 계절로는 봄, 오색으로는 청(靑)에 해당함. 東伐諸侯<史記>
2. 동쪽으로 가다. 吾亦東耳<漢書>
3. 주인(主人).
4. 성(姓).
▣ 用例(용례) ▣
[東家]<동가> ①동쪽의 이웃집. ②머물러 있는 집의 주인. ③동가구(東家丘).
[東家丘]<동가구> 공자(孔子)의 서쪽이웃에 사는 사람이 공자가 성인임을 알지 못하고 단지 동가(東家)라고 불렀다는 고사(故事). 전하여, 대인물(大人物)도 동향(同鄕) 사람에게는 평범히 보임을 이름. 丘는 공자의 이름.
[東家女]<동가녀> 동쪽 이웃집의 여자. 미인을 이름.
[東家食西家宿]<동가식서가숙> 동쪽 집에서 먹고 서쪽 집에서 잔다는 뜻으로, ①탐욕(貪慾)스러운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②먹을 곳, 잘 곳이 없어 떠돌아다니며 이집 저집에서 얻어먹고 지내는 일 또는 그러한 사람.
[東京]<동경>《韓》고려 때, 사경(四京)의 하나. 지금의 경주.
[東經]<동경> 지구 동반구의 경도. 본초(本初) 자오선을 0도로 하고, 동쪽으로 180도까지의 경선.
[東京夢華錄]<동경몽화록> 송(宋)나라의 맹원로(孟元老)가 북송(北宋)의 서울이던 동경(東京), 곧 변경(汴京)의 풍속과 도성(都城)의 모양을 기술한 풍속서(風俗書).모두 10권.
[東皐]<동고> 봄의 논.
[東觀]<동관> 한(漢)나라의 궁중(宮中)의 서고(書庫).
[東郊]<동교> ①동쪽 들. 동쪽 교외. ②봄의 들. ③《韓》서울 동대문 밖의 근교.
[東膠]<동교> 주대(周代)의 대학(大學).
[東國]<동국> ①중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호칭. ②동쪽에 있는 나라. 동방(東方).
[東君]<동군> ①태양. ②봄의 신. 청제(靑帝). ③주인. 남편.
[東宮]<동궁> ①황태자. 왕세자. ②태자궁. 세자궁.
[東南]<동남> 동(東)쪽과 남(南)쪽. 동남간(東南間).
[東南風]<동남풍> 동남간(東南間)에서 불어오는 바람.
[東都]<동도> 후한(後漢)의 서울 낙양(洛陽). 동경(東京).
[東塗西抹]<동도서말> 문필에 종사하는 사람이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말.
[東道主]<동도주> 주인으로서 내방한 손의 안내를 하는 사람. 또는, 길을 안내하는 사람. 동도주인(東道主人).
[東流]<동류> ①동쪽으로 흐름. ②강(江)의 별칭(別稱). 중국의 강은 모두 동쪽으로 흐르므로 이름.
[東籬]<동리> 동쪽에 있는 울타리. 동리군자.
[東籬君子]<동리군자> ‘국화(菊花)’의 별칭(別稱).
[東林黨]<동림당> 명(明)나라 말년(末年)에 일어난 당파(黨派). 정권(政權)의 쟁탈을 일삼았기 때문에 명나라가 빨리 멸망하였음.
[東廡]<동무> 조선(朝鮮) 시대(時代) 때 여러 유현(儒賢)들의 위패(位牌)를 둔, 문묘(文廟) 안의 동쪽의 행각(行閣).
[東問西答]<동문서답> 묻는 말에 대하여 엉뚱한 소리로 하는 대답.
[東班]<동반> 문관(文官)의 반열(班列). 문관(文官).
[東半球] 지구를 동경(東經) 160도, 서경(西經) ②0도 선에서 동서 두 쪽으로 나눈 것의 동쪽 부분.
[東方]<동방> 동쪽.
[東方朔]<동방삭> 한(漢) 무제(武帝) 때의 사람. 자는 만천(曼倩). 벼슬은 상시랑(常侍郞), 태중대부(太中大夫). 해학, 변설, 직간(直諫)으로 이름이 남. 서왕모(西王母)의 복숭아를 훔쳐 먹고 오래 살았다고 함.
[東壁]<동벽> 동쪽에 있는 벽. 문장(文章)을 맡은 별(별)의 이름. 전(轉)하여, 문학(文學). 또는 도서관(圖書館).
[東部]<동부> 동쪽 부분.
[東北]<동북> 동쪽과 북쪽. 동북간(東北間)
[東北風]<동북풍> 동북(東北)에서 불어 오는 바람.
[東奔西走]<동분서주> 이리저리 바삐 다님. 동치서주(東馳西走).
[東史]<동사> 동국의 역사란 뜻으로, 우리 나라의 역사를 이르던 말.
[東司]<동사>《佛》사찰(寺刹)의 뒷간. 등사(登司, 측귀(廁鬼)의 이름) 의 전와(轉訛).
[東床]<동상> 남의 새 사위를 높여 이르는 말. 동상(東牀).
[東牀]<동상> 동상(東床).
[東牀禮]<동상례>《韓》혼례를 치른 뒤, 그 이튿날에 신랑이 신부 집에서 처족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일.
[東床廛]<동상전>《韓》조선 때, 서울 종로 종각(鐘閣) 뒤에 있던 잡화 시장.
[東西]<동서> 동쪽과 서쪽. 동양과 서양 방향(方向). 물건. 산물(産物). 동서남북에서 나는 물건의 뜻임.
[東序]<동서> ①하(夏)대의 대학. ②정침(正寢)의 동쪽의 서(序). 序는 정당(正堂)의 동쪽과 서쪽에 있어 내외를 구분하는 담을 말함. ③동쪽 방. 동상(東廂).
[東西南北]<동서남북> 동쪽.서쪽.남쪽,북쪽의 사방(四方)
[東西南北人]<동서남북인> 주거(住居)가 일정하지 않는 사람. 각처(各處)로 유랑(流浪)하는 사람. 각처에서 모인 사람.
[東西不辨]<동서불변> 동과 서를 분별하지 못함. 곧, 아무것도 모름.
[東西洋]<동서양> 동양(東洋)과 서양(西洋)
[東閃西忽]<동섬서홀> 동에서 번쩍, 서에서 번쩍한다는 뜻으로, 바삐 이리 갔다 저리 갔다 함의 비유.
[東陲]<동수> 나라의 동쪽 변방.
[東亞]<동아> 동쪽 아시아.
[東嶽]<동악> ‘태산(泰山)’의 별칭(別稱).
[東岸]<동안> 동쪽 언덕. 동쪽 기슭.
[東洋]<동양> 서양(西洋)에 대하여 동쪽의 아시아를 일컫는 말.
[東營]<동영> ①강원도 감영(監營)의 이칭. ②창덕궁, 경희궁의 동쪽에 있던 어영청(御營廳)의 분영(分營). ③동별영(東別營).
[東瀛]<동영> 동해(東海). 동명(東溟).
[東湧西沒]<동양서몰> 동쪽에서 솟아 서쪽에 가라앉는다는 뜻으로, 행동이 자유 자재하며 신속함을 이름.
[東雲]<동운> 동쪽 하늘의 구름. 동틀 녘. 새벽녘.
[東垣]<동원> ‘의원(醫員)’의 별칭(別稱). 금(金)나라의 의원이고 가 자기를 동원 노인(東垣老人)이라 일컬은 데서 나온 말.
[東闈]<동위> 동궁(東宮)의 문이란 뜻으로, 동궁(東宮) 곧 황태자(皇太子)를 달리 이르는 말.
[東魏]<동위> 후위(後魏)의 효종(孝宗)이 서분(西奔)한 뒤, 고환(高歡)이 효정제(孝靜帝)를 옹립하여 세운 나라.(534~550)
[東夷]<동이> 동쪽의 오랑캐라는 뜻으로, 중국 사람들이 그들의 동쪽에 있는 족속들을 멸시하여 일컫던 말. 곧, 일본ㆍ만주ㆍ 한국 등을 가리킴.
[東作]<동작> 봄에 경작(耕作)함. 또, 그 농사.
[東儲]<동저> 왕의 자리를 이을 왕자.
[東漸]<동점> 세력을 점점 동쪽으로 옮김.
[東丁]<동정> 물방울이 떨어지는 소리. 패옥(佩玉)의 소리.
[東井]<동정> 성좌(星座)의 이름. 곧, 정수(井수)
[東征西伐]<동정서벌> 동서로 정벌함. 여러 나라를 이리저리 정벌함.
[東帝]<동제> 동방(東方)의 제왕(帝王). 봄의 신(神). 동황(東皇). 동군(東君)
[東朝]<동조> ①한(漢)의 장락궁(長樂宮). ②수렴청정하던 태후(太后). 또는 태후가 집무하던 곳.
[東周]<동주> 주(周)나라 평왕(平王)부터 난왕(난王)까지의 시대. 낙양(洛陽)에 도읍하여 동방(東方)에 있었으므로 이름.
[東晋]<동진> 사마염(司馬炎)이 세운 진(晋)이 민제(愍帝)에 이르러 후조(後趙)에게 망하고, 사마예(司馬睿)가 강남에 세운 나라. 수도는 지금의 남경(南京). 11대 104년으로 망하였음.(317~420).
[東窓]<동창> 동쪽에 있는 창.
[東天]<동천> ①동쪽 하늘. ②동틀녘의 하늘.
[東遷]<동천> 동쪽으로 옮김. 주(周)나라 평왕(平王)이 도읍을 풍호(豊鎬) 지방에서 동쪽에 있는 낙양(洛陽)으로 옮긴 일.
[東瞻西望]<동첨서망> 동서를 조망함. 사방을 바라봄. 동조서망(東眺西望).
[東取西貸]<동취서대> 여러 곳에 빚을 짐.
[東馳西走]<동치서주> 동분 서주(東奔西走)
[東坡巾]<동파건> 건(巾)의 한 가지.소동파(蘇東坡)가 섰으므로 이름.
[東敗西喪]<동패서상> 가는 곳마다 실패(失敗)함.
[東風]<동풍> 동(東)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또, 봄바람.
[東風吹馬耳]<동풍취마이> 마이 동풍(馬耳東風).
[東學]<동학> ①서울에 있던 사학(四學)의 하나. ②최제우(崔濟愚)를 교조로 하는 민족 종교. 동학교(東學敎).
[東漢]<동한> 한(漢)나라의 유수(劉秀), 곧 광무제(光武帝)가 낙양(洛陽)에 도읍한 후부터 헌제(獻帝)까지의 시대. 후한(後漢). 오대(五代) 때의 북한(北漢).
[東海]<동해> 동(東)쪽에 있는 바다.
[東海揚塵]<동해양진> 바다가 육지(陸地)로 변함. 상전벽해(桑田碧海).
[東行西走]<동행서주> 동분 서주(東奔西走).
[東軒]<동헌> 고을 원이나 병사, 수사(水使) 그 밖의 수령들이 공사(公事)를 처리하던 대청이나 집.
[東向]<동향> 동쪽으로 향함. 동향(東鄕). 동향(東嚮).
[東鄕]<동향> 동쪽으로 향함. ‘鄕’은 ‘嚮’. 동향(東向). 동향(東嚮).
[東胡]<동호> 흉노(匈奴)의 동쪽에 부락을 이루어 살던 몽고족(蒙古族).
[東華錄]<동화록> 청(淸)나라의 장양기(將養驥)가 청(淸)나라 태조(太祖)로부터 세종(世宗)의 옹정(雍正) 13년까지의 일을 편찬한 사서(史書). 32권.
[東皇]<동황> 봄의 신(神). 또, 봄. 동제(東帝). 동군(東君).
[東后]<동후> 동쪽 제후(諸侯).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