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날 일)
총4획:日-0획,〔質〕
(中) rì (日) じつ, にち(ヒ, カ) (英) day
▣ 字解(자해) ▣
1. 해. 음양으로는 양(陽), 오행으로는 화(火), 인도(人道)에서는 군(君)ㆍ덕(德) 등에 해당.
2. 햇볕. 햇살. 玄甲耀日<後漢書>
3. 낮의 길이. 春日遲遲<詩經>
4. 날.
① 낮 동안. 夜以繼日<孟子>
② 하루 밤낮 동안. 合時月正日<漢書>
③ 날짜. 乃以元日盧<禮記>
④ 때. 시기. 壯者以暇日修其孝悌忠信<孟子>
5. 기한(期限). 不日成之<國語>
6. 날수. 曠日經年<漢書>
7. 접때. 앞서. 日吾來此也<國語>
8. 나라 이름. 일본(日本)의 약칭. 在日同胞.
▣ 用例(용례) ▣
[日角]<일각> ①이마의 중앙의 뼈가 해 모양으로 융기(隆起)한 것. 귀인(貴人)의 상(相). ②상술가(相術家)에서, 왼쪽 이마를 이름.
[日脚]<일각> 태양의 빛이 직선으로 쫙 비치는 형용. 햇발. 햇살.
[日刊]<일간> ①신문 따위를 날마다 간행함. 또는 그 간행물. ②‘일간 신문’의 준말.
[日旰]<일간> 일모(日暮).
[日間]<일간> 요새. 가까운 며칠 사이.
[日改月化]<일개월화> 날로 달로 변천함.
[日倨月儲]<일거월저> ①해여, 달이여. 임금과 신하, 또. 나랏님과 그의 부인, 또, 부모(父母)님에 비유됨. ②날과 달이 지나가는 일. 곧, 세월이 감을 이름.
[日計]<일계> ①하루를 단위로 하는 계산. ②날수대로의 계산.
[日計不足歲計有餘]<일계부족세계유여> 목전의 이익은 없어도 시일이 오래 되면 결국은 이익이 있음을 이름.
[日計表]<일계표> 날마다 계산 한 것을 적어 전체(全體)를 환히 알아보게 만든 표(表)
[日高三丈]<일고삼장> 해가 중천에 떴음. 삼간(三竿).
[日工]<일공> ①하루의 공전이나 품삯. ②하루에 일정한 품삯을 주고 시키는 일. ③‘일공쟁이’의 준말.
[日課]<일과> 날마다 규칙적으로 하는 일정한 일.
[日官]<일관> 천문(天文)을 맡은 벼슬아치. 천관(天官).
[日光]<일광> 햇빛.
[日光浴]<일광욕> 햇빛에 쬐어 건강(健康)을 증진(增進)하는 일.
[日較差]<일교차> 기온ㆍ기압ㆍ습도 등이 하룻동안에 변화하는 차이.
[日晷]<일구> ①해 그림자. 곧, 햇빛. 일영(日影). ②해시계.
[日久月深]<일구월심> 날이 오래되고 달이 깊어진다는 뜻으로, ‘시간이 자꾸 가서 오래 될수록 자꾸 더하여짐’을 이르는 말.
[日軌]<일궤> 태양이 운행하는 궤도(軌道). 황도(黃道).
[日勤]<일근> ①날마다 사무를 봄. ②주간 근무.
[日給]<일급> ①하루 일한 품삯. ②하루하루 따져 주는 급료. 일당.
[日氣]<일기> 그 날의 천기(天氣). 날씨.
[日記]<일기> ①날마다 생긴 일ㆍ느낌 등을 적은 개인의 기록. ②‘일기장’의 준말. ③폐한 임금의 재위(在位) 동안의 치세를 적은 역사.
[日旗]<일기> 해의 모양을 그린 기(旗).
[日氣豫報]<일기예보> 지상 및 상공의 일기도를 분석하여 그 변화를 예상하고 알리는 일. 단기ㆍ주간ㆍ장기 예보 등이 있음.
[日暖風和]<일난풍화> 일기(日氣)가 따뜻하고 바람이 화창(和暢)함.
[日南中]<일남중> 태양이 자오선에 이르는 일.
[日南至]<일남지> 태양이 남회귀선에 이르렀다는 뜻으로 동지(冬至)를 이름.
[日旦]<일단> 아침.
[日東]<일동> 일본(日本)
[日落西山]<일락서산> 해가 서산에 짐.
[日來]<일래> ①며칠 사이. ②날마다 옴.
[日力]<일력> ①그날의 해가 넘어갈 때까지의 남아 있는 동안. ②하루 종일의 일. 또는 날마다의 일.
[日曆]<일력> 그날의 날짜ㆍ요일ㆍ일진(日辰) 등을 각각 한 장에 적어 매일 한 장씩 떼거나 젖히는 책력.
[日錄]<일록> 날마다 기록함. 또는 그런 기록.
[日輪]<일륜> 해.
[日陵月替]<일릉월체> 나날이 쇠해 감.
[日母]<일모> 해. 태양.
[日暮]<일모> 해가 저묾. 또는 날이 저물 무렵.
[日暮途遠]<일모도원> 해는 저물고 갈길은 멂. 나이는 먹어 이미 늙었으나, 할 일이 많음의 비유.
[日沒]<일몰> 해가 짐.
[日薄]<일박> ①해가 황흑(黃黑)의 기운에 덮여 엷은 황색으로 되는 일. 일식(日蝕)이 아닌데 음기(陰氣)가 성(盛)하여 햇빛이 가리어짐. ②해가 저녁때에 가까와짐. 薄은 迫. ③날로 엷어짐.
[日薄西山]<일박서산> 해질녘임. 전(轉)하여, 늙어서 여명(餘命)이 얼마 남지 아니한 뜻으로 쓰임.
[日邊]<일변> ①태양이 있는 곳. ②왕성(王城)의 근처. ③임금의 좌우. ④《韓》하루하루 셈을 치는 변리.
[日報]<일보> ①나날의 보도나 보고. ②매일 내는 신문.
[日本]<일본> 아시아 극동(極東)에 있는 나라 이름. 야만인의 나라. 왜국(倭國).
[日俸]<일봉> 하루의 급료. 일급(日給).
[日附印]<일부인> 연ㆍ월ㆍ일을 넣어 찍도록 만든 도장.
[日復日]<일부일> 날마다. 나날이.
[日不暇給]<일불가급> 일이 많아 종일 쉬지 아니하여도 시간이 모자람. 일역부족(日亦不足)
[日不暇休]<일불가휴> 일불가급(日不暇給).
[日不移晷]<일불이구> 시간이 얼마 경과(經過)하지 아니함.
[日費]<일비> 날마다 드는 비용(費用).
[日射病]<일사병> 한여름철의 강한 햇볕을 오랫동안 쬘 때에 일어나는 병《심한 두통에 현기증이 나고 숨이 차며, 인사불성이 되어 졸도함》. 갈병(喝病).
[日朔月腺]<일삭월선> 나날이 다달이 줄어듦. 백성이 가혹한 세금 징수 때문에 생활이 어렵게 됨을 이르는 말.
[日削月割]<일삭월할> 나날이 쇠해짐.
[日産]<일산> ①하루의 생산량. ②일본 제품.
[日傘]<일산> ①햇빛을 가리기 위하여 한데다 세우거나 설치하는 큰 양산. ②의장(儀仗)의 하나. 자루가 길고 큰 양산. ③감사(監司)ㆍ수령(守令) 등이 부임할 때 받는 큰 양산.
[日常]<일상> ①늘. 항상(恒常). ②매일 반복되는 생활.
[日常茶飯事]<일상다반사> 항용 있는 일. 항다반(恒茶飯).
[日上三竿]<일상삼간> 해가 높이 떠서 아침이 이미 늦음.
[日夕]<일석> ①낮과 밤. ②저녁.
[日星]<일성> 해와 별.
[日收]<일수> ①《韓》본전에 변리를 얹어서 날마다 갚아가는 빚돈. ②날마다 거둠. 날마다의 수입.
[日數]<일수> ①그날의 운수(運數). ②날의 수효(數爻).
[日乘]<일승> 일기(日記).
[日食]<일식> 일본식 음식.
[日蝕]<일식> 지구와 태양과의 사이에 달이 들어가서 태양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리는 현상.
[日辰]<일신> ①일월성신(日月星辰). ②<일진> 날의 간지(干支). 갑자(甲子)ㆍ을축(乙丑) 등으로 표시하는 날짜.
[日新]<일신> 날마다 새로워짐.
[日甚]<일심> 나날이 새로워지고 다달이 왕성하여짐.
[日夜]<일야> ①주야(晝夜). 낮과 밤으로. 일석(日夕). ②평상(平常).
[日御]<일어> ①제후(諸侯)의 나라에서 천문(天文)을 맡은 벼슬아치. ②해. 태양.
[日語]<일어> 일본(日本)말. 일본어(日本語).
[日域]<일역> ①해 뜨는 곳. ②해가 비치는 곳. 천하(天下).
[日亦不足]<일역부족> 종일(終日) 하여도 시간이 모자람.
[日映]<일영> 일영(日影).
[日影]<일영> ①햇빛이 비쳐서 생기는 그림자. ②예전에 해의 그림자를 이용해 시간을 헤아리던 해시계의 하나. ③햇발.
[日午]<일오> 정오(正午). 한낮
[日曜]<일요> 칠요(七曜)의 하나. 토요일의 다음 날. 일요일(日曜日).
[日用]<일용> 날마다 드는 씀씀이.
[日傭]<일용> 날품팔이.
[日用凡百]<일용범백> 날마다 쓰는 모든 물건(物件).
[日用品]<일용품> 날마다 쓰는 물품.
[日月]<일월> ①해와 달. ②시일(侍日)의 경과(經過). ③광음(光陰).
[日居月諸]<일거월저> ①해여, 달이여! 임금과 신하, 국군(國君)과 그 부인, 부와 모에 비유함. 居ㆍ諸는 조자(助字). ②세월이 흘러가는 일.
[日月無私照]<일월무사조> 일월(日月)은 공평(公平)하게 비친다는 뜻으로, 지공 무사(至公無私)함의 비유.
[日月不爲一物悔其明]<일월불위일물회기명> 일월은 한 물건을 위하여 그 밝음을 어둡게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명군(明君)은 한 사람을 위하여 법을 굽히지 아니함을 비유한 말.
[日月逝矣歲不我與]<일월서의세불아여> 세월은 쉬지 않고 자꾸 흘러가 우리를 기다려 주지 않음.
[日月星辰]<일월성신> 일월(日月)과 성신(星辰). 곧, 해와 달과 별.
[日月蝕]<일월식> 일식(日蝕)과 월식(月蝕).
[日月如流]<일월여류> 세월은 유수(流水)와 같이 쉬지 않고 흘러 어느덧 달이 바뀌고 해가 감.
[日月如天]<일월여천> 일월이 하늘에 걸려 있음. 여(麗)는 부(附).
[日月欲明浮雲蔽之]<일월욕명부운폐지> 일월의 밝은 것을 본래의 선심(善心) 또는 군주의 총명(聰明)에 비유하고 사욕 또는 간신(奸臣)을 뜬구름에 빕유한 말로서, 사람의 본성(本性)은 착한데 사욕이 이를 가림을 이르거나, 군주는 총명한데 간신이 이총명을 가림을 이름.
[日月逾邁]<일월유매> 세월이 쉬지 않고 가 버린다는 뜻으로, 늙어서 죽을 때가 가까워짐을 이르는 말.
[日益]<일익> 나날이 더욱.
[日人]<일인> 일본(日本) 사람.
[日日]<일일> 날마다. 매일
[日日新又日新]<일일신우일신> 날마다 자꾸 진보(進步)함.
[日子]<일자> ①날짜. ②날수. ③해(太陽)의 아들.
[日字]<일자> 날짜.
[日者]<일자> ①그날 그날의 길흉을 점치는 사람. ②먼젓날. 전번에는. 낭일(曩日). 전일(前日). 왕자(往者).
[日昨]<일작> ①일전(日前). ②어제.
[日積月累]<일적월루> 나날이 쉬지 않고 쌓음.
[日前]<일전> 지나간 날. 며칠 전(前).
[日程]<일정> ①그날에 할 일. 또는 그 분량ㆍ순서. ②그날의 도정(道程). ③의회 등에 있어서 그날그날 심의할 의사(議事)나 그 순서.
[日際]<일제> 태양 가까이. 일변(日邊).
[日中]<일중> ①해가 중천에 이르렀을 때. 정오(正午). ②해가 나 있을 동안. 낮. 백주(白晝). ③낮과 밤의 길이가 같을 때. 곧, 춘분과 추분. ④《韓》가난한 사람이 하루중 낮에 한 번만 밥을 먹음. 일중식(日中食).
[日中食]<일중식> 일중(日中)④.
[日中則移月滿則虧]<일중즉이월만즉휴> 해가 중천(中天)에 뜨면 기울고 달은 차면 이지러짐. 곧, 성(盛)한 자는 반드시 쇠(衰)함의 비유.
[日中則昃月盈則食]<일중즉측월영즉식> 일중즉이월만즉휴(日中則移月滿則虧)
[日增月加]<일증월가> 날로 달로 증가함. 나날이 늘어감.
[日支]<일지> 일급(日給).
[日至]<일지> ①동지(冬至). ②하지(夏至).
[日誌]<일지> 날마다 직무상의 일을 적은 기록. 또는 그런 책.
[日知錄]<일지록> 청(淸) 나라의 고염무(顧炎武)가 경사(經史)의 고증(考證)을 한 책. 32권. 인거(引據)가 광범(廣範)하고 정확(精確)함.
[日直]<일직> ①그날그날의 당직(當直). ②낮이나 일요일의 당직. 또는 그 사람.
[日辰]<일진> ①날의 육십갑자. ②그날의 운세.
[日進]<일진> 나날이 진보함.
[日進月步]<일진월보> 날이 가고 달이 바뀜에 따라 자꾸 진보함.
[日次]<일차> 날의 순서.
[日參]<일참> 나날의 출근.
[日天]<일천> 시작한 뒤로 날짜가 많지 아니함.
[日淺]<일천> 날수가 적음.
[日出]<일출> 해가 돋음. 해돋이.
[日出三竿]<일출삼간> 해가 높이 뜬 오전(午前) 여덟시경.
[日出而作日入而息]<일출이작일입이식> 해가 뜨면 일하고 해가 지면 쉼. 곧, 자연(自然)에 따라 일하고 쉼.
[日就月將]<일취월장> 학문(學問)이 날로 달로 진보(進步)함.
[日昃]<일측> 일모(日暮).
[日晡]<일포> 해질녘. 晡는 신시(申時)로, 오후 3시~5시임.
[日餔]<일포> 일포(日晡).
[日晡祭]<일포제>《韓》발인(發靷)에 앞서 영결(永訣)을 고하는 제식(祭式). 조전(祖奠).
[日下]<일하> ①해가 비치는 아래. ②해가 뜨는 동쪽 나라. ③서울. 도읍. ④천하(天下). 세계.
[日限]<일한> 일정한 날의 기한. 또한 기한으로 지정해 놓은 날.
[日行]<일행> 하루 걷는 걸음.
[日魂]<일혼> 해의 신(神).
[日和]<일화> 일광(日光)이 화창함.
[日華]<일화> 햇빛.
[日後]<일후> 나중. 뒷날.
[日暈]<일훈> 햇무리.
[日興]<일흥> ①매일 흥겨워함. ②매일 흥겨워하는 일. 매일 즐거워하는 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