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家】(집 가, 계집 고)
총10획:宀-7획,〔㈠麻,㈡虞〕
(中) jiā,gū,jiȧ,jiė (日) か(イエ), こ (英) house, home
▣ 字解(자해) ▣
㈠ 가
1. 집.
① 사람이 사는 건물. 平原君家樓 臨民家<史記>
② 가정. 가족. 上地家七人<周禮>
③ 남편. 罷女無家<國語>
④ 아내. 又貪夫厥家<楚辭>
⑤ 가계(家系). 집안의 혈통. 克定厥家<詩經>
2. 일족. 친척. 宜其室家<詩經>
3. 거주(居住)하다. 往家焉<漢書>
4. 도성(都城). 조정(朝廷). 國家宮室<周禮>
5. 학파(學派). 학자. 罷黜百家<漢書>
6. 전문가. 上嘗使諸數家射覆<漢書>
7. 자가(自家). 자기. 此家言邪學之所以惡儒者也<荀子>
8. 성(姓).
㈡ 고
1. 계집. 마나님. 姑와 通함. 大家.
▣ 用例(용례) ▣
[家家]<가가> ①집집마다. ②적(嫡)어머니. 적모(嫡母)
[家家戶戶]<가가호호> 가가(家家)①.
[家間事]<가간사> ①집안의 사사(私事)로운 일. ②각각(各各) 자기 집에 관제 되는 일.
[家居]<가거> ①벼슬하지 않고 자기 집에 있음. ②시집 가지 아니하고 생가(生家)에 있음. ③집. 거처(居處). 가처(家處).
[家格]<가격> 지체. 문벌.
[家慶]<가경> ①집안의 경사(慶事). ②어버이가 건강함을 이름. 구경(具慶).
[家系]<가계> ①한 집안의 계통(系統). ②한 집안의 계도(系圖).
[家計]<가계> 한 집안의 생계(生計). 살림살이. 살림살이의 형편(形便).
[家誡]<가계> 한 집안에서 그 집안 사람들이 지켜야 할 경계(警戒).
[家故]<가고> 집안의 사고(事故). 집안의 변고(變故).
[家公]<가공> ①남에 대하여 아버지의 경칭(敬稱). 엄군(嚴君). ②남에 대하여 할아버지, 외할아버지의 경칭.
[家口]<가구> ①집안 식구(食口). 가족(家族). 처자(妻子). ②집수와 인구(人口).
[家具]<가구> 집안 살림에 쓰는 기구(器具). 집물(什物).
[家國]<가국> ①집과 나라. ②국가(國家). ③고향.
[家君]<가군> 자기 아버지의 존칭(尊稱).
[家眷]<가권> 거느리고 있는 가족(家族). 가솔(家率).
[家規]<가규> 한 집안의 규칙(規則).
[家禽]<가금> 집에서 기르는 날짐승.
[家給人足]<가급인족> 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豊足)함.
[家妓]<가기> 집에 길러 두는기생.
[家基]<가기> 집터.
[家內]<가내> ①집의 안. ②가족(家族).
[家奴]<가노> 집에서 부리는 종.
[家垈]<가대> 집터저노가 그에 딸린 원림(園林) 및 전토(田土)의 총칭(總稱).
[家大人]<가대인> 자기 아버지의 경칭(敬稱).
[家道]<가도> ①한 집안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도덕. 가정 도덕. ②집안의 생계(生計). 가계(家計).
[家塗]<가도> 집안의 생계. 가도(家道).
[家徒壁立]<가도벽립> 집안에 세간이라고는 하나도 없고 다만 사면에 벽만이 둘려 있을 뿐이라는 뜻으로, 집안이 빈궁함을 이름.
[家督]<가독> ①한 집안을 감독(監督)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맏아들을 이름. 적장자(嫡長子). ②호주(戶主)될 신분(身分).
[家豚]<가돈> 자기의 아들의 겸칭.
[家僮]<가동> ①집에서 부리는 종. ②집에서 부리는 아이종.
[家亂]<가란> 집안의 분란. 집안의 풍파.
[家力]<가력> 집안 형편의 정도. 터수.
[家令]<가령> ①귀족(貴族)의 집안 일을 맡은 사람. ②벼슬 이름. 태자(太子)의 관속(官屬)으로서 진한(秦漢) 때에는 창곡(倉穀)과 음식을 맡았고 진(晉)나라 때에는 형옥(刑獄)까지 겸하여 맡았음.
[家禮]<가례> 한 집안의 예법(禮法).
[家老]<가로> ①가신(家臣)의 우두머리. 가재(家宰). 실로(室老). ②한 집안에서 제일 어른 되는 사람.
[家祿]<가록> 한 집안에서 세습(世襲)하여 받는 녹(祿).
[家累]<가루> 한집안에 딸린 사람. 처자․노비 등을 이름.
[家名]<가명> ①한 집안의 명예(名譽). 가성(家聲). ②집의 명칭.
[家母]<가모> 자기의 어머니.
[家廟]<가묘> 한 집안의 사당(祠堂).
[家務]<가무> 집안 일. 가사(家事).
[家無擔石]<가무담석> 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집에 저축이 조금도 없음.
[家門]<가문> ①자기 집의 문. ②집. ③대부(大夫)의 집. ④집안. 가족(家族). 또 일족(一族). ⑤지체.
[家問]<가문> 집에서 온 편지. 가서(家書).
[家味]<가미> 한 집안의 독특한 풍미(風味).
[家邦]<가방> 집과 나라.
[家伯]<가백> ①남에게 대하여 자기의 맏형을 일컫는 말. ②남에게 대하여 자기의 백부(伯父)를 일컫는 말.
[家閥]<가벌> 한 집안의 사회적(社會的)지위(地位). 지체. 문벌(門閥).
[家法]<가법> 한 집안의 법(法).
[家變]<가변> 집안의 변고(變故).
[家譜]<가보> 한 집안의 계보(系譜).
[家寶]<가보> 한 집안에 대대(代代)로 전(傳)하여 내려 오는 보물(寶物).
[家僕]<가복> 집에서 부리는 종.
[家福]<가복> 집안의 복.
[家父]<가부> 자기의 아버지.
[家夫]<가부> ①남에게 대하여 자기의 남편(男便)을 일컫는 말. ②아내에 대하여 자기를 일컫는 말.
[家鳧]<가부> 집오리.
[家貧]<가빈> 잡안이 구차(苟且)함. 집안이 가난함.
[家貧思良妻]<가빈사양처> 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 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의 필요성을 새삼 생각 하게 된다는 말.
[家史]<가사> 한집안의 역사. 그 집에 관한 기록.
[家私]<가사> ①가사(家事). ②가구(家具)
[家事]<가사> 잡안 일.
[家舍]<가사> 사람이 사는 집.
[家削]<가삭> 주대(周代)에 기전(畿甸) 사방(四方) 삼백리 이내에 있던 대부(大夫)의 채지(采地).
[家山]<가산> 고향 산천. 고향.
[家産]<가산> 한 집안의 재산(財産).
[家相]<가상> ①한 집안의 사무를 관리하는 사람의 우두머리. 가신(家臣)의 장. ②집의 구조․방향․장소 등을 보아 길흉(吉凶)을 판단하는 일.
[家常]<가상> 일상 있은 일.
[家常茶飯]<가상다반> 가상반(家常飯).
[家常飯]<가상반> ①경상시에 먹는 식사(食事). 전(轉)하여 ②늘 있는 일. 항다반사(恒茶飯事).
[家生]<가생> ①집안의 생계. 가계(家計). ②일용기구(日用器具). 세간.
[家生奴]<가생노> 종의 자식으로서 아버지를 이어 종노릇하는 자.
[家書]<가서> 자기 집에서온 편지.
[家緖]<가서> 조상으로부터 내려오는 집안의 사업.
[家書萬金]<가서만금> 여행 중에 가인으로부터 서신을 받으면 그 기쁨이 만금을 얻는 데 해당함. 두보(杜甫)의 시 <춘망(春望)>에서 나온 말.
[家聲]<가성> 한 집안의 명성(名聲).
[家世]<가세> 문벌과 세계(世系).
[家勢]<가세> ①집안의 형세(形勢). ②살림살이의 형편(形便). 지내는 정도(程度). 더수.
[家屬]<가속> 가족(家族).
[家率]<가솔> 가권(家眷).
[家數]<가수> 일가(一家)를이룬 기술이나 학예. 또 학예․기술 따위로 일가를 이룬 사람. 전(轉)하여 종파(宗派)의 뜻으로 쓰임.
[家叔]<가숙> 남에게 대하여 자기의 숙부(叔父)를 일컫는 말.
[家塾]<가숙> ①주대(周代)에 여문(閭門) 양쪽에 집을 지어 여중(閭中)의 자제를 가르치던 곳. 여(閭)는 스물다섯 집으로 이룬 마을로서 그 마을에 문이 있었는데 이를 여문(閭門)이라 하였음. ②사가(私家)에서 차린 글방.
[家乘]<가승> 한집안의 기록. 족보(族譜)․문집(文集) 따위.
[家臣]<가신> 높은 벼슬아치의 집에서 섬기는 사람.
[家信]<가신> 자기 집에서 온 소식.
[家室]<가실> ①가정. 가족. 집안. ②아내. ③주거(住居).
[家兒]<가아> 남에게 대하여 자기의 아들을 일컫는 말.
[家岳]<가악> 남에게 대하여 자기의 장인(丈人)을 일컫는 말.
[家雁]<가안> 거위.
[家鴨]<가압> 집오리.
[家約]<가약> 가법(家法).
[家樣]<가양> 살림살이의 형편. 터수.
[家釀]<가양> 집에서 빚은 술. 가양주(家釀酒).
[家言]<가언> 사가(私家)의 언론. 곧 편견(偏見)을 가지고 일가(一家)의 말을 이룬 것.
[家嚴]<가엄> 가친(家親).
[家業]<가업> ①한 집안의 대대로 물려서 내려오는 직업(職業). 세업(世業). ②한 집안의 재산.
[家役]<가역> 집을 짓거나 고치는 일. 집 역사.
[家烈]<가열> 선열(先烈)인 조상. 조상.
[家榮]<가영> 한 집안의 번영(繁榮), 또는 영예.
[家屋]<가옥> 집.
[家用]<가용> ①집에서 쓰는 비용(費用). ②집안에서 씀.
[家運]<가운> 집안의 운수(運數).
[家喩戶說]<가유호세> 집집마다 가르치고, 사람마다 깨우침. 가유 호효(家喩戶曉).
[家人]<가인> ①육십사괘(六十四卦)의 하나. 곧 (이하(離下), 손상(巽上)) 한 집안의 안팎이 모두 바른 상(象). ②한 집안 사람. ③서인(庶人). 백성. 四종. 노복(奴僕).
[家賃]<가임> 집세.
[家貲]<가자> 가자(家資).
[家資]<가자> 집안의 자산(資産).
[家慈]<가자> 남에게 대하여 자기 어머니를 일컫는 말.
[家作]<가작> ①집을 지음. ②가옥. 일반적으로 셋집의 뜻으로 쓰임.
[家狀]<가장> 조상(祖上)의 행적(行蹟)에 관한 기록.
[家長]<가장> 한 집안의 어른. 호주.
[家藏]<가장> 집에 간직하여 둠. 또 그 물건.
[家藏什物]<가장집물> 집안의 온갖 세간.
[家財]<가재> ①한 집안의 재산. ②가구(家具).
[家姐]<가저> 남에게 대하여자기의 손위 누이를 일컫는 말.
[家邸]<가저> 가제(家弟)
[家豬]<가저> 집돼지. 돼지.
[家傳]<가전> ①대대(代代)로 전(傳)하여 내려옴. 또 그 전하여 내려오는 것. 세전(世傳) ②가사(家史).
[家丁]<가정> 집에서 부리는 남자 일군.
[家政]<가정> 집안의 살림살이. 한 집안의 경제(經濟) 가도(家道)
[家庭]<가정> 한 가족(家族)을 단위(單位)로 하여 살림하고 있는 집안.
[家庭敎育]<가정교육> 부모(父母) 형제(兄弟)가 그 자녀(子女) 자매(姉妹)에게 가르치는 교육(敎育).
[家弟]<가제> 남에게 대하여 제 아우를 일컫는 말. 사제(舍弟)
[家祭]<가제> 한 집안의 조상의 제사.
[家第]<가제> 집. 저택(邸宅). 가저(家邸).
[家祖]<가조> 남에게 대하여 자기의 할아버지를 일컫는 말.
[家祚]<가조> 한 집안에서 전해 내려오는 세계(世界).
[家族]<가족> 친족(親族)으로서 한 집안에 사는 사람.
[家尊]<가존> ①남의 아버지의 존칭(尊稱). ②자기 아버지의 존칭(尊稱).
[家座]<가좌> 집터의 위치.
[家主]<가주> 한 집안의 주인(主人).
[家主翁]<가주옹> 한 집안의 주인이 되는 노인.
[加重]<가중> 가내(家內).
[家衆]<가중> ①가신(家臣)들. ②가족.
[家至戶曉]<가지호효> 주지(周知)시키기 위하여 가가호호마다 직접 찾아가서 알림.
[家什]<가집> 집안의 세간. 가장 집물(家藏什物).
[家集]<가집> 한 집안의 문집(文集).
[家牒]<가첩> 한 집안의 보첩(譜牒).
[家畜]<가축> 집에서 기름. 또는 그 짐승.
[家親]<가친> 남에게 대하여 자기의 아버지를 일컫는 말.
[家儈]<가쾌> 토지, 가옥 따위의 매매 또는 대차(貸借)소개하는 사람. 또는 집 주름.
[家宅]<가택> 살림하는 집. 주택(住宅).
[家宅侵入]<가택침입> 아무 이유(理由)없이 남의 집이나 남이 지키고 있는 건조물(建造物)에 침입하는 일.
[家品]<가품> 가풍(家風).
[家風]<가풍> 한 집안의 풍습(風習).
[家學]<가학> 그 집안의 대대로 전하여 닦아오는 학문.
[家行]<가행> 한 집안의 행실(行實).
[家鄕]<가향> 고향(故鄕).
[家憲]<가헌> 가법(家法).
[家兄]<가형> ①남에게 대하여 자기의 형(兄)을 일컫는 말. ②금전(金鈿)의 이칭(異稱).
[家戶]<가호> 호적상(戶籍上)의 집.
[家禍]<가화> 집안의 화변(禍變). 집안에서 일어나는 재앙(災殃).
[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다 잘 되어 나감.
[家患]<가환> 집안의 우환(憂患).
[家訓]<가훈> 가정 교훈(家庭敎訓).
[家諱]<가휘> 부조(父祖)의 이름을 부르지 않는 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