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 호
  2532
작성자
  8
작성일
  2006-12-09 오후 7:34:51
조회수
  1218 회
宗(종)

*【宗】(마루 종)
총8획:宀-5획,〔冬〕
(中) zōng (日) そう, しゅう(ムネ) (英) floor, root

▣ 字解(자해) ▣
1. 마루. 일의 근원. 근본. 禮賓矜窮 禮之宗也<國語>
2. 우두머리. 뛰어난 것. 爲世儒宗<漢書>
3. 사당. 가묘. 종묘. 受命於神宗<書經>
4. 제사. 陳其宗器<中庸>
5. 제사 받는 주체. 禋于六宗<書經>
6. 일족(一族). 동성(同姓). 焉能亢宗<左傳>
7. 갈래. 유파. 禪宗. 一鉢事南宗<許渾>
8. 시조(始祖)의 적장자(嫡長子). 以孽代宗<詩經>
9. 높이다. 마루로서 높임. 學者宗之<史記>
10. 덕망 있는 조상. 또는, 그 묘호(廟號). 昔在殷王中宗<書經>
11. 조회(朝會)하다. 諸侯朝於天子 春見曰朝 夏見曰宗<周禮>
12. 향하다. 百川朝宗于海<書經>
13. 성(姓).

▣ 用例(용례) ▣
[宗家]<종가> 족보로 보아 한 문중에서 맏이로만 이어 온 큰집. 정적(正嫡)ㆍ종갓집.
[宗敎]<종교> 신이나 초자연적인 절대자 또는 힘에 대한 믿음을 통하여 인간 생활의 고뇌를 해결하고 삶의 궁극적인 의미를 추구하는 문화 체계. 그 대상ㆍ교리ㆍ행사의 차이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는데, 애니미즘ㆍ토테미즘ㆍ물신 숭배 따위의 초기적 신앙 형태를 비롯하여 샤머니즘이나 다신교ㆍ불교ㆍ기독교ㆍ이슬람교 따위의 세계 종교에 이르기까지 비제도적인 것과 제도적인 것이 있음. 교(敎).
[宗敎哲學]<종교철학> 종교의 보편적 본질, 의의, 가치 따위에 대하여 철학적 관점과 방법으로 연구하는 철학. 특정 종교와 그 신앙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신학과 다르고 경험 과학의 방법에 따르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교학과 다름.
[宗國]<종국> 종주국(宗主國).
[宗規]<종규> ①카논법. ②종약(宗約). ③종법(宗法).
[宗器]<종기> ①종묘에 쓰는 제기 및 악기. ②집안에 전해 오는 가보(家寶).
[宗女]<종녀> 황실(皇室)의 딸.
[宗畓]<종답> 조상의 제사에 쓰는 경비를 충당하기 위하여 종중(宗中)에서 관리하고 소유하는 논. 종중논ㆍ종중답.
[宗徒]<종도> 사도(使徒)를 가톨릭에서 이르는 말.
[宗老]<종로> ①문중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어른. ②군신 가운데 예악(禮樂)을 맡은 사람.
[宗論]<종론> ①종중(宗中)의 여론. ②각각 다른 종교가 서로의 우열, 진위를 들어 다투는 언론. ③하나의 경전에 대한 종지(宗旨)를 총괄하여 중심 뜻을 세움. 또는 그런 논의.
[宗盟]<종맹> 종묘(宗廟) 앞에서 맺는 맹세.
[宗廟]<종묘> ①조선 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왕실의 사당. 세종 3년(1421.에 영녕전을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타 버리고 선조 41년(1608.에 다시 세운 것이 지금 종로 3가에 남아 있음. 1996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됨. 국보 제227호. 궁묘(宮廟)ㆍ대묘(大廟)ㆍ종조(宗祧)ㆍ침묘(寢廟)ㆍ태묘(太廟). ②중국 제왕가 조상의 위패를 두던 묘. 주나라 이후 천자는 7 묘(廟), 제후(諸侯)는 5 묘를 베풀었음.
[宗門]<종문> ①종가(宗家)의 문중. ②종교(宗敎)의 갈래. 종파(宗派)
[宗班]<종반> 임금의 본종(本宗)이 되는 겨레붙이. 종성(宗姓).
[宗伯]<종백> ①예조 판서. ②조선 말기에, 종백부에 속한 벼슬. ③중국 주나라 때에, 육관(六官) 가운데 예악(禮樂)과 제사를 맡아보던 관아.
[宗法]<종법> ①종약(宗約). ②한 종파나 종문(宗門)의 법규. 종규(宗規). ③제사의 계승과 종족의 결합을 위한 친족 제도의 기본이 되는 법. 원래 중국 주나라 때에, 적장자 상속제 확립을 위하여 생겨난 제도로, 우리나라에는 삼국 시대 초기에 전래되었으며 고려 말기에 일반화. 조종묘의 제사, 공동 향찬, 복상(服喪), 동종 불혼 따위를 규정하고 있음.
[宗婦]<종부> 종자(宗子)나 종손(宗孫)의 아내. 곧 종가(宗家)의 맏며느리를 이름. 총부(冢婦).
[宗社]<종사> 종묘와 사직이라는 뜻으로, 나라를 이르는 말.
[宗祀]<종사> ①높이 받들어 제사지냄. ②조상(祖上)을 제사지냄.
[宗師]<종사> ①모든 사람이 높이 우러러 존경하는 사람. ②정법(正法)을 전하여 대중에게 존숭(尊崇)을 받는 이. ③선법(禪法)을 전하는 고승. ④각 종파의 조사(祖師). ⑤대종교에서, 성도 천리한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宗社黨]<종사당> 청(淸)나라 말기에 황실(皇室)을 옹립하여 제정(帝政)을 회복하고자 하여 일어난 당파(黨派).
[宗山]<종산> 한 겨레의 조상(祖上)의 무덤이 있는 산. 곧 종중(宗中)의 산.
[宗姓]<종성> ①종반(宗班). ②왕실의 성(姓).
[宗孫]<종손> 종가의 대를 이을 맏손자. 도장손.
[宗臣]<종신> ①나라에 큰 공을 세운 신하. ②왕족으로 벼슬자리에 있는 사람.
[宗室]<종실> ①선조(先祖)의 사당(祠堂). ②천하(天下)의 총본가(總本家). ③겨레,집안.
④제왕(帝王)의 일가. 종친(宗親)
[宗氏]<종씨> 같은 성으로서 촌수를 따질 정도가 못 되는 사람들 사이에서 서로 부르는 말.
[宗英]<종영> 동족(同族) 가운데에서 우수한 자.
[宗邑]<종읍> 능(陵)이 있는 곳. 종묘(宗廟)가 있는 곳.
[宗人]<종인> ①촌수가 아주 먼 일가. ②중국 명나라ㆍ청나라 때에, 종친의 일을 맡아보던 벼슬.
[宗子]<종자> 맏아들. 적장자(嫡長子)
[宗匠]<종장> ①경학(經學)에 밝고 글을 잘 짓는 사람. ②장인(匠人)의 우두머리.
[宗長]<종장> 한 겨레의 어른.
[宗田]<종전> 종중(宗中) 소유의 밭.
[宗正時]<종정시> 당(唐)나라 때 황족(皇族)의 족적(族籍)을 맡아보던 관아(官衙).
[宗族]<종족> 성(姓)과 본(本)이 같은 겨레붙이. 부족(部族).
[宗主]<종주> ①근본(根本). ②종자(宗子). ③제후(諸侯)의 위에 서서 패권(覇權)을 잡은 맹주(盟主). ④종묘(宗廟)의 신주(神主).
[宗周]<종주> 주(周)나라의 왕도(王都)를 이름.
[宗主國]<종주국> ①자기 나라에 종속된 다른 나라의 대외 관계에 대한 일부를 처리하는 나라. 종국(宗國). ②문화적 현상과 같은 어떤 대상이 처음 시작한 나라.
[宗主權]<종주권> 한 나라가 국내법의 범위 안에서 다른 나라의 내정이나 외교를 지배하는 특수한 권력.
[宗中]<종중> 성(姓)이 같고 본(本)이 같은 한 겨레붙이의 문중.
[宗支]<종지> 종파(宗派)와 지파(支派).
[宗旨]<종지> ①주장되는 종요로운 뜻. 주의(主意). ②종파(宗派)의 교의(敎義).
[宗枝]<종지> ①종지(宗支). ②군주(君主)의 집안. 종실(宗室)
[宗戚]<종척> 종족(宗族).
[宗親]<종친> ①한일가로서 유복친 안에는 들지 아니하는 일가붙이. ②임금의 친족. 종실(宗室).
[宗統]<종통> 종파(宗派)의 계통.
[宗派]<종파> ①종가(宗家)의 계통을 지파(支派)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②교파(敎派). ③불교의 갈래. 석가모니가 입멸한 후에 교의(敎義), 행사(行事), 작법(作法) 따위에 따라 갈라짐. 종문(宗門).
[宗會]<종회> 종중(宗中)의 회의.

패스워드 :

★전자자전★ 한자박사 제공
일련번호
한자(음)
총획(總劃)
작성일
조회수
2518
宅(택,댁)
6
2006-12-09
123
2519
宇(우)
6
2006-12-09
167
2520
守(수)
6
2006-12-09
205
2521
安(안)
6
2006-12-09
314
2522
㝍(사)
6
2006-12-09
98
2523
宋(송)
7
2006-12-09
133
2524
完(완)
7
2006-12-09
140
2525
宏(굉)
7
2006-12-09
110
2526
㝏(개)
7
2006-12-09
85
2527
宎(요)
7
2006-12-09
83
2528
宒(준)
7
2006-12-09
86
2529
宓(복,밀)
8
2006-12-09
111
2530
宕(탕)
8
2006-12-09
91
2531
宖(횡,홍)
8
2006-12-09
69
2532
宗(종)
8
2006-12-09
173
   총 15270건의 글 (168/1018)   
  [1] ...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 [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