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孝】(효도 효)
총7획:子-4획,〔効〕
(中) xiào (日) こう(コウコウ) (英) filial piety
▣ 字解(자해) ▣
1. 효도(孝道). 孝者 畜也<禮記>
2. 효자. 與廉擧孝<漢書>
2. 친상(親喪)에 복(服)을 입다.
▣ 用例(용례) ▣
[孝感]<효감> 효심이 깊은 행동에 하늘과 사람이 모두 감동함.
[孝巾]<효건> 상중(喪中)에 쓰는 건(巾). 두건(頭巾).
[孝敬]<효경> 부모를 잘 섬기고 공경함.
[孝經]<효경> 공자가 제자인 증자(曾子)에게 전한 효도에 관한 논설 내용을 기록한 책. 유교 경전의 하나.
[孝謹]<효근>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며 조심성이 깊음.
[孝女]<효녀> 부모를 잘 섬기는 딸.
[孝德]<효덕> 부모를 잘 섬기는 마음.
[孝道]<효도> ①부모를 잘 섬기는 도리. ②부모를 정성껏 잘 섬기는 일.
[孝廬]<효려> 상제(喪制)가 상제 노릇을 하고 거처하는 곳.
[孝廉]<효렴> ①효성스러움과 청렴함. ②효도하는 사람과 청렴한 사람을 통틀어 이르는 말. ③중국 전한 때에 치르던 관리 임용 과목. 또는 그 과(科)에 뽑힌 사람. 무제가 군국에서 매년 부모에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 있는 사람과 청렴한 사람을 각각 한 사람씩 천거하게 한 데서 비롯.
[孝慕]<효모>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를 사모(思慕)함.
[孝百行之本]<효백행지본> 효자덕지본(孝子德之本)과 같음.
[孝服]<효복> 상복(喪服)의 별칭.
[孝婦]<효부> ①시부모를 잘 섬기는 며느리. ②효도가 지극한 부인. ③부모의 상중(喪中)에 있는 부인(婦人).
[孝祀]<효사> 조상의 제사를 정성들여 잘 지냄.
[孝性]<효성> 부모를 잘 섬기는 천성(天性).
[孝誠]<효성> 마음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정성. 성효(誠孝).
[孝孫]<효손> ①효성스러운 손자. ②손자가 제주가 된 제사에서, 손자가 할아버지의 혼백에게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축문을 읽는 이의 입장에서 승중손(承重孫)을 이르는 말.
[孝衰於妻子]<효쇠어처자> 애정이 처자에게 끌려 자연히 부모에게 효도를 덜 하게 됨.
[孝順]<효순> 효성(孝誠)이 있어서 부모에게 잘 순종(順從)함.
[孝心]<효심> 효성스러운 마음.
[孝愛]<효애> 부모를 잘 섬기고 위함.
[孝養]<효양> 어버이를 효성으로 봉양함.
[孝烈]<효열> ①효행(孝行)과 열행(烈行)을 아울러 이르는 말. ②효자와 열녀를 아울러 이르는 말. ③효부(孝婦)와 열녀를 아울러 이르는 말.
[孝友]<효우> 부모에 대한 효도와 형제에 대한 우애를 통틀어 이르는 말. 효제(孝悌).
[孝義]<효의> 효행(孝行)과 절의(節義)를 아울러 이르는 말.
[孝子]<효자> ①부모를 잘 섬기는 아들. ②비문을 새길 때 아들의 이름 위에 적는 말. ③제사를 지낼 때, 제주(祭主)가 부모의 혼백에게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축문(祝文)을 읽는 입장에서 제주를 이르는 말.
[孝慈]<효자> 어버이에 대한 효도와 자식에 대한 사랑을 아울러 이르는 말.
[孝子德之本]<효자덕지본> 효도는 도덕의 근본임.
[孝子門]<효자문> 효자를 표창하여 기리고자 세운 정문(旌門).
[孝子不匱]<효자불궤> 효자의 효성은 지극하여 한이 없음. 일설(一說)에는 한사람이 효도하면 다른사람이 이에 감화되어 따라 효도하여 효자가 연달아 생김.
[孝子愛日]<효자애일> 효자는 날을 아낀다는 뜻으로, 될 수 있는 한 오래 부모에게 효성을 다하여 섬기고자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孝弟]<효제> 부모와 형을 잘 섬김.
[孝悌]<효제> 효제(孝弟). 효우(孝友).
[孝鳥]<효조>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어 보은한다는 데에서 유래한 말로, 까마귀를 달리 이르는 말.
[孝中]<효중> 남의 상중(喪中)을 높여 이르는 말.
[孝親]<효친> 부모에게 효도함.
[孝行]<효행> 부모를 잘 섬기는 행실.
[孝享]<효향> 조상의 제사를 지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