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아들 자)
총3획:子-0획,〔紙〕
(中) zǐ,zi (日) し(コ) (英) son, love
▣ 字解(자해) ▣
1. 아들. 자식. 有夫婦然後有父子<易經>
2. 새끼. 螟蛉有子<詩經>
3. 남자의 통칭. 陽子居見老<莊子>
4. 남자의 미칭ㆍ존칭. 齊高子來盟<左傳>
5. 스승ㆍ공자(孔子)의 호칭. 子曰. 子者 古人稱師曰子<論語ㆍ疏>
6. 사대부(士大夫)의 통칭.
7. 학덕(學德) 있는 이의 호칭. 孔子. 孟子.
8. 여자의 호칭. 其處子<孟子>
9. 그대. 2인칭. 상대자의 호칭. 子無良媒<詩經>
10. 젊은이. 此郞子好相表<北史>
11. 사람. 백성. 赤子. 渡子未回舟<高啓> 子庶民也<禮記>
12. 열매. 씨. 알. 이자(利子). 五歲始子<賈思勰 >
13. 접미사. 물건 따위의 이름 밑에 쓰임. 帽子. 卓子. 電子.
14. 12지(支)의 하나. 방위로는 북, 오행(五行)으로는 수(水), 시간으로는 밤 11시에서 1시 사이.
15. 오등작(五等爵)의 넷째. 子爵. 公侯伯子男
16. 학설로 일파를 이룬 학자. 또는, 그 저서. 諸子百家. 諸子十家 其可觀者九家而已<漢書>
17. 사랑하다. 慈와 通함. 渡子未回舟<高啓>
18. 성(姓).
▣ 用例(용례) ▣
[子癎]<자간> 주로 분만할 때 전신의 경련 발작과 의식 불명을 일으키는 질환. 임신 중독증 가운데 가장 중증인 형태로 사망률이 높음. 고도의 단백뇨, 부종, 고혈압 증상이 있는 고령의 초산부에게 많음. 아운.
[子貢]<자공> 중국 춘추 시대 위나라의 유학자(?B.C.520~?B.C.456.. 성은 단목(端木), 이름은 사(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언어에 뛰어났으며, 노나라와 위나라의 재상(宰相)을 지냄.
[子宮]<자궁> ①여성의 수정관의 일부가 발달하여 된 것으로 태아가 착상하여 자라는 기관. 자호(子壺)ㆍ포궁(胞宮). ②점술에서, 십이궁의 하나. 자손에 관한 운수를 점치는 별자리. 남녀궁.
[子規]<자규> 두견(杜鵑)의 별칭(別稱).
[子金]<자금> 이자(利子). 이전(利錢).
[子氣]<자기> 임신부의 다리와 발이 붓는 증세. 자수기.
[子囊]<자낭> ①히드로충류 생식체의 하나. 줄기 위에 생기며 생식 세포에 싸여 있음. ②은화식물(隱花植物)의 포자(胞子)를 싸고 있는 주머니. 홀씨주머니.
[子女]<자녀> 아들과 딸을 통틀어 이르는 말.
[子大夫]<자대부> 관위(官位) 있는 사람. 벼슬아치. 자(子)는 남자의 미칭(美稱)
[子道]<자도> 아들로서 어버이를 섬기는 도리.
[子來]<자래> 아들이 부모의 일에 급히 달려 오듯이 백성이 공사(公事)에 자진하여 모여듦.
[子路]<자로> 중국 춘추 시대 노나라의 유학자(B.C.543~B.C.480). 성은 중(仲). 이름은 유(由). 자로는 자. 공자의 제자로 십철(十哲)의 한 사람으로 정사(政事)에 뛰어났으며 공자를 제일 잘 섬겼다고 함.
[子痢]<자리> 임신 중에 앓는 이질. 피가 섞인 대변을 보며 배가 아프고 뒤가 묵직함.
[子淋]<자림> 임신 중에 적은 양의 오줌을 자주 누면서 아랫배가 아픈 병.
[子末]<자말> 자시(子時)의 끝 무렵. 곧 오전(午前) 한시경.
[子母錢]<자모전> 본전과 변리(邊利). 원리금.
[子母環]<자모환> 크고 작은 것이 연결된 고리.
[子卯不樂]<자묘불악> 자일(子日)과 묘일(卯日)은 음악을 하지 아니함. 주왕(紂王)은 갑자(甲子日)에 망하고 걸왕(桀王)은 을묘일(乙卯日)에 망하였으므로 그 날을 악일(惡日)이라 하여 꺼리는 것임.
[子方]<자방>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북(正北)을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 자(子).
[子房]<자방> ①한(漢)나라의 장양(張良)의 자(字). ②암술의 일부로서 배주(胚珠)가 들어 있는 불룩한 부분.
[子煩]<자번> 임신 때에 가슴이 답답하며 초조하고 쉽게 화를 내거나 정신적으로 우울하여지는 증상. 자번증.
[子本]<자본> 이자와 본전. 원리.
[子婦]<자부> ①며느리. ②아들과 며느리.
[子部]<자부> 중국 고전을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네 부로 나눌 때 자(子)에 속하는 부류. 유가, 병가, 법가, 도가, 석가, 기예, 술수 따위의 서적과 소설, 유서(類書) 따위가 이에 속함. 병부(丙部).
[子史]<자사> 옛 서적을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사부(四部)로 나눌 때 자부(子部)와 사부(史部)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제자(諸子)의 책과 역사책 따위가 이에 속함.
[子思]<자사> 중국 전국 시대 노나라의 유학자(?B.C.483~?B.C.402.. 공자의 손자로, 이름은 급(伋). 증자의 제자이며 맹자의 스승으로, 성(誠)을 천지와 자연의 법칙으로 삼고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철학을 제창. 저서에 《중용》이 있음.
[子産]<자산> 중국 춘추 시대 정나라의 정치가(?~B.C.522.. 성은 공손(公孫). 이름은 교(僑). 정나라 목공(穆公)의 손자로, 진나라와 초나라의 역학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정나라의 평화를 유지. 또 농지를 정리하고 나라의 재정(財政)을 재건하였으며, 성문법을 만듦.
[子壻]<자서> 아들과 사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子姓]<자성> 후손(後孫).
[子城]<자성> 본성(本城)에 딸려서 따로 쌓은 작은 성.
[子誠齊人]<자성제인> 견문이 좁고 고루한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공손추(公孫丑)가 관중(管仲), 안자(晏子)만을 강하다고 알고 있으므로 맹자가 그에게 ‘자네는 참으로 제나라 사람이로다’라고 하였다는 데서 유래.
[子細]<자세> ①상세함. 또 번거로움. 세밀함. ②자세히. 자세(仔細).
[子孫]<자손> ①자식과 손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자질(子姪)ㆍ조윤. ②후예(後裔). 후손(後孫).
[子孫計]<자손계> 자손을 위하여 세운 계획. 자손업ㆍ자손지계.
[子孫兟兟]<자손신신> 자손(子孫)이 많음.
[子嗽]<자수> 임신 중에 감기 따위로 늘 기침이 나는 증상.
[子時]<자시> ①십이시의 첫 번째 시. 밤 열한 시부터 오전 한 시까지. 자(子). ②이십사시의 첫 번째 시. 밤 열한 시 반부터 오전 영 시 반까지. 자.
[子息]<자식> ①아들과 딸. ②남자를 욕할 때 놈보다 낮추어 이르는 말. ③어린아이를 귀엽게 이르는 말.
[子夜]<자야> 자시(子時) 무렵의 한밤중. 자야반.
[子若孫]<자약손> 자여손(ㅍ子與孫).
[子輿]<자여> ①공자의 제자 증삼(曾參)의 자. 노(魯)나라 사람. 효행(孝行)으로 유명함. 맹자(孟子)의 자(字).
[子與孫]<자여손> 아들과 손자. 자약손(子若孫).
[子葉]<자엽> 씨앗의 움이 트면서 처음 나오는 싹. ‘떡잎’으로 순화.
[子午]<자오> 자(子)와 오(午). 정북(正北)과 정남(正南).
[子午線]<자오선> ①민태규(閔泰奎)가 발행한 시 전문지. 1937년에 발간. ②천구(天球)의 두 극과 천정(天頂)을 지나 적도와 수직으로 만나는 큰 원. 시각의 기준. 천구자오선.
[子欲養而親不待]<자욕양이친부대> 자식이 깨달아 효양(孝養)을 다하려고 하나 이미 부모는 죽어 이 세상에 없다는 말로, 효양하기 어려움을 이름.
[子月]<자월> 달의 지지(地支)가 자(子)로 된 달. 음력 동짓달.
[子游]<자유> 중국 춘추 시대 노(魯)나라의 유학자(B.C.506~?B.C.445.. 본명은 언언(言偃).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자하(子夏)와 더불어 문학에 뛰어났고 예(禮)의 사상이 투철하였음.
[子音]<자음>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장애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
[子子孫孫]<자자손손> 자손의 여러 대(代).
[子爵]<자작> ①다섯 등급으로 나눈 귀족의 작위(爵位) 가운데 넷째. 백작(伯爵)의 아래, 남작(男爵)의 위. 자(子). ②고려 공민왕 때에 둔, 오등작의 넷째 작위. ≒자.
[子錢]<자전> 꾼 금전(金錢)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로 무는 돈.
[子正]<자정> 자시(子時)의 한가운데. 밤 열두 시. 오야(午夜)ㆍ정자(正子).
[子亭]<자정> 정자(亭子).
[子正水]<자정수> 자정 때 길어서 먹는 물.
[子弟]<자제> ①남을 높여 그의 아들을 이르는 말. 자사(子舍). ②남을 높여 그 집안의 젊은이를 이르는 말.
[子腫]<자종> 임신 말기의 중독증. 비장(脾臟)과 신장(腎臟)의 기능 장애로 온몸이 심하게 붓고 소변의 양이 감소.
[子坐午向]<자좌오향> 묏자리나 집터 따위가 자방(子方)을 등지고 오방(午方)을 바라보는 방향. 정북(正北) 방향을 등지고 정남향을 바라보는 방향.
[子枝]<자지> 번성한 자손을 이르는 말.
[子姪]<자질> ①자여질. ②자손(子孫).
[子鐵]<자철> 신의 밑바닥에 박는 징을 통틀어 이르는 말.
[子初]<자초> 자시(子時)의 첫 무렵. 곧 오후 열 한 시경.
[子夏]<자하> 중국 춘추 시대의 유학자(B.C.507~?B.C.420). 본명은 복상(卜商). 공자의 제자로서 십철(十哲)의 한 사람. 위나라 문후(文侯)의 스승으로 시와 예(禮)에 능통하였는데, 특히 예의 객관적 형식을 존중.
[子瘧]<자학> 임신 중에 앓는 학질.
[子懸]<자현> 임신 중에 태기가 위로 치밀어 가슴과 배가 더부룩하고 답답하며 숨이 차는 증상. 임신 현운ㆍ자현증ㆍ자훈(子暈).
[子戶]<자호> ①분가(分家). ②자궁(子宮).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