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부처 불, 도울 필, 성할 발)
총7획:人-5획,〔㈠物,㈡質,㈢月〕
▣ 字解(자해) ▣
㈠ 불
1. 부처. 범어(梵語) Buddha의 음역(音譯). 佛陀. 西方有神名曰佛<後漢書>
2. 불교(佛敎). 伏以佛者<韓愈>
3. 불상(佛像). 佛工. 蘇晉長齋繡佛前<杜甫>
4. 자비심이 깊은 사람. 佛處士. 民舉手加額 呼余爲佛<呂氏家塾記>
5. 어렴풋하다. 비슷함. 彿과 通함. 仿佛. 仿佛其若夢<揚雄>
6. 어기다. 어그러짐. 拂과 通함. 荒乎淫 佛乎正<法言>
7. 프랑스의 약칭. 佛語 美英佛.
㈡ 필
1. 돕다. 弼과 通함. 佛時仔肩 示我顯德行<詩經>
㈢ 발
1. 성하다. 일어나는 모양. 勃, 艴과 通함. 佛然平世之俗起焉<荀子>
▣ 用例(용례) ▣
[佛然]<발연> 흥기(興起)하는 모양. 발연(勃然).
[佛家]<불가> ①불교를 믿는 사람. 또는, 그들의 사회. 불문(佛門). 불법계(佛法界). ②절. 불교의 사원(寺院). 또는, 불교의 승려(僧侶).
[佛閣]<불각>《佛》절. 사원(寺院). 불당(佛堂).
[佛龕]<불감>《佛》부처와 보살(菩薩) 등을 안치하는 주자(廚子). 감실(龕室).
[佛甲草]<불갑초> 돌나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 줄기와 잎은 나물을 해서 먹고 즙은 벌레에 물린 데나 불에 덴 데 약으로 쓰임.
[佛偈]<불게>《佛》불가(佛家)의 시(詩). 부처를 찬미하는 시로서, 그 체(體)가 4구였으므로 사구게(四句偈)라고도 함. 게송(偈頌).
[佛經]<불경> ①불교(佛敎)의 경전(經典). 불서(佛書). ②불상와 경전.
[佛戒]<불계>《佛》부처가 지시(指示)한, 부처 되기를 원하는 사람이 받아 지녀야 하는 계율(戒律).
[佛界]<불계>《佛》①여러 부처가 사는 세계. 정토(淨土). ②십계(十界)의 하나. 제불(諸佛)이 사는 세계. 또 제불(諸佛)의 경계(境界).
[佛曲]<불곡>《佛》경문(經文)을 독송(讀誦)하는 방법. 전(轉)하여, 경문에 장단을 붙인 것처럼 독송하는 노래.
[佛骨]<불골>《佛》부처의 유골(遺骨). 불사리(佛舍利).
[佛工]<불공>《佛》불구(佛具)ㆍ불상(佛像) 따위를 만드는 사람.
[佛供]<불공>《佛》부처 앞에 올리는 공양(供養). 향화(香花)․등명(燈明)․음식따위.
[佛果]<불과>《佛》불도 수행으로 얻는 과보(果報). 성불의 증과(證果).
[佛敎]<불교>《佛》기원전 5세기 초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베푼 종교. 전미개오(轉迷開悟)ㆍ성불득탈(成佛得脫)을 종지(宗旨)로 함. 불도(佛道). 불법(佛法). 석교(釋敎).
[佛具]<불구>《佛》부처 앞에 쓰는 제구. 법기.
[佛國]<불국>《佛》부처가 있는 국토. 곧, 극락정토(極樂淨土)를 이르는 말.
[佛國記]<불국기>《佛》책이름. 일권(一卷). 동진(東晉)의 중 법현(法顯)이 장안(長安)에서 천축(天竺)에 갔다가, 삼십여국(三十餘國)을 거쳐 돌아와서 이 책을 썼음.
[佛紀]<불기>《佛》석가모니불이 열반한 해를 기원 원년으로 하여 세는 햇수. 서기 2000년은 불기 2544년임.
[佛器]<불기>《佛》부처에게 올리는 공양미를 담는 그릇.
[佛壇]<불단>《佛》부처를 모셔 놓은 단. 수미단(須彌壇).
[佛堂]<불당>《佛》부처를 모신 집. 법전. 불전(佛殿).
[佛徒]<불도>《佛》불교를 믿는 신도(信徒). 불교도(佛敎徒).
[佛道]<불도>《佛》①부처가 말씀한 교도. 부처의 가르침. 법도(法道). ②불과(佛果)에 이르는 길.
[佛圖]<불도>《佛》불탑(佛塔).
[佛頭放糞]<불두방분> 부처 머리에 똥을 깔긴다는 뜻으로, 무지(無智)한 소인(小人)이 유덕(有德)한 군자(君子)를 헐뜯어도 군자는 조금도 개의치 않고 그 하는 대로 내버려둠의 비유.
[佛頭著奮]<불두착분> 부처의 이마에 똥칠한다는 말로, 좋은 저서(著書)에 변변치 않은 서문(序文)이나 평어(評語)를 쓰는 것을 비유하여 이름.
[佛燈]<불등>《佛》①부처에게 알리는 글. ②부처 앞에 바치는 등불. ③부처의 교법을 무지의 암흑을 비추는 등불에 비유한 말.
[佛郞機]<불랑기> ①프랑크족(Frank族). 프랑크사람. ②㉠명(明)나라 때 중국에 통상하러 온 포르투갈 및 스페인 사람을 일컬은 말. ㉡또 그때 그들이 가지고 온 총(銃)의 일컬음.
[佛糧]<불량> 불공(佛供)에 쓸 곡식.
[拂廬]<불려> 절. 불사(佛寺).
[佛力]<불력> 부처의 위력 또는 공력.
[佛老]<불로> 석가(釋迦)와 노자(老子).
[佛律]<불률>《佛》①중이 지켜야 할 계율(戒律). ②번쩍번쩍하며 고운 모양.
[佛滅]<불멸>《佛》불타(佛陀)의 입멸(入滅).
[佛名]<불명>《佛》①부처의 이름. 불호(佛號). ②법(法)을 이름. 부처는 법(法)에서 태어난다는 데서 이름. ③불법에 귀의한 남녀 신자에게 붙이는 이름.
[佛母]<불모>《佛》①석가여래(釋迦如來)의 어머니. 곧 마야부인(摩耶夫人). 정반왕(淨飯王)의 비(妃). ②불상을 그리는 사람.
[佛門]<불문>《佛》부처의 길. 석문(釋門).
[佛米]<불미>《佛》부처 앞에 밥을 지어 올리는 쌀. 마지쌀.
[佛鉢]<불발>《佛》부처 앞에 올리는 밥이나 쌀을 담는, 굽이 높은 그릇.
[佛鉢宇]<불발우>《佛》불발을 받쳐 들고 다니는 큰 쟁반. 불반(佛盤).
[佛罰]<불벌>《佛》부처가 내리는 벌(罰).
[佛法]<불법>《佛》①불교(佛敎). ②부처의 교법(敎法).
[佛法僧]<불법승>《佛》여래(如來)와 교법(敎法)과 승려(僧侶)의 삼보(三寶).
[佛菩薩]<불보살>《佛》부처와 보살.
[佛寺]<불사>《佛》절. 불우(佛宇).
[佛事]<불사>《佛》불가(佛家)에서 행하는 모든 일. 법사(法事).
[佛師]<불사>《佛》불상(佛像) 또는 불구(佛具)를 만드는 사람. 불공(佛工).
[佛祠]<불사>《佛》절. 사원(寺院).
[佛舍利]<불사리>《佛》석가모니의 유골(遺骨). 불골(佛骨).
[佛像]<불상>《佛》부처의 상(像).
[佛生日]<불생일>《佛》석가모니의 탄생일. 곧, 사월 초파일. 불탄일.
[佛生會]<불생회>《佛》관불회(灌佛會).
[佛書]<불서>《佛》불경(佛經). 불가서(佛家書).
[佛說]<불설>《佛》부처의 가르친 말. 불교의 설(說).
[佛性]<불성>《佛》①중생이 부처로 될 성질. ②부처의 법성. 진리를 깨달은 본성. 자비스러운 본성.
[佛所]<불소>《佛》①부처가 있는 곳. 곧 극락세계. ②불상을 안치한 곳.
[佛樹]<불수>《佛》보리수(菩提樹)의 이명(異名). 석가모니가 이 나무 밑에서 도를 깨친 데서 이름.
[佛手柑]<불수감> 운향과(芸香科)에 속하는 상록관목(常綠灌木). 열매는 유자(柚子) 비슷함. 불수감나무의 열매.
[佛乘]<불승>《佛》중생(衆生)을 성불(成佛)시키기 위한 길을 가르치는 교법(敎法).
[佛式]<불식>《佛》①불교의 의식(儀式). ②불교의 방식(方式).
[佛身]<불신>《佛》부처의 몸. 불교의 이상(理想)을 나타낸 부처의 화신(化身).
[佛室]<불실>《佛》①불상 또는 위패(位牌)를 안치한 방. ②절. 사원.
[佛心]<불심>《佛》①자비스러운 부처의 마음. ②깊이 깨달아 속세의 번뇌에 흐려지지 않는 마음.
[佛心印]<불심인>《佛》부처의 심인. 심인(心印)은 인가(印可) 또는 인증(印證)의 뜻.
[佛眼]<불안>《佛》①부처의 반쯤 뜬 눈. ②사물의 본질을 이해하는 힘을 갖춘 다섯 가지 눈의 하나로, 불법(佛法)을 깨달은 사람의,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힘.
[佛語]<불어>《佛》①부처의 말. 경전에 있는 말. 법어(法語). 불언(佛言). ②불교의 용어.
[佛緣]<불연>《佛》부처ㆍ불교와의 인연.
[佛宇]<불우>《佛》불당(佛堂)
[佛鬱]<불울> 근심으로 울적한 모양. 우울한 모양.
[佛願]<불원>《佛》①부처가 중생(衆生)을 건지고자 하는 소원. ②중생이 부처에게 구원받고자 하는 기원(祈願).
[佛月]<불월>《佛》①부처의 광명(光明)함을 달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②중생의 마음이 맑으면 부처가 이에 응(應)하여 나타나는 일. 그것이 물속에 비친 달과 같으므로 이름.
[佛恩]<불은>《佛》부처의 은혜.
[佛義]<불의>《佛》불법(佛法)의 의의(意義).
[佛儀]<불의>《佛》불교의 의식. 불식(佛式).
[佛子]<불자>《佛》①부처의 제자. ②보살의 이칭. ③계(戒)를 받아 출가한 사람. ③모든 중생. ④불교 신자.
[佛者]<불자>《佛》석가(釋迦). 또는, 불도(佛道)를 수행(修行)하는 승려(僧侶).
[佛葬]<불장>《佛》불교 의식으로 지내는 장사(葬事).
[佛藏]<불장>《佛》불상(佛像)을 모셔 둔 곳.
[佛齋]<불재>《佛》불사(佛事) 할 때 중에게 오리는 식사. 또 절에서 신도에게 주는 식사.
[佛跡]<불적>《佛》①석가(釋迦)의 유적(遺跡). ②부처의 족적(足跡).
[佛典]<불전>《佛》불경(佛經).
[佛前]<불전>《佛》①부처의 앞. 불단(佛壇)의 앞. ②부처가 세상에 나기 전.
[佛殿]<불전>《佛》불당(佛堂).
[佛錢]<불전>《佛》부처 앞에 바치는 돈.
[佛弟子]<불제자>《佛》①불교(佛敎)의 개조(開祖). 곧 석가모니. ②불교 종파(宗派)의 시조(始祖). 조사(祖師). ③불타와 조사. ④불교에 귀의한 사람의 통칭. 불자(佛者).
[佛鐘]<불종>《佛》절에 있는 종.
[佛座]<불좌>《佛》①불당(佛堂) 안의 부처를 모신 자리. 연대(蓮臺). ②좌선(坐禪)할 때의 앉는 모양. 곧 결가부좌한 모습.
[佛智]<불지>《佛》부처의 원만한 지혜. 원만구족(圓滿具足)한 지혜. 최승무상(最勝無上)의 지혜. 부처의 지혜.
[佛刹]<불찰>《佛》절. 불각(佛閣).
[佛處士]<불처사>《佛》부처같이 어질고 순한 사람을 일컫는 말. 호인(好人).
[佛天]<불천>《佛》①부처의 존칭. 불타(佛陀). ②부처와 천신(天神).
[佛勅]<불칙>《佛》부처의 말씀.
[佛陀]<불타>《佛》범어(梵語) Buddha의 음역으로, 각자(覺者)하 번역함. 부처. 석가(釋迦). 부도(浮屠).
[佛卓]<불탁>《佛》불상(佛像)을 모신 탁자.
[佛塔]<불탑>《佛》①절의 탑(塔). ②불당(佛堂).
[佛土]<불토>《佛》부처가 사는 극락정토. 또는 부처가 교화(敎化)한 국토. 정토(淨土).
[佛學]<불학>《佛》불교에 관한 학문.
[佛海]<불해>《佛》광대무변(廣大無邊)한 바다와 같은 불도(佛道). 법해(法海).
[佛享]<불향>《佛》불공(佛供).
[佛號]<불호>《佛》①부처의 이름. ②불교에 귀의한 사람의 호(號). 중의 호.
[佛畫]<불화>《佛》부처ㆍ보살의 그림. 또는 불교에 관계되는 회화.
[佛會]<불회>《佛》①부처나 보살이 모여 있는 곳. 곧 정토(淨土). ②법사(法事).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