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騎】(말 탈 기)
총18획:馬-8획,〔㈠支,㈡寘〕
(中) qí (日) き(ノル)
▣ 字解(자해) ▣
㈠ 기
1. 말 타다. 乃上馬騎<史記>
2. 걸터앉다. 不騎衡<漢書>
㈡ 기
1. 기병. 前有車騎<禮記>
2. 기마(騎馬). 車騎輜重<史記>
▣ 用例(용례) ▣
[騎鼓]<기고> 싸움터에서 쓰는 북.
[騎堂]<기당> 병조(兵曹)의 당상관(堂上官).
[騎隊]<기대> 기병(騎兵)의 대(隊).
[騎驢覓驢]<기려멱려> 나귀를 타고 나귀를 찾아다닌다는 뜻으로, 가까이에 있는 것을 도리어 먼 데서구하는 어리석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기우멱우(騎牛覓牛).
[騎馬]<기마> 말을 탐. 또, 그 탄 사람. 승마(乘馬).
[騎馬欲率奴]<기마욕솔노> '말 타면 경마 잡히고 싶다'라는 말로, 곧 사람의 욕심(慾心)은 끝이 없다는 말.
[騎馬戰]<기마전> ①말을 타고 하는 싸움. ②두 세 사람으로 짝을 지어 앞사람의 어깨에 팔을 걸어 만든 말을 타고, 서로 쓰러뜨리게 하거나 모자 빼앗기를 하는 경기(競技).
[騎兵]<기병> 말을 타고 싸우는 병사.
[騎士]<기사> ①말을 탄 무사. ②중세 유럽에서, 봉건 영주에 속한 무사.
[騎射]<기사> ①말을 타는 일과 활을 쏘는 일. ②말을 타고 달리면서 활을 쏨.
[騎士道]<기사도> 중세(中世) 유럽 봉건(封建) 제도(制度)의 발전(發展)에 따라 흥륭(興隆)한 기사 계급(階級) 특유(特有)의 도덕(道德). 용기(勇氣), 경신(敬神), 인협, 예절(禮節), 염치(廉恥), 명예(名譽) 따위의 덕을 이상(理想)으로 함.
[騎省]<기성> 기조(騎曹).
[騎乘]<기승> ①말을 탐. ②기마의 시종(侍從).
[騎月雨]<기월우> 두 달에 걸쳐 내리는 비.
[騎曹]<기조> 병조(兵曹)의 별칭. 기성(騎省). 병관(兵官). 서전(西銓). 하관(夏官).
[騎從]<기종> 말을 타고 따라감.
[騎竹]<기죽> 죽마(竹馬)를 탐.
[騎芻]<기추>《韓》조선 후기에, 20보(步) 간격으로 세워 놓은 짚 인형 다섯 개를 말을 타고 달리면서 활로 쏘아 맞히게 하던 일. 또는 그런 무과 시험 과목.
[騎判]<기판>《韓》병조 판서(兵曹判書)의 별칭.
[騎鶴上揚州]<기학상양주> ①학을 탁 양주에 오름. 많은 복락(福樂)을 한몸에 다 갖추려고 함을 말함. 전(轉)하여, ②실행(實行)하기 어려운 망상(妄想)의 비유. 양주학(揚州鶴).
[騎虎之勢]<기호지세>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형세라는 뜻으로, 이미 시작한 일을 중도에서 그만둘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