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難】(어려울 난, 우거질 나)
총19획:隹-11획,〔㈠寒,㈡翰,㈢歌〕
(中) nán,nàn,nuó (日) なん(ムズカシイ), な, なん (英) difficult
▣ 字解(자해) ▣
㈠ 난
1. 어렵다. 곤란함. 爲君難 爲臣不易<論語>
2. 어려워하다. 惟帝其難之<書經>
3. 어려운 사정. 責難於 君<孟子>
4. 고생하다. 瞋目而語難<莊子>
5. 꺼리다. 피함. 陰簡難之<戰國策>
6. 새 이름.
㈡ 난
1. 근심. 君子以儉德辟難<易經>
2. 재앙. 고통. 臨難毋苟免<禮記>
3. 원수. 적(敵). 穀圭以和難<周禮>
4. 전쟁. 싸움. 請作難<公羊傳>
5. 괴롭히다. 고통을 줌. 而藩其君舍以難之<左傳>
6. 거절하다. 而難任人<書經>
7. 따지다. 힐문함. 詰難之 以風天子<史記>
8. 꾸짖다. 於禽獸又何難焉<孟子>
9. 까다롭다. 臨機答難 酬報如響<北史>
10. 문체(文體) 이름. 논변류(論辯類).
11. 「한비자」(韓非子)의 편(篇) 이름.
㈢ 나
1. 우거지다. 잎이 우거진 모양. 隰桑有阿 其葉有難<詩經>
2. 추나(追儺). 액막이 행사. 구나(驅儺). 儺와 通함. 遂令始難敺疫<周禮>
▣ 用例(용례) ▣
[難家]<난가> 형세(形勢)가 어려운 집안.
[難堪]<난감> ①견디기 어려움. ②《韓》이러기도 어렵고 저러기도 어려워 매우 딱함.
[難件]<난건> 견디어 내거나 해내기 어려운 일.
[難境]<난경> 어려운 처지. 곤란한 상황. 곤경(困境).
[難經]<난경> 중국(中國) 고대(古代)의 한의서(漢醫書). 진(秦)나라의 명의(名醫) 편작(扁鵲)이 지음. 한의학의 근본(根本)이 되는 황제내경(皇帝內經)과 소문영추(素問靈樞) 가운데 가장 중요(重要)한 골자만을 추려서 알기 쉽게 풀이하였고, 난문(難問)을 모아 설명(說明)했음. 2권.
[難困]<난곤> 곤란(困難).
[難攻]<난공> 운동 경기나 싸움에서, 상대편을 공격하기 어려움.
[難攻不落]<난공불락> 공격(攻擊)하기 어려워 좀처럼 함락(陷落)되지 아니함.
[難關]<난관> ①통과하기 어려운 문, 또는 관문(關門). ②수월하게 넘기기 어려운 장소, 또는 고비.
[難恝]<난괄> 푸대접(-待接)하기 어려움. 괄시하기 어려움.
[難恝處]<난괄처> 푸대접(-待接)하거나 괄시하기 어려운 자리.
[難句]<난구>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이나 구절.
[難局]<난국> 어려운 판국. 간난(艱難)한 시국.
[難當]<난당> 당하기 어려움. 대적할 수 없음.
[難道]<난도> 걷기에 힘든 길.
[難讀]<난독> 읽기 어려움.
[難得]<난득> 얻기 어려움.
[難得者兄弟]<난득자형제> 얻기 어려운 게 형제(兄弟)란 뜻으로, 형제(兄弟)는 인력(人力)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형제(兄弟) 간(間)에 의가 좋아야 한다는 말.
[難得之物]<난득지물> 매우 얻기 어려운 물건(物件).
[難忘]<난망> 잊기 어려움.
[難忘之恩]<난망지은> 잊을 수 없는 은혜(恩惠).
[難免]<난면> 면하기 어려움.
[難明之案]<난명지안> 변명(辨明)하기 어려운 사건(事件).
[難問]<난문> ①힐문함. ②어려운 문제. 난제(難題).
[難民]<난민> 전쟁(戰爭), 사고(事故), 천재(天災) 지변(地變) 따위를 당하여 살아 가기 어려운 처지(處地)에 빠진 백성(百姓).
[難駁]<난박> 비난하고 반박함.
[難病]<난병> 낫기 어려운 병.
[難保]<난보> 보존하기 어려움.
[難保之境]<난보지경> 보존(保存)하기 힘든 지경(地境).
[難捧]<난봉> 빚으로 꾸어 준 돈이나 물건(物件)을 받지 못하게 됨.
[難事]<난사> 어려운 일.
[難思]<난사> 헤아리기 어려움.
[難思議]<난사의> 헤아리기 어려움. 깊은 이치(理致)나 높은 업적(業績) 등에 대하여 찬탄(讚歎)해 마지 않을 때 하는 말.
[難事必作易]<난사필작이>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 일에서 생김. 곧, 쉬운 일을 조심해 하면 어려운 일은 일어나지 아니한다는 말.
[難産]<난산> ①순조롭지 아니하게 아이를 낳음. 또는 그런 해산. ②해결하기 어려운 일을 가까스로 이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難澁]<난삽> 난삽(難澀). ①어렵고 빡빡하여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함. ②글뜻이 어려움. 어렵고 껄끄러움.
[難澀]<난삽> 난삽(難澁).
[難上]<난상> 더 할 수 없이 좋은 물품(物品)을 이름.
[難上之木不可仰]<난상지목불가앙> 오르지 못할 나무 쳐다보지도 말아야 함.
[難色]<난색> 난처한 기색.
[難素]<난소> 난경(難經)과 소문(素門). 모두 고대의 의서(醫書)임.
[難安]<난안> 마음 놓기가 어려움.
[難言]<난언> 뭐라고 말하기 어려움.
[難言之地]<난언지지> 밝혀 말하기 어려운 경우나 처지.
[難月]<난월> 산월(産月). 임월(臨月).
[難爲兄難爲弟]<난위형난위제> 누구를 형이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①누가 더 낫다고 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서로 비슷함. ②사물(事物)의 우열이 없다는 말로 곧 비슷하다는 말. 난형난제(難兄難弟).
[難有]<난유> 있기 어려움. 진귀(珍貴)함.
[難義]<난의> 이해하기 어려운 뜻.
[難疑]<난의> 의심스러운 일에 대하여 잘못을 비난하고 따짐.
[難疑問答]<난의문답> 어렵고 의심(疑心)나는 것을 서로 묻고 대답(對答)함.
[難易]<난이> 어려움과 쉬움.
[難字]<난자> 어려운 글자.
[難戰]<난전> 어려움을 무릅쓰고 싸움. 또는 그런 싸움.
[難題]<난제> 어려운 문제. 난문제.
[難中之難]<난중지난> 어려운 일 가운데서도 가장 어려움.
[難陳]<난진> 서로 의론하고 비난하면서 자기의 할 말을 진술하는 일.
[難盡筆紙]<난진필지> 붓과 종이, 곧 글월로는 이루 다 표현(表現)할 수 없음
[難處]<난처> ①험준한 곳. ②처치하기 어려움.
[難測]<난측> 헤아리기 어려움.
[難治]<난치> 병이나 버릇 따위를 고치기 어려움.
[難陀]<난타> 석가모니의 배다른 동생. 출가하였으나 처가 그리워서 승복을 벗으려 하자 부처의 방편(方便)으로 귀불(歸佛)하여 아라한과(阿羅漢果)의 자리를 얻었음. 처의 이름을 따서 손타라난타(孫陀羅難陀)라고도 부름.
[難破]<난파> 풍파(風波)나 장애물(障碍物)에 부딪쳐서 배가 부서짐.
[暖風]<난풍> 배의 진행을 방해하는 바람.
[難航]<난항> 항행(航行)하기 어려움.
[難解]<난해> 풀기가 어려움
[難解難入]<난해난입> 법화(法華)의 법리(法理)와 같이 이해(理解)하기 어렵고, 깨달음에 들기도 어려움.
[難行]<난행> ①극도(極度)로 고된 수행(修行) ②실제(實際)로 행하기 어려움
[難行苦行]<난행고행> ①아주 심하게 고생함. ②몹시 괴로운 수행.
[難行道]<난행도> 자기 힘으로 수행하여 이 세계에서 불도를 깨닫는 방법.
[難兄難弟]<난형난제> 누구를 형이라 하고 누구를 아우라 해야 할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서로 서로 엇비슷하여 어느 것이 낫거나 못함을 구별하기 어려움의 비유.
[難化]<난화> 교화(敎化)하기 어려움.
[難化之氓]<난화지맹> 교화(敎化)하기 어려운 어리석은 백성(百姓)을 이르는 말.
[難詰]<난힐> 힐난(詰難)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