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藝】(재주 예)
총19획:艸-15획,〔霽〕
(中) yì (日) げい(ワザ) (英) skill
▣ 字解(자해) ▣
1. 재주. 기예. 재능. 학문. 求也藝<論語>
2. 심다. 씨를 뿌림. 埶와 同字. 純其藝黍稷<書經>
3. 끝. 궁극. 한계. 貢之無藝<左傳>
4. 법조. 규범. 陳之藝極<左傳>
5. 과녁. 관적(貫的). 사적(射的). 藝殪仆<史記>
6. 이치(理致). 도리. 協於分藝<孔子家語>
7. 육예(六藝). 依於仁 游於藝<論語>
8. 육경(六經). 亦講論六藝<漢書>
9. 고요함.
10. 성(姓).
▣ 用例(용례) ▣
[藝極]<예극> 법도. 표준(標準).
[藝技]<예기> 기예(技藝).
[藝妓]<예기> 노래, 춤, 그림, 글씨, 시문 따위의 예능을 익혀 손님을 접대하는 기생. 가희(歌姬). 기녀(妓女).
[藝能]<예능> ①재주와 기능을 아울러 이르는 말. ②연극, 영화, 음악, 미술 따위의 예술과 관련된 능력을 통틀어 이르는 말.
[藝道]<예도> 기예(技藝)의 도(道).
[藝林]<예림> ①학문과 예술의 사회. 예원(藝苑). ②문학가(文學家)의 사회.
[藝文]<예문> ①학술과 문예를 아울러 이르는 말. ②기예와 문필을 아울러 이르는 말.
[藝文類聚]<예문유취> 중국 당나라의 구양순이 편찬한 유서(類書). 고래(古來)의 고사(故事)를 천(天), 세시(歲時), 지(地), 주(州), 군(郡), 산(山), 천(川) 따위의 48부로 나누어 사실을 기록한 다음, 이에 관계되는 시문(詩文)을 실었음. 625년에 간행. 100권.
[藝文志]<예문지> 정사(正史) 기록 가운데 당시에 있었던 서적의 목록을 수록한 책. 중국 한(漢)나라의 반고가 유흠의 《칠략》에 근거하여 지은 《한서예문지》가 대표적임.
[藝事]<예사> 기예(技藝)에 관한 일.
[藝術]<예술> ①기예와 학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 ②특별한 재료, 기교, 양식 따위로 감상의 대상이 되는 아름다움을 표현하려는 인간의 활동 및 그 작품. ③아름답고 높은 경지에 이른 숙련된 기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藝苑]<예원> ①도덕ㆍ학예에 뛰어난 신하. 일설에는, 복축서장(卜祝筮匠)의 기술로써 신사(臣事)하는 사람. ②예술가들의 사회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예림(藝林). 예원(藝園).
[藝園]<예원> 예원(藝苑).
[藝人]<예인> 여러 가지 기예를 닦아 남에게 보이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연예인(演藝人).
[藝祖]<예조> ①문덕(文德)이 있는 조상(祖上). 문조(文祖). 일설(一說)에는, 예조(禰祖)의 전음(轉音)이라 함. ② 중국에서, 태조(太祖) 또는 고조(高祖)의 통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