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획(總劃)
제 목
E-Mail
내 용
*<font color="blue" size="5">【綱】</font>(벼리 강) 총14획:糸-8획,〔陽〕 (中) gāng (日) こう(ツナ) ▣ 字解(자해) ▣ 1. 벼리. ① 그물을 폈다 오므렸다 하는 굵은 줄. 若網在綱 有條而不紊<書 經> ② 과녁을 펴서 치는 줄. 上綱與下綱 出舌尋<周禮> ③ 사물의 근본이 되는 것. 추요(樞要). 君爲臣綱 父爲子綱 夫爲婦綱. 2. 줄을 치다. 綱紀四方<詩經> 3. 통괄(統括)하다. 此朕所以垂拱總綱 責成于良二千石<晋書> 4. 비끄러매다. 綱惡馬<周禮> 5. 줄. 늘어선 줄. 행렬(行列). 離綱別赴 合緖相依<鮑照> 6. 화물(貨物)을 총괄하여 이르는 말. 花石綱 茶綱 鹽綱. 7. 그물. 網과 通함. 子釣而不綱<論語> ▣ 用例(용례) ▣ [綱擧目張]<강거목장> 대강을 들면 세목도 저절로 밝히어 진다는 말. [綱貫]<강관> 조리(條理). [綱紀]<강기> ①법강(法綱)과 풍기(風氣). ②삼강 오상(三綱五常)과 기율(紀律). [綱紀肅正]<강기숙정> 법강과 풍기를 엄숙(嚴肅)하고 바르게 함. [綱紀廢弛]<강기폐이> 정도(政道)가 쇠퇴하여 느슨해짐. [綱領]<강령> ①일을 하여 나가는 데 으뜸 되는 줄거리, 그물의 벼릿줄과 옷의 깃고대로 비유(比喩)한 말. ②정당(政黨), 노동(勞動) 조합(組合) 따위의 입장(立場), 목적(目的), 계획(計劃), 방침(方針), 또는 운동(運動)의 순서(順序), 규범(規範) 등(等)을 요약(要略)하여 열거(列擧)한 것. [綱理]<강리> 나라를 다스림. 통치함. 강기(綱紀). [綱目]<강목> ①주희(朱熹)가 지은 중국(中國)의 역사책(歷史冊). 『자치통감(自治通鑑)』을 강(綱)과 목(目)으로 나눈 것으로, 주희가 손수 만든 한 권의 범례(凡例)에 의거(依據)하여 그 문인(文人) 조사연(趙師淵) 등이 전편(全篇)을 작성(作成)했음. 59권. ②통감강목(痛鑑綱目)의 준말. [綱常]<강상> 삼강(三綱)과 오상(五常). 곧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道理). [綱常罪人]<강상죄인> 삼강(三綱)과 오상(五常)에 어긋나는 행위(行爲)를 한 사람. [綱常之變]<강상지변> 삼강(三綱) 오상(五常)에 관계되는 변고(變故). [綱要]<강요> 일의 중요(重要)한 요점(要點). [綱運]<강운> 수레 또는 배로 큰 화물을 운반함. [綱維]<강유> ①삼강(三綱)과 사유. ②나라의 법도(法度). ③골자. [綱條]<강조> 국가의 법도와 사회의 도덕. 강기(綱紀).
저장형식
Text
HTML
HTML + BR
패스워드
Copyright(c) 한자박사. All rights reserved.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