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획(總劃)
제 목
E-Mail
내 용
*<font color="blue" size="5">【盧】</font>(밥그릇 로) 총16획:皿-11획,〔虞〕 (中) lú (日) ろ (英) rice bowl ▣ 字解(자해) ▣ 1. 밥그릇. 2. 화로. 爐와 同字. 3. 창 자루. 侏儒扶盧<國語> 4. 목로. 술청. 令文君當盧<漢書> 5. 검다. ①검은 빛. 盧弓一<書經> ②검은 석비레. 壚와 通함. ③ 검은 물. 拔盧好<後漢書> ④ 눈동자. 玉女無所眺其淸盧兮<漢書> ⑤ 저포(樗蒲)놀이에서 다섯 말[주사위]이 모두 거멍이 나오는 일. ⑥ 가마우지. 수로아(水路鴉). 텃새로 한국과 일본에 분포함. 鸕와 通함. 6. 흰 꿩. 箴疵鵁盧<漢書> 7. 사냥개. 盧令令<詩經> 8. 갈대. 蘆와 通함. 9. 웃는 소리. 盧胡. ▣ 用例(용례) ▣ [盧弓]<노궁> 노궁(玈弓). 검은빛의 활. 검은 활. [盧弓盧矢]<노궁노시> 검은 칠을 한 활과 화살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고대 중국에서 큰 공이 있는 제후에게 천자가 검은 활과 화살을 하사한 데에서 정벌의 권한을 상징하게 되었음. [盧橘]<노귤> ①여름밀감의 일종. ②‘비파(枇杷)’의 별칭(別稱). ③‘금귤(金橘)ㆍ금감(金柑)’의 별칭. [盧杞]<노기> 당(唐)나라 활주(滑州) 사람. 자(字)는 자량(子良). 덕종(德宗)때 정승으로서 전횡(專橫)하여 정사(政事)가 대단히 문란하였음. [盧牟]<노모> 둘러쌈. 또, 그 안. 범위(範圍). [盧文弨]<노문초> 청대(淸代)의 경학자(經學者). 자(字)는 소궁(召弓). 절강성(浙江省) 여요(餘姚) 사람. 건륭(乾隆) 때의 진사(進士)로서 벼슬이 시독학사(侍讀學士)에 이름. 경의(經義)에 통하여 교서(校書)를 잘 하였음. 저서에 <군서습보(羣書拾補)>ㆍ<의례주소상교(義禮注疏詳校)>ㆍ<종산찰기(鍾山札記)>ㆍ<포경당문집(抱經堂文集)> 등이 있음. [盧跗]<노부> 옛날, 노의(盧醫)라고 불리던 의술가(醫術家) 편작(扁鵲)과 유부(兪跗). [盧舍那佛]<노사나불> 삼신불(三身佛)의 하나. 햇빛이 온 세계(世界)를 비추듯이 광명(光明)으로 이름을 얻은 부처. 광명불(光明佛). 보신불(報身佛). [盧生]<노생> 노(魯)의 사람. 진시황이 불로초(不老草)를 구해 오라고 하였으나 구하지 못하고 후생(侯生)과 함께 도망하자, 시황이 노하여 함양(咸陽)에서 땅에 묻어 죽였다고 함. [盧生之夢]<노생지몽> 노생(盧生)의 꿈이란 뜻으로, 인생의 영고성쇠(榮枯盛衰)가 꿈처럼 헛되고 덧없음을 이르는 말. 노생이 한단(邯鄲)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어 잠이 든 사이에, 부귀와 영화에 찬 한평생의 꿈을 꾸었다는 옛일에서 유래. 한단지몽(邯鄲之夢). 일취지몽(一炊之夢). 황량몽(黃粱夢). 한단침(邯鄲枕). [盧矢]<노시> 검은 칠을 한 화살. 화살의 길이는 4자, 또는 3자 8치. 깃은 매우 넓으며 촉은 쇠로 만드는 데 매우 큼. 조선(朝鮮) 시대(時代) 때에 붉은 칠을 한 동시(彤矢)와 함께 주로 사냥에 썼음. [盧植]<노식> 동한(東漢) 탁(涿) 사람. 자(字)는 자간(子幹). 마융(馬融)의 제자. 영제(靈帝) 때 박사(博士)가 된 후 누천(累遷)하여 벼슬이 상서(尙書)에 이름. 동탁(董卓)이 폐립(廢立)을 하였을 때 아무도 감히 말을 못 하였으나, 그만이 홀로 감연(敢然)히 항의(抗議)하다가 파면당하여 은거하였음. [盧子]<노자> 눈동자. 흑동(黑瞳). [盧照隣]<노조린> 당대(唐代)의 문학자. 자는 승지(昇之). 호는 유우자(幽憂子). 풍병(風病)을 오래 앓고 비관한 나머지 영수(潁水)에 투신 자살하였음. 초당(初唐) 사걸(四傑)의 한 사람. 저서에 《오비문(五悲文)》, 《노승지집(盧昇之集)》 20권이 있음. (637 ~689). [盧布]<노포> 러시아의 화폐 루블(rouble)의 음역. [盧胡]<노호> 웃는 소리가 목구멍에 있다는 뜻으로, 남의 눈에 뜨이지 않게 소리를 죽이고 웃음을 이르는 말.
저장형식
Text
HTML
HTML + BR
패스워드
Copyright(c) 한자박사. All rights reserved.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