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획(總劃)
제 목
E-Mail
내 용
*<font color="blue" size="5">【牧】</font>(칠 목) 총8획:牛-4획,〔屋〕 (中) mù (日) ぼく (英) cultivate ▣ 字解(자해) ▣ 1. 치다. 마소를 놓아 기름. 牧六畜而阜蕃其物<周禮> 2. 마소를 치는 사람. 馬有圉 牛有牧<左傳> 3. 목장. 求牧與芻矣<孟子> 4. 기르다. 君子卑以自牧也<易經> 5. 성 밖. 교외. 郊外 謂之牧<爾雅> 6. 다스리다. 請牧基<荀子> 7. 벼슬 이름. ① 지방의 장관. 宅乃牧<書經> ② 전답을 맡아보는 관리. 自牧歸荑<詩經> ③ 배를 맡아보는 관리. 命舟牧覆舟<禮記> 8. 법. 법도. 爲天下者用牧<逸周書> 9. 농토(農土)의 크기. 9부(夫)의 땅. 九夫爲牧 二牧而當一井 <周禮ㆍ注> 10. 성(姓). ▣ 用例(용례) ▣ [牧歌]<목가> 목동이나 목자가 부르는 노래. 목자나 농부(農夫)들의 자연(自然) 생활(生活)을 주제로 한 서정적이며 소박(素朴)한 전원시(田園詩). [牧區]<목구> 목장(牧場). [牧丹]<목단> 모란(牡丹). [牧童]<목동> 풀을 뜯기며 가축을 치는 아이. [牧馬]<목마> 말을 먹여 기름. 또는 그 말. [牧民]<목민> 임금이나 원이 백성을 다스려 기름. [牧民官]<목민관> 백성을 다스려 기르는 벼슬아치라는 뜻으로, 고을의 원(員)이나 수령 등의 외직 문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 [牧伯]<목백> 태수(太守)나 자사(刺史) 등의 지방 장관. [牧夫]<목부> ①가축을 기르는 머슴. ②옛 중국의 목민관. 또는, 목축의 일을 맡아 본 사람. 牧人(목인). [牧司]<목사> 지방의 방관. 목민관(牧民官). [牧使]<목사> 고려(高麗)와 조선(朝鮮) 때에, 지방(地方) 행정(行政) 단위(單位)의 하나인 목을 맡아 다스리던 정3품(正三品) 외직 문관(文官). [牧師]<목사> ①주(周)대에 목장을 관장한 벼슬. ②교의를 해설(解說)하고 예배(禮拜)를 인도(引導)하며 교회(敎會)나 교구의 관리(管理) 및 신자의 지도(指導) 따위의 일을 맡아보는 교직. 또는, 그 사람. [牧守]<목수> 주군(州郡)의 장관(長官). 주(州)에서는 목(牧), 군(郡)에서는 수(守)라 함. [牧豎]<목수> 더벅머리를 한 아이라는 뜻으로, ‘목동(牧童)’을 달리 이르는 말. [牧兒]<목아> 목동(牧童). [牧野]<목야> 꼴이 많이 난 곳. [牧羊]<목양> 양(羊)을 침. [牧養]<목양> 가축 따위를 침. [牧圉]<목어> ①우마(牛馬)의 목장(牧場). 소를 기르는 것을 목(牧)이라 하고, 말을 기르는 것을 어(圉)라고 함. ②소나 말을 기르는 사람. [牧牛]<목우> 먹여 기르는 소. 소를 먹여 기름. [牧人]<목인> 목부(牧夫). [牧者]<목자> ①양을 먹이는 사람 ②신자를 이끌어 보살피는 성직자(聖職者)인 목사(牧師)나 신부(神父)를 달리 일컫는 말. [牧場]<목장> 소ㆍ말ㆍ양 따위를 놓아 먹이는 넓은 구역(區域)의 땅. [牧猪奴戲]<목저노희> 돼지나 소를 먹이는 자가 하는 열등한 유희. 전(轉)하여, 도박(賭博). [牧笛]<목적> 목자나 목동이 부는 피리. [牧田]<목전> 말ㆍ소ㆍ양ㆍ닭ㆍ개ㆍ돼지의 육축(六畜)을 기르는 곳. [牧正]<목정> 금수(禽獸)를 사육하는 것을 맡은 벼슬의 장관(長官). [牧草]<목초> 꼴. [牧畜]<목축> 소, 양, 말, 돼지 같은 가축(家畜)을 많이 기르는 일.
저장형식
Text
HTML
HTML + BR
패스워드
Copyright(c) 한자박사. All rights reserved.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