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획(總劃)
제 목
E-Mail
내 용
*<font color="blue" size="5">【燈】</font>(등잔 등) ※ 俗字 灯 총16획:火-12획,〔蒸〕 (中) dēng (日) とう(トモシビ) (英) lamp ▣ 字解(자해) ▣ 1. 등불. 등명(燈明). 上元然燈 自昏至晝<春明退朝錄> 2. 등. 등잔. 燈下不明 街燈. 3.《佛》 불법. 부처의 가르침. 불법(佛法)을 등불에 비유해서 이름. 佛所言 如燈傳照<大般若經> ▣ 用例(용례) ▣ [燈架]<등가> 등잔걸이. [燈檠]<등경> 등가(燈架). [燈光]<등광> 등불 빛. [燈期]<등기> 등불을 보고 즐기는 시기란 뜻. 상원(上元) 따위. [燈臺]<등대> ①항로 표지의 하나. 바닷가나 섬 같은 곳에 탑 모양으로 높이 세워 밤에 다니는 배에 목표, 뱃길, 위험한 곳 따위를 알려 주려고 불을 켜 비추는 시설. ②나아가야 할 길을 밝혀 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燈籠]<등롱> 등의 한 가지. 대오리나 쇠로 살을 만들고, 겉에 종이나 헝겊을 덮어 씌워 그 속에 촛불을 켬. 걸어놓기도 하고 들고 다니기도 함. [燈籠草]<등롱초> 꽈리. [燈明]<등명> 신령이나 부처를 위하여 켜 놓은 등불. [燈明臺]<등명대> 등명(燈明)을 켜는 대. [燈明船]<등명선> 등선(登船) [燈夕]<등석> 관등절(觀燈節) 날 저녁. [燈船]<등선> 배 위에 높이 등표(燈標)를 걸어 놓고 항로를 알려 주는 배. 등대를 세우기 곤란한 하구(河口), 천해(淺海), 암초 따위에 정박시켜 등대 구실을 함. [燈銷]<등소> 등불이 꺼짐. [燈穗]<등수> ‘등불’을 이르는 말. 등불의 불꽃 모양이 이삭과 같다는 데에서 나온 말. [燈心]<등심> ①심지. 등주(燈炷). ②골풀의 속. 곧 '골속'으로서, 성질(性質)을 약간 찬데, 소변은 순하게 하고, 해열하는 약. 습열(濕熱)ㆍ황달(黃疸)ㆍ후증(喉症)ㆍ부종(浮腫)같은 병에 씀. [燈心草]<등심초> 골풀. [燈蛾]<등아> 불나방 [燈影]<등영> 등불의 그림자. [燈油]<등유> 등불을 켜는 데 쓰는 기름. [燈盞]<등잔> 기름을 담아 등불을 켜는 데에 쓰는 그릇. [燈節]<등절> ①《佛》 음력 사월 초파일. 연등절(燃燈節)의 준말. ②중국에서, 음력 정월 보름날로부터 열이렛날에 이르기까지 집집마다 초롱을 내걺. 원소절(元宵節). 등석(燈夕). [燈炷]<등주> 불의 심지. 등심(燈心). [燈燭]<등촉> 등불과 촛불을 아울러 이르는 말. [燈塔]<등탑> 꼭대기에 등이 있는, 탑 모양의 시설물. [燈皮]<등피> 등불이 꺼지지 않도록 바람을 막고 불빛을 밝게 하기 위하여 남포등에 씌우는 유리로 만든 물건. [燈下]<등하> 등잔 밑, 등불 아래, [燈下不明]<등하불명> ‘등잔 밑이 어둡다.’ 는 한국 속담, 자기에게 너무 가까운 일은 먼 데 일보다 오히려 모른다는 뜻. [燈火]<등화> ①등불. 등에 켠 불 ②등잔불. [燈花]<등화> 등잔불이나 촛불의 심지 끝이 타서 맺힌 불똥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燈火可親]<등화가친> 등불을 가까이할 만하다는 뜻으로, 서늘한 가을 밤은 등불을 가까이 하여 글 읽기에 좋음을 이르는 말. [燈火管制]<등화관제> 적의 야간 공습에 대비하여 등불을 가리거나 끄게 하는 일. [燈火慾滅增光]<등화욕멸증광> 등불은 꺼지려고 하는 순간에 한층 더 강한 빛을 낸다는 뜻으로, 사물이 멸망하려고 할 때 일시그 세력이 좋아짐을 이름.
저장형식
Text
HTML
HTML + BR
패스워드
Copyright(c) 한자박사. All rights reserved.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