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획(總劃)
제 목
E-Mail
내 용
*<font color="blue" size="5">【照】</font>(비출 조) 총13획:火-9획,〔嘯〕 (中) zhào (日) しょう(テラス) (英) shine ▣ 字解(자해) ▣ 1. 비추다. ① 밝게 하다. ② 빛을 보내다. 大人以繼明 照于四方<易經> ③ 대조하여 보다. 忠臣孝子 覽照前世 以爲鏡誡<後漢書> ④ 깨우치다. 詔와 通함. 照惑者 以東爲西 惑也<淮南子> ⑤ 알게 하다. 指日月使延照兮<楚辭> ⑥ 비추어서 보다. 左車中攬鏡自照<晋書> 2. 비치다. 日月得天 而能久照<易經> 3. 볕. 햇빛. 連山晩照紅<杜甫> 4. 의거(依據)하다. 준거(準據)함. 照例. 5. 증명서. 증권(證券). 取索契照<文獻通考> 6. 돌보다. 뒷바라지함. 照應. 7. 사진. 영상(影像). 傳神寫照<晋書> 8. 거울. 賣半照<群談採餘> 9. 통고(通告)하다. 문서로써 알림. 照會. ▣ 用例(용례) ▣ [照鑑]<조감> ①대조하여서 봄. ②신불(神佛) 등이 밝게 보살핌. [照檢]<조검> 문서(文書)ㆍ장부 따위에, 비추어 검사(檢査)함. [照鏡]<조경> ①거울에 비추어 봄. ②잘 보이는 거울. [照考]<조고> 율문(律文)을 참조(參照)하고 자상하게 생각함. [照管]<조관> ①처리함. ②맡아서 보관함. [照校]<조교> 대조(對照)하여 보아 맞는지 안 맞는지를 검토(檢討)함. [照膽鏡]<조담경> 사람의 마음을 비추어 본다고 하는 거울. [照度]<조도> 일정한 면적이 일정한 시간에 받는 빛의 양(量). 광원(光源)의 거리의 자승(自乘)에 반비례함. [照得]<조득> 공문서(公文書)의 서두(書頭)에 쓰는 말. 조회(照會)한다는 말. [照謄]<조등> 글을 하나하나 맞춰 보면서 베껴 씀. [照爛]<조란> 빛 남. 광휘를 발함. [照覽]<조람> ①비추어 봄. 환히 봄. ②신불(神佛)이 중생을 굽어 살핌. [照亮]<조량> 사정(事情)을 살펴서 밝혀 앎. 조량(照諒). [照例]<조례> 전례(前例)에 비추어서 상고(詳考)함. 종전(從前)대로 함. [照臨]<조림> ①해나 달이 위에서 내리 비침. ②신불(神佛)이 세상(世上)을 굽어봄. ③군주(君主)가 국토(國土)ㆍ인민(人民)을 통치(統治)함. ④귀인(貴人)의 방문(訪問)ㆍ임장(臨場) 등의 경칭(敬稱). [照魔鏡]<조마경> ①악마의 본체를 비추어 그 진상(眞相)을 드러내는 거울. ②사회의 숨은 본체를 비추어 냄. [照明]<조명> ①밝게 비춤. 환히 비춤. ②무대에 빛을 비추는 일. ③어떤 대상을 일정한 관점으로 바라봄. [照冥]<조명> ①우란분(盂蘭盆)을 행하는 날. 곧, 칠월 보름날에 피우는 불. ②어두운 데를 비춤. [照明彈]<조명탄> 야간에 적정(敵情)을 알기 위하여 발사하는 강한 빛을 발하는 탄환. [照懋]<조무> 밝고 성대(盛大)함. [照微]<조미> 희미한 것을 비추어 환하게 함. [照病鏡]<조병경> 뱃속의 병을 비추어 보는 거울. [照覆]<조복> 조회(照會)에 대한 답장(答狀). 인적 사항 따위를 물어 온 데 대하여 답함. [照査]<조사> 대조하여 조사함. [照射]<조사> ①햇빛 따위가 내리쬠. ②광선(光線) 따위를 쬠. [照像]<조상> 사진을 찍음. 또, 사진. [照星]<조성> 가늠쇠. 총구(銃口) 끝에 장치하여 가늠할 때 씀. [照歲燈]<조세등> 그믐날 밤의 등불. [照映]<조영> ①비침. ②빛을 받아 빛남. [照曜]<조요> 조요(照耀). [照耀]<조요> 밝게 비치어서 빛남. [照應]<조응> ①문장(文章)등의 전후를 대조하여 균형을 잡음. ②원인에 따라서 결과가 생김. [照字鰒]<조자복> 품질(品質)이 아주 좋아, 글자가 내비칠 정도(程度)로 마른 전복. [照灼]<조작> 빛남. 광휘를 발함. [照照]<조조> 환히 비추는 모양. 빛나는 모양. [照準]<조준> ①목표물에 명중하도록 겨냥함. ②겨냥을 보는 표준. [照澄]<조징> 맑게 비침. [照察]<조찰> 잘잘못을 보아 살핌. [照彰]<조창> 환히 나타남. 빛나 나타남. [照尺]<조척> 가늠자. 착탄 거리를 조준(照準)하는 데 쓰는 눈을 새긴 조각. [照徹]<조철> ①두루 비치어 뚫음. ②환하게 비치어 빛남. [照撮]<조촬> 사진을 찍음. [照破]<조파> 불타(佛陀)가 지혜(智慧)의 광명으로써 범부(凡夫)의 무명(無明)을 비치어 깨치는 일. [照合]<조합> 잘못 따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서로 맞추어 봄. [照海鏡]<조해경> 배에 비치한 망원경. [照驗]<조험> 서로 맞대어 보아서 징험함. [照會]<조회> ①문의(問議)함. 물어서 확인함. ②대조(對照)하여 생각함. [照訖講]<조흘강> 과거(科擧)를 보려고 하는 유생(儒生)에게 시험(試驗) 보기 전에 먼저 성균관(成均館)에서 호적(戶籍)의 대조를 끝내고 소학(小學)을 외게 하던 일. 이에 합격(合格)한 사람에게 조흘첩(照訖帖)을 주어 과거(科擧)를 보게 했음. [照訖帖]<조흘첩> 조선(朝鮮) 시대(時代) 때 성균관(成均館)에서 과거(科擧) 응시 자격자(資格者)에게 주던 증서 조흘강(照訖講)에 합격(合格)한 사람에게 주었는 데, 호패와 조흘첩이 없으면 과거(科擧)에 응시할 수 없게 하였음.
저장형식
Text
HTML
HTML + BR
패스워드
Copyright(c) 한자박사. All rights reserved.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