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획(總劃)
제 목
E-Mail
내 용
*<font color="blue" size="5">【朱】</font>(붉을 주) 총6획:木-2획,〔虞〕 (中) zhū (日) しゅ(アカ) (英) red ▣ 字解(자해) ▣ 1. 붉다. 붉은빛. 朱肉. 2. 붉은 빛깔을 띤 물건. 被朱佩紫<夏侯湛> 3. 적토(赤土). 주사(朱砂). 단사(丹砂). 4. 나무 이름. 朱木. 5. 줄기. 그루터기. 株와 通함. 6. 연지. 화장품의 한 가지. 傳粉施朱<顔氏家訓> 7. 난쟁이. 侏와 通함. 朱儒. 8. 성(姓). ▣ 用例(용례) ▣ [朱闕]<주궐> 붉은 칠을 한 대궐. [朱記]<주기> 붉은 글씨로, 중요(重要)한 곳이나 특별(特別)한 부분(部分)을 드러나게 기록(記錄)하거나 표(表)하는 일. [朱紐]<주뉴> 옥으로 만든 붉은 단추. [朱丹]<주단> 곱고 붉은 색 또는 그 칠. [朱螺]<주라> 붉은 칠을 한 소라 껍데기로 만든 악기(樂器). [朱欄]<주란> 붉은 칠을 한 난간. [朱蠟]<주랍> 편지 겉봉 같은 것을 봉하는 데 쓰는 붉은 빛깔의 밀(蜜). [朱苓]<주령> 단풍나무 뿌리에서 나는 버섯 종류의 한 가지. 한방에서 이뇨제(利尿劑)로 씀. 저령(豬苓). [朱鷺]<주로> 따오기. [朱樓畵閣]<주루화각> 단청(丹靑)으로 채색한 화려(華麗)한 누각(樓閣). 주란화각(朱欄畫閣). [朱笠]<주립> 융복(戎服)을 입을 때에 쓰던 붉은 대갓. 자립(紫笠). [朱買臣]<주매신> 전한(前漢)무제(武帝)때의 문신(文臣) 자(字)는 옹자(翁子) 처음에 집이 가난하여 살림이 어려울때의 그의 아내는 참지 못하여 그를 버리고 달아났는데 그가 뒤에 회계(會計)의 태수(太守)가 되어 그 고을을 지날 때 그 아내는 스스로 부끄러이 여겨 목매어 죽었다고 함. [朱明]<주명> ①여름의 아칭(雅稱). ②해. 태양. ③명(明)나라를 이르는 말. [朱墨]<주묵> ①붉은 빛깔의 먹. ②붉은 먹과 검은 먹으로 장부에 지출과 수입을 적는다는 뜻으로, 관청에서 집무함을 이름. ③시문의 첨삭(添削). 퇴고(推敲). [朱門]<주문> ①붉은 칠을 한 문(門) ②지위(地位)가 높은 사람이나 부호(富豪)의 집. [朱門家]<주문가> 지위가 높고 지체가 높은 사람의 집 귀인(貴人)의 집문에는 붉은 칠을 한데서 이름. [朱文公]<주문공> 주희(朱熹). [朱夫子]<주부자> 주희(朱熹). [朱砂]<주사> 판장(板墻) 섬유상(纖維狀) 입상(粒狀) 혹은 괴상(怪狀)으로 된 광택이 있는 붉은 광물 진사(辰砂). [朱色]<주색> 누렁이 조금 섞인 붉은 빛깔. [朱書]<주서> 주묵(朱墨)으로 글씨로 씀, 또 그 글씨. [朱錫]<주석> 놋쇠. [朱脣晧齒]<주순호치> 붉은 입술과 흰 이라는 뜻으로 미인(美人)을 형용하는말. [朱안]<주안> 검붉은 빛 적흑색(赤黑色). [朱顔]<주안> ①술을 마셔서 붉어진 얼굴 ②홍안(紅顔)과 같음. [朱硯]<주연> 주묵(朱墨)을 가는데 쓰는 벼루. [朱幃]<주위> 붉은 휘장. [朱肉]<주육> 인주(印朱). [朱衣吏]<주의리> 향도(嚮導)하는 벼슬아치. [朱衣象笏]<주의상홀> 붉은 옷과 상아(象牙) 홀(笏) 주의(朱衣)는 시어사(侍御 史)의 제복(制服). [朱衣點頭]<주의점두> 과거(科擧)에 응시(應試)한 문장이 선에 들어 급제함. 점두(點頭)는 승낙한다는 뜻으로, 머리를 끄덕임. [朱印]<주인> 인주로 찍는 도장. [朱子]<주자> 주희(朱熹)의 경칭(敬稱). [朱泚]<주자> 당(唐)나라의 반신(叛臣). 덕종(德宗) 때 태위(太衛)가 되고 뒤에 경원(涇原)의 절도사(節度使) 요영언(姚令言)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추대되어 제위(帝位)에 오르고 국호(國號)를 대진(大秦)이라 하였으나, 얼마 후에 이성(李晟)에게 쫓기어 망하였음. [朱紫]<주자> ①붉은빛과 자줏빛, ②정(正)과 사(邪). ③붉은빛과 자줏빛의 옷 또는 인끈. 전(轉)하여, 고위관리(高位官吏). [朱子學]<주자학>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주장한 유학(儒學). 송학(宋學). 도학(道學). 성리학(性理學). [朱雀]<주작> ①28수(宿) 중 남방에 있는 성수(星宿)로, 남쪽 하늘을 지키는 신. 붉은 봉황의 형상으로 상징함. 주조(朱鳥). ②남쪽. 남방. [朱全忠]<주전충> 오대(五代)때의 양(梁)나라의 태조(太祖). 당(唐)나라의 소종(昭宗)을 죽이고, 그 아들 애제(哀帝)를 세웠다가 이어 선위(禪位)의 형식을 밟아 제위(帝位)에 올랐음. [朱點]<주점> 주묵으로 찍은 점. 옛 시문에서 잘된 곳에 찍은 비점(批點) 따위. [朱點沙器]<주점사기> 주묵(朱墨)으로 붉은 점을 찍어 만든 사기. [朱鳥]<주조> ①빛이 붉은 새. ②주작(朱雀). [朱陳之好]<주진지호> 주씨(朱氏)와 진씨(陳氏)의 두터운 세의(世誼). 서주(徐州)의 주진촌(朱陳村)에 주씨와 진씨만이 살아 대대로 혼인을 하였으므로, 전(轉)하여 양가(兩家)에서 대대로 통혼(通婚)하는 사이라는 뜻으로 쓰임. [朱天]<주천> 구천(九天)의 하나. 서남쪽의 하늘. [朱土]<주토> ①빛이 붉은 흙. 적토(赤土). ②석간주(石間硃). [朱筆]<주필> ①주묵(朱墨)을 찍어 글씨를 쓰는 붓. ②주서(朱書). [朱夏]<주하> 여름. 주명(朱明)①. [朱汗]<주한> 피와 같은 빛의 땀. 대단히 수고하여 흘리는 땀의 뜻으로 쓰임. 한혈(汗血). [朱檻]<주함> 붉은 칠은 한 난간(欄干). [朱戶]<주호> ①붉은 칠을 한 지게문. 천자(天子)가 공로(功勞)가 있는 제후(諸侯)에게 주는 구석(九錫)의 하나. 전(轉)하여 ②권세(權勢)가 있는 집. 권가(權家). [朱紅]<주홍> ①붉은빛과 누른빛의 중간(中間)으로 붉은 쪽에 가까운 빛깔. 주홍빛. 주홍색. ②성분(成分)이 황과 수은(水銀)으로 만든 붉은빛의 안료. [朱黃]<주황> 빨강과 노랑의 중간색. 또는 그 물감. [朱晦庵]<주회암> 주희(朱熹). [朱熹]<주희> 남송(南宋)의 유학자. 자는 원회(元晦). 호는 회암(晦庵)ㆍ회옹(晦翁)ㆍ자양(紫陽). 경학(經學)에 정통하여 송학(宋學)을 대성하였음. 주자학의 비조(鼻祖)로서 조선의 유학에 큰 영향을 끼쳤음. 저서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근사록」(近思錄), 「사서집주」(四書集註) 등. (1130∼1200). [朱曦]<주희> 붉은 햇빛이라는 뜻으로, 여름 아침의 해를 이름.
저장형식
Text
HTML
HTML + BR
패스워드
Copyright(c) 한자박사. All rights reserved.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