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획(總劃)
제 목
E-Mail
내 용
*<font color="blue" size="5">【學】</font>(배울 학) 총16획:子-13획,〔覺〕 (中) xué (日) がく(マナブ) (英) learn ▣ 字解(자해) ▣ 1. 배우다. 學而時習之<論語> 2. 학문. 爲學日益<老子> 3. 학생. 학자. 鴻儒碩學<南史> 4. 학교. 大學. 國有學<禮記> 5. 학파. 가르침. 易有京氏之學<漢書> ▣ 用例(용례) ▣ [學監]<학감> 예전에, 학교장의 지휘 아래 학무(學務) 및 학생을 감독하던 직위. 또는 그 직위에 있던 사람. [學界]<학계> 학문을 연구하는 사회. 또는 학자의 사회. 학문계ㆍ학술계. [學契]<학계> 교육이나 학비 조달을 목적으로 하는 계. [學階]<학계> 중의 학식에 따라 주는 강사(講師), 법사(法師) 따위의 위계. [學科]<학과> 교수 또는 연구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한 학술의 분과. [學課]<학과> 학문이나 학교의 과정. [學官]<학관> ①이문학관. ②교육을 맡아 하던 벼슬아치. [學館]<학관> ①학교를 달리 이르는 말. ②학교의 명칭을 붙일 조건을 갖추지 못한 사립 교육 기관. [學校]<학교> 일정한 목적ㆍ교육 과정ㆍ설비ㆍ제도 및 법규에 의하여 교사가 계속적으로 학생에게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 학원(學院). [學究]<학구> ①당학문을 깊이 연구함. ②학문에만 열중하여 세상 물정을 모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③학문에 몸을 바친 학자. [學窮]<학궁> ①오활(迕闊)한 학자. 부유(腐儒). ②배워 구명(究明)함. ③예전에, 글방 선생을 이르던 말. 학궁(學窮). [學規]<학규> ①학교의 규칙. 교칙(校則). 학칙. ②학과의 규칙. [學級]<학급> 한 교실에서 공부하는 학생의 단위 집단. 같은 학년의 학생으로 편성되는 단식 학급이 보통이지만, 소규모 학교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는 두 학년 이상에 걸치는 복식 학급을 편성하는 수도 있음. 학반(學班). [學期]<학기> 한 학년 동안을 학업의 필요에 의하여 구분한 기간. 보통 3~8월과 9~2월의 두 학기로 나뉨. [學年]<학년> ①일 년간의 학습 과정의 단위. ②수업하는 과목의 정도에 따라 일 년을 단위로 구분한 학교 교육의 단계. [學老於年]<학노어년> 나이가 젊은 데 비하여서는 학문이 노성(老成)함. [學堂]<학당> ①글방. 학교. ②개화기 때에, 학교를 이르던 말. 구한말에 관학(官學)이 부진하게 되자 외국인들에 의한 사학(私學)이 세워졌을 때 학교의 명칭으로 사용. ③고려 시대에, 중앙에 둔 학교. 원종 2년(1261.에 동ㆍ서의 두 학당을 처음 설치하였으며 뒤에 오부(五部) 학당으로 강화. ④사학(四學). [學德]<학덕> 학식과 덕행을 아울러 이르는 말. [學徒]<학도> ①학생. 생도. ②학문을 닦는 사람. [學董]<학동> 학교나 글방에 다니며 공부하는 아이. [學等]<학등> 학문의 등급. [學廬]<학려> 학사(學舍). [學力]<학력> 교육을 통하여 얻은 지식이나 기술 따위의 능력. 교과 내용을 이해하고 그것을 응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능력. [學歷]<학력> 학교를 다닌 경력. [學齡]<학령> 법률상 국민 교육을 받을 의무가 발생하는 연령. [學流]<학류> 학파(學派). [學理]<학리> 학문에서의 원리나 이론. [學林]<학림> ①학자가 모이는 곳. ②불교의 학교. ③송(宋)나라 왕관국(王觀國)이 찬(撰)한 소학(小學)에 관한 책. 십권(十卷). 자체(字體).자의(字義)의 변별(辨別)을 주로 하였는데 전인(前人) 미발(未發)의 곳이 많음. [學名]<학명> ①학문으로 떨친 명성. ②학술적 편의를 위하여, 동식물 따위에 붙이는 이름. 스웨덴의 식물학자 린네가 창안한 것으로 라틴 어를 사용하여 앞에는 속명(屬名)을, 그 다음에는 종명(種名)을 붙이는 이명법으로 되어 있음. [學務]<학무> 학사에 관한 사무. [學問]<학문> 어떤 분야를 체계적으로 배워서 익힘. 또는 그런 지식. [學閥]<학벌> ①학문을 닦아서 얻게 된 사회적 지위나 신분. 또는 출신 학교의 사회적 지위나 등급. ②출신 학교나 학파에 따라 이루어지는 파벌. [學步於邯鄲]<학보어문단> 한단(邯鄲)은 조(趙)나라의 서울로 보행(步行)에 능한 습속이 있었는데 연(燕)나라의 소년이 와서 그 보행법을 배우려다가 배우지 봇하고 오히려 자기 고유의 보행법도 잊어버렸다는 고사(故事). 자기의 본분을 버리고 다른사람의 행의를 본뜨려다가는 도리어 양쪽을 다 잃게 됨을 비유한 말. [學僕]<학복> 글방이나 스승의 심부름을 하면서 공부하는 사람. [學府]<학부> ①학문이나 학자가 모인 곳이라는 뜻으로, 대학을 이르는 말. ②학문에 해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學費]<학비> 공부하며 학문을 닦는 데에 드는 비용. 학비금ㆍ학자(學資)ㆍ학자금. [學士]<학사> ①학술 연구에 전념하는 사람. ②대학의 학부 과정을 마치고 규정된 절차를 밟은 사람에게 수여하는 학위를 이르는 말. ③신라ㆍ태봉에서, 한림에 속한 벼슬. ④고려 시대에, 뛰어난 학자로 뽑혀서 왕에게 시종하였던 문관. 홍문관, 밀직사, 한림원 따위에 둠. ⑤지공거. ⑥조선 전기에, 중추원에 속한 종이품 벼슬. ⑦조선 후기에, 경연청ㆍ규장각ㆍ홍문관에 속한 칙임 벼슬. ⑧준박사. [學舍]<학사> 학문을 닦는 곳. 또는 그런 목적으로 사용하는 건물. [學事]<학사> ①학문에 관계되는 일을 통틀어 이르는 말. ②학교의 교육, 경영 따위에 관한 모든 일. [學士院]<학사원> 고려 초기에, 사명(詞命) 짓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광종 때 원봉성을 고친 것인데, 뒤에 한림원ㆍ문한서ㆍ예문관ㆍ사림원ㆍ춘추관 따위로 바꿈. [學生]<학생> ①학예를 배우는 사람. ②학교에 다니면서 공부하는 사람. 학도. ③생전에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죽은 사람의 명정, 신주, 지방 따위에 쓰는 존칭. ④신라 때에, 국학에서 가르침을 받던 사람. [學書如沼急流]<학서여소급류> 글씨 쓰기를 배우기는 급류(急流)를 거슬러 올라가는 것같이 나아가기 쉽지 않음. [學設]<학설> 학문상(學問上)의 논설.학술상의 의견. [學修]<학수> 학문을 닦음. [學術]<학술> ①학문과 기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 ②학문의 방법이나 이론. [學術語]<학술어> 학술 분야에 한정된 뜻으로 쓰는 전문 용어. 갈말ㆍ술어(術語). [學習]<학습> ①배워서 익힘. ≒습학(習學). ②경험의 결과로 나타나는, 비교적 지속적인 행동의 변화나 그 잠재력의 변화. 또는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 [學僧]<학승> ①경전이나 교리 및 속학을 널리 아는 중. ②배우는 과정에 있는 중. [學植]<학식> 닦아 쌓은 학문. 학문의 소양(素養). [學識]<학식> ①배워서 얻은 지식. ②학문과 식견을 통틀어 이르는 말. [學業]<학업> ①공부하여 학문을 닦는 일. ②주로 학교에서 일반 지식과 전문 지식을 배우기 위하여 공부하는 일. [學藝]<학예> ①학문과 예능을 통틀어 이르는 말. 술학(術學). ②문장과 기예를 통틀어 이르는 말. [學友]<학우> ①같이 공부하는 벗. ②같은 학문을 하는 벗. 학려(學侶). [學苑]<학원> 학원(學園) [學院]<학원> ①학교(學校). ②학교 설치 기준의 여러 조건을 갖추지 아니한 사립 교육 기관. 교육 과정에 따라 지식, 기술, 예체능 교육을 행함. [學園]<학원> ①학교 및 기타 교육 기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 ②학교원. ③1919년에 발간된 최초의 학생 잡지. 창가, 소설 따위가 발표되어 소년ㆍ소녀들에게 처음으로 문학적인 분위기에 접하는 계기를 만들어 줌. [學位]<학위> 어떤 부문의 학문을 전문적으로 익히고 공부하여 일정한 수준에 오른 사람에게 대학에서 주는 자격. 학사, 석사, 박사 따위가 있음. [學而不思則罔]<학이불사즉망> 학문을 닦아도 깊이 사색(思索)을 하지 아니하면 혼매(昏昧)하여 밝지 못함. [學而知之]<학이지지> 배워서 앎. [學子]<학자> 학생(學生). [學者]<학자> ①학문에 능통한 사람. 또는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 학장(學匠). ②경학이나 예학에 능통한 사람을 이르던 말. [學資]<학자> 학비(學費). [學者三多]<학자삼다> 학자의 세 가지요건(要件). 곧 독서를 많이 하여야 할 것. 지론(持論)이 많아야 할 것. 저술(著述)이 많아야 할 것. [學箴]<학잠> 학문을 닦는 사람에 대한 경계(警戒). [學長]<학장> ①학교의 장(長). ②중국의 구제(舊制)대학에서 분과(分科) 및 예과(豫科)의 과주임(科主任). 문과학장. 이과학장 따위. ③단과 대학의 장. [學才]<학재> 학문에 대한 재능. [學籍]<학적> 학교에 비치하는 학생에 관한 기록. 학생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주소, 성적, 입학, 졸업, 보호자, 보증인, 환경, 신체 상황 따위를 내용으로 함. [學田]<학전> 소출로 학교의 경비에 충당하는 전답(田沓). 섬학전. [學政]<학정> 교육행정(敎育行政). [學庭]<학정> 학교(學校). [學制]<학제> 학교 및 교육에 관한 제도(制度). [學窗]<학창> 학창(學窓). [學則]<학칙> 학교의 학과, 편제, 교과 과정, 입학, 졸업, 상벌 따위에 관한 규칙. 교규(敎規)ㆍ교칙(敎則)ㆍ학규. [學派]<학파> 학문에서의 주장을 달리 하는 갈래. 학류. [學風]<학풍> ①학문에서의 태도나 경향. ②학교(學校)의 기풍(氣風). 교풍(校風) [學海]<학해> ①학문의 세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②냇물이 끊임없이 흘러 바다에 들어가듯이, 사람도 꾸준히 학문에 힘써서 끝내 대성함을 이르는 말. ③극히 박학(博學)한 사람을 이름. [學行]<학행> ①학문과 덕행, 곧 배움과 실천을 아울러 이르는 말. ②학문과 불도의 수행. [學兄]<학형> 나이가 비슷하거나 더 많은 학우를 존대하여 이르는 말. [學會]<학회> ①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 더욱 발전시키기 위하여 공부하는 사람들이 만든 모임. ②불학(佛學)을 배우는 이들이 모인 곳.
저장형식
Text
HTML
HTML + BR
패스워드
Copyright(c) 한자박사. All rights reserved.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