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획(總劃)
제 목
E-Mail
내 용
*<font color="blue" size="5">【大】</font>(큰 대, 클 태) 총3획:大-0획,〔㈠泰,㈡箇〕 (중) dà,dài (日) たい, だい(オオキイ), た (英) big, great ▣ 字解(자해) ▣ ㈠ 대 1. 크다. 大道. 四大<老子> 2. 많다. 大家. 大哉乾元<周易> 3. 고귀하다. 소중함. 畏大人<論語> 4. 훌륭하다. 낫다. 子曰大哉問<論語> 5. 길다. 珪大尺二寸謂之玠 <爾雅> 6. 거칠다. 衣大布<莊子> 7. 대강(大綱). 대략(大略). 8. 자랑하다. 크게 하다. 不自大其事<禮記> 9. 지나다. 뛰어남. 無大大王<戰國策> 10. 늙다. 年大自疎隔<沈千運> 11. 무겁다. 必察小大之比<禮記> 12. 대개. 大略 大要. 13. 하늘. 천(天). 大時不齊<禮記> 14. 성(姓). ㈡ 태 1. 크다. 거대함. 太와 通함. 乃如之人也<詩經> 2. 심하다. 大風起兮雲飛揚<漢高祖> ▣ 用例(용례) ▣ [大家]<대가> ①큰 집. ②부자집. ③경대부(卿大夫)와 같은 신분이 높은 사람. 또 지체 좋은 집. ④학예(學藝)가 뛰어난 사람. ⑤근시자(近侍者)가 천자(天子)를 일컫는 말. ⑥며느리가 시어머니를 일컫는 말. <대고> 전(轉)하여, 여자의 존칭(尊稱). [大哥]<대가> 형(兄)의 존칭(尊稱). 대형(大兄). [大駕]<대가> 임금이 타는 수레. 어가. [大家嬶爲夫人]<대가비위부인> 대가(大家)의 계집종이 부인이 된다는 뜻으로 겉보기에는 그럴 듯하나 바탕은 이와 딴판임을 이름. [大覺]<대각> 크게 깨달음. [大角干]<대각간> 신라 때의 높은 벼슬 이름. [大奸]<대간> 아주 간악(奸惡)한 사람. [大姦似忠]<대간사충> 아주 간사한 사람은 아첨하는 수단이 매우 교묘하여 흡사 크게 충성하는 사람과 같아 보임. [大喝]<대갈> 큰 소리로 꾸짖음. [大監]<대감> ①조선 때, 정이품 이상의 벼슬아치의 존칭. ②신을 높여 부르는 무당의 말. ③대신이나 장관 등의 지위에 있는 관리의 존칭. [大江]<대강> 큰 강(江). [大綱]<대강> ①대강령(大綱領)의 준말. ②일의 중요한 부분만으로. 대충 [大綱領]<대강령> 일의 중요(重要)한 것만 따낸 부분.(部分) [大凱]<대개> 크게 싸움에 이기고 돌아옴. 개선(凱旋). [大槪]<대개> ①대체의 경개(梗槪). ②대부분. [大去]<대거> 한번 가고 다시 돌아오지 아니함. [大擧]<대거> ① 여러 사람을 움직여 일을 일으킴. ②크게 서둘러 일을 함. ③널리 인재를 천거함. ④한꺼번에 많이. [大怯]<대겁> 몹시 무서워함. [大歉]<대겸> 흉년(凶年)이 크게 듦. [大徑]<대경> ①사람이 지켜야 할 큰 도리. 큰 법칙. 대도(大道) ②예기(禮記)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일컬음. ③가장 근본되는 경전. [大慶]<대경> 큰 경사(慶事) [大驚]<대경> 몹시 놀람. [大經大法]<대경대법> 공명 정대(公明正大)한 원리(原理)와 법칙(法則). [大驚失色]<대경실색> 몹시 놀라서 얼굴빛을 잃음. [大計]<대계> ①총계(總計) ②빠짐없이 전체를 계교(計較)함. ③큰 계획. 비도(丕圖), 홍도(鴻圖), 홍규(洪規) [大姑]<대고> 남편의 누님. 시누이. [大故]<대고> ①부모(父母)의 상사(喪事).②큰 사고(事故). ③아주 못된 짓. 대악(大惡). 악역(惡役). [大賈]<대고> 큰 장수. [大姑母]<대고모> 할아버지의 누이. 왕고모(王姑母), 황고(皇姑). [大工]<대공> 솜씨가 훌륭한 장색(匠色). 양공(良工). [大公]<대공> ①군주(君主)의 일가(一家)의 남자. ②소국(小國)의 군주. [大功]<대공> ①나라에 대(對)한 큰 공로(功勞). ②오복(五服)의 하나. 굵은 베로 지어 아홉 달 입는 복. [大空]<대공> ①하늘. 크고 넓은 공중. 천공(天空). ②전혀 아무것도 없음. 텅 빔. [大公至平]<대공지평> 아주 공평함. 지극히 공평함. [大功親]<대공친> 종형제 자매(從兄弟姉妹). 중자부(衆子婦. 중손(衆孫). 중손녀(衆孫女). 질부(姪婦) 및 남편(男便)의 조부모(祖父母). 백숙부모(伯叔父母). 질부(姪婦)등의 친족(親族). [大過]<대과> ①육십사괘(六十四卦)의 하나.너무 성대(盛大)한 상(象). ②큰 과실(果實). [大科]<대과> ①과거(科擧)의 문과(文科)를 소과(小科)에 대하여 일컫던 말. ②대과 급제(大科及第)의 준말. [大官]<대관> 높은 관직(官職). 또 높은 관직에 있는 사람. [大館]<대관> 큰 저택. [大觀]<대관> ①널리 보여 알리는 것.②사물(事物)의 전체(全體)를 관찰(觀察)함. 대국적(大國的)으로 관찰함. 달관(達觀). ③대체(大體)의 조망(眺望). ④위대한 광경(光景).위관(偉觀). [大塊]<대괴> ①큰 흙덩이. ②대지(大地). 지구(地球). 또 천지(天地). ③조화(造化). 조물주(造物主). [大郊]<대교> 왕자(王子)가 남교(南郊)에서 하늘에 지내는 제사. [大較]<대교> 대략(大略). 대강. [大橋]<대교> 큰 다리. [大敎]<대교> 화엄경(華嚴經)의 칭호(稱號). [大巧若拙]<대교약졸> 아주 교묘(巧妙)한 재주를 가진 사람은 그 재주를 자랑하지 아니하므로 언뜻 보기에는 서투른 것 같음. [大口]<대구> 대구과의 한대성 바닷물고기. 몸길이는 70-75cm이고, 머리와 입이 몹시 큼. 몸빛은 담회갈색에 배 쪽이 흼. 식용하며, 간에서 간유를 빼냄. [大區]<대구> 하늘. [大局]<대국> ①대체의 국면. ②큰 판국. [大國]<대국> ①크고 강한 나라. ②지난날, 우리나라에서 중국을 부르던 말. [大君]<대군> ①천자(天子). 군주(君主). ②정궁(正宮)이 낳은 아들. ③고려 때, 종친의 정일품 봉작. [大軍]<대군> 많은 병사로 이루어진 군대. 대병(大兵). [大卷]<대권> ①황제(皇帝)의 음악(音樂)이름. ②부피가 큰 책. [大圈]<대권> ①큰 원(圓). ②수학에서 구(球)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圓). ③지구 표면에 그린 대원. [大權]<대권> 국가 원수가 국가를 통치하는 헌법상의 권한. [大闕]<대궐> 임금이 있는 곳. 궁궐(宮闕). [大歸]<대귀> 귀부인(貴婦人)이 이혼당하여 친정으로 감. [大逵]<대규> 큰 길. 한 길. 대도(大道). 대로(大路). [大規模]<대규모> 일의 범위가 넓고 큼. [大叫喚]<대규환> 크게 울부짖음. [大叫喚地獄]<대규환지옥> 팔열 지옥의 하나. 규환지옥 가운데서 가장 고초가 심하다고 함. 오계(五戒)를 깨뜨린 사람이 빠진다고 함. [大鈞]<대균> 조화(造化). [大戟]<대극> ①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에 남. 줄기 높이 80cm 가량, 잔털이 났음. 잎은 가늘고 길며 끝이 뾰족함. 한여름에 녹황색의 잔꽃이 핌. ②대극의 뿌리. 맛이 단 극약으로 대소변을 통하게 함. [大極]<대극> 임금의 지위(地位). [大金]<대금> 큰 돈. 많은 돈. [大笒]<대금> 저의 한 가지. [大禁]<대금> 중대한 금제(禁制). 나라 안 전부가 금제하는 일. [大忌]<대기> 매우 꺼림. 몹시 싫어함. [大氣]<대기> ①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기체층. 공기. ②천체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기체. [大基]<대기> ①대본(大本). ②큰 사업(事業). [大期]<대기> 아이를 낳을 달. 해산달. 임월(臨月). 산월(産月). [大器]<대기> ①큰 그릇. ②됨됨이나 도량이 큰 사람. ③정권(政權). 권력(權力). ④국가(國家). 국토(國土). ④신기(神器) [大機]<대기> 천하(天下)의 정권. [大器晩成]<대기만성>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말. [大器小用]<대기소용> 대재(大才)있는 사람을 낮은 지위에 머물러 두고 부림을 이름. [大吉]<대길> 매우 길함. 썩 좋음. [大難]<대난> 큰 환난(患難). [大內]<대내> ①임금이 거처(居處)하는 곳. ②임금의 부고(府庫). [大怒]<대노> 대로(大怒). [大農]<대농> ①대규모의 농업. 소농(小農)의 대(對). 요부(饒富)한 농부. 호농(豪農). [大腦]<대뇌> 두개골(頭蓋骨)속의 대부분(大部分)을 차지하고 있는 뇌수(腦髓)의 한 부분으로, 정신작용(精神作用)을 맡은 중요한 기관(器官). [大團圓]<대단원> ①일의 맨 끝. 대미(大尾). ②영화나 연극 따위에서 사건의 얽힌 실마리를 풀어 결말을 짓는 마지막 장면. [大談]<대담> 큰 장담. 큰소리. [大膽]<대담> 겁이 없이 결단(決斷)하는 담력(膽力). [大唐西域記]<대당서역기> 당대(唐代)의 중 현장(玄奘)의 인도(印度) 및 중앙아시아 여행에 관한 견문록(見聞錄). 십이권(十二卷). 서역기(西域記) 또는 서역전(西域傳)이라고도 함. [大隊]<대대> ①군대(軍隊)를 편성(編成)하는 한 단위(單位). 연대(聯隊)의 아래, 중대의 위. ②군사 50명의 한 떼를 일컫던 말. ③공군 부대 편성의 단위. 보통 4-5개 편대로 구성됨. 전대의 아래, 편대의 위. ④많은 사람으로 조직된 한 개의 단체. [大憝]<대대> 대악인(大惡人). [大戴禮]<대대례> 전한(前漢)의 대덕(戴德)이 이백여편(二百餘篇)의 예기(禮記)를 줄여서 팔십오편(八十五篇)으로 한 것. 예기(禮記)와 구별하여 이름. 지금은 산일(散佚)하여 사십편(四十篇)만 남았음. 대대기(大戴記)라고도 함. [大德]<대덕> ①큰 덕행(德行). 덕이 높음. 또 그 사람. ②넓고 큰 은덕(恩德). ③천지조화(天地造化)의 작용. ④불조(佛祖) 또는 고승(高僧)의 존칭. 전(轉)하여 널리 중의 존칭. [大德滅小怨]<대덕멸소원> 은덕(恩德)이 광대하면 조그마한 원한은 저절로 사라져 없어짐. [大度]<대도> 도량이 큼. 큰 도량(度量). [大都]<대도> ①대도시(大都市). ②대개(大槪). 대략(大略). [大盜]<대도> 큰 도적(盜賊). [大道]<대도> ①큰 길. 대로(大路). ②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바른 도리. 대의(大義). ③행정 구획에서, 큰 도(道). [大纛]<대도> ①당(唐)나라 때 군중(軍中)에서 쓰던 큰 기(期). 절도사(節度使)가 왼편에 세우고 가는 기임. ②친정군(親征軍). 도(纛)를 보라. [大刀頭]<대도두> 칼코등이 곧 도두(刀頭)의 환(環)은 환(還)과 음(音)이 통(通)하므로, 고향(故鄕)으로 돌아가는 뜻으로 쓰임. [大道廢有仁義]<대도폐유인의> 상고시대에는 대도(大道)가 행하여져서 모든 사람이 순박하였으나 후세에 이르러 대도가 점차로 소멸해 인의(仁義)라고 불리어지는 것이 나왔다는 말로서, 이는 노자(老子)가 유교의 인의의 교(敎)는 천지자연(天地自然)의 도(道)가 아니라고 비방한 말임. [大都會]<대도회> 큰 도회(都會). [大同]<대동> ①거의 같거나 비슷비슷함. ②차별(差別)을 두지 아니함. ③큰 세력이 하나로 합함. ④천하가 번영하여 화평하게 됨. [大東]<대동> 우리나라를 동방의 큰 나라란 뜻으로 일컫는 말. [大同團結]<대동단결> 나뉘었던 단체나 당파(黨派)가 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함께 뭉치어 한 덩어리가 됨. [大動脈]<대동맥> ①대순환의 동맥의 본줄기. ②한 나라의 교통로의 큰 간선(幹線)의 일컬음. [大同小異]<대동소이> 거의 같고 조금 다름. 비슷비슷함. [大同之論]<대동지론> 여러 사람의 공론(公論). [大同之患]<대동지환> 모든 사람이 다같이 당하는 환난(患難). [大斗]<대두> 열 되들이 말. [大豆]<대두> 콩. [大頭腦]<대두뇌> 일의 가장 중요(重要)한 부분. 가장 주안(主眼)이 되는 요점(要點). [大頭領]<대두령> 여러 두목 중의 우두머리. [大得]<대득> 뜻밖에 좋은 결과(結果)를 얻음. [大亂]<대란> ①크게 어지러움. ②큰 난리(亂離). [大略]<대략> ①큰 계략. 원대(遠大)한 지략(智略). ②개략(槪略). 대요(大要). [大梁]<대량> 대들보. [大量]<대량> ①큰 도량(度量). 대도(大度). ②많은 분량(分量). [大呂]<대려> 옛날 중국의 큰 종(鐘)의 이름. 구정(九鼎)과 더불어 주실(周室)의 보기(寶器).전(轉)하여 귀중한 물건의 뜻. [大力]<대력> ①큰 힘. 센 힘. ②대자연. 조화(造化). [大殮]<대렴> 소렴한 다음날, 시신에 옷을 거듭 입히고 이불로 싸서 베로 묶는 일. [大禮]<대례> ①가장 중대한 의식(儀式). ②혼인을 치르는 큰 예식. 혼례(婚禮). ③조정의 중대한 의식. [大老]<대로> 존경을 받는 어진 노인. [大怒]<대로> 크게 성냄. 몹시 화를 냄. [大勞]<대로> 큰 수고. 또 큰 공로(功勞). [大路]<대로> ①큰 길. ②천자(天子)가 타는 수레. 연로(輦路). 대로(大輅). [大論]<대론> ①크게 논(論)함. 또 격론(激論). ②웅대하고 깊이 있는 의론. [大牢]<대뢰> ①나라 제사에 소를 통째로 제물로 바치던 일. ②훌륭한 요리. [大僚]<대료> 보국(輔國) 이하의 벼슬아치가 의정(議政)을 일컫던 칭호. [大陸]<대륙> 지구상(地球上)의 광대(廣大)한 육지(陸地). 큰 뭍. [大戮]<대륙> 사형(死刑). 대벽(大辟). [大倫]<대륜> 인륜(人倫)의 대도(大道). [大利]<대리> 큰 이익(利益). [大理]<대리> 형옥(刑獄)을 맡은 벼슬. 지금의 사법관(司法官). [大理石]<대리석> 석회암이 높은 열과 강한 압력으로 변질된 돌. 순수한 것은 백색이나 불순한 것은 적색ㆍ회색 무늬 등이 섞임. 건축ㆍ조각ㆍ장식용임. [大麻]<대마> 삼. [大望]<대망> ①큰 소망(所望). ②분에 넘치는 소망. 비망(非望). [大蟒]<대망> 이무기. 큰 구렁이. [大麥]<대맥> 보리. [大盟]<대맹> 천자(天子)가 친림(親臨)한 맹세. [大名]<대명> ①널리 알려진 훌륭한 이름이라는 뜻으로, 상대편의 이름을 이르는 말. 고명(高名). ②큰 명예(名譽). [大明]<대명> ①해. 태양(太陽). ②명(明)나라가 자기 나라를 자존(自尊)하여 일컫는 말. ③음양가(陰陽家)에서 만사(萬事)에 대길(大吉)하다는 날. [大命]<대명> ①하늘이 내리는 명령. 천명(天命). ②임금의 명령. 칙명(勅命). [大名日]<대명일> 큰 명절(名節)날. [大名之下難以久居]<대명지한난이구거> 명성(名聲)이 높은 지위에는 시의(猜疑)나 모함(謀陷)을 받아 오래 있기 어려움. [大明天地]<대명천지> 아주 밝은 세상. [大母]<대모> ①할머니. 조모(祖母). ②할아버지와 같은 항렬인, 유복지친 외의 할머니뻘 되는 친척의 여자. [大暮]<대모> 영원히 밝지 않는 밤. 곧 사람의 죽음. [大夢]<대몽> ①크게 길한 꿈. ②큰 꿈. 큰 이상(理想). [大妙]<대묘> 대단히 묘함. [大廟]<대묘> 종묘(宗廟). 고대에는 사당(祠堂)의 뜻으로 널리 쓰였으나 후세에 이르러 오로지 종묘의 뜻으로 쓰임. [大廡]<대무> 큰 집. 대하(大廈). [大文]<대문> ①주석(註釋)이 있는 서적(書籍)의 본문. ②몇 줄이나 몇 구로 이뤄진 글의 동강이나 단락. [大門]<대문> 큰 문. 집의 정문. 앞대문. [大文字]<대문자> ①웅대(雄大)한 글. ②서양 글자의 큰 체로 된 글자. [大文章]<대문장> 썩 잘 지은 훌륭한 글. 또는 그런 글을 짓는 데 능한 사람. [大米]<대미> 쌀. [大舶]<대박> ①큰 배. ②큰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大半]<대반> 대부분. 반 이상. 과반(過半). 태반(太半). [大盤]<대반> ①큰 소반. 큰 목판. ②푸짐하게 잘 차린 음식. [大方]<대방> ①세상의 현인(賢人). 강호(江湖)의 군자(君子). 식자(識者). 대방가(大方家). ②개략(槪略). 대강. ③땅. 대지(大地). ④작용이 센 약을 한번에 많이 써서 중병을 다스리는 약방문. [大邦]<대방> 큰 나라. 대국(大國). [大方家]<대방가> 문장ㆍ학술이 뛰어난 사람. 대방(大方). [大拜]<대배> 의정(議政) 벼슬을 임명받음을 이르던 말. [大白]<대백> ①흰 기. 순백(純白)의 기(旗). ②아주 결백(潔白)함. ③큰 술잔. 대배(大杯). ④벌작(罰爵)과 같음. [大藩]<대번> 큰 번병(藩屛). 영토가 넓은 제후(諸侯). [大凡]<대범> ①대강. 대략(大略). ②무릇. [大法]<대법> ①중요(重要)한 법. 근본이 되는 법. ②대승(大乘)의 법(法). [大辟]<대벽> 지난날, ‘사형(死刑)’ 또는 ‘중형(重刑)’을 이르던 말. [大卞]<대변> 대법(大法). [大便]<대변> 사람의 똥. [大辯]<대변> 뛰어난 말솜씨. 능변. 달변. [大變]<대변> 크나큰 사변(事變). [大辯如訥]<대변여눌> 워낙 말을 잘하는 사람은 함부로 지껄이지 않으므로 도리어 말더듬이처럼 보임. [大別]<대별> 크게 분류(分類)함. [大兵]<대병> 대군(大軍). [大柄]<대병> 큰 권력. 정치를 좌우하는 권력. 대권(大權). [大病]<대병> 몹시 위중한 병. 중병(重病). [大寶]<대보> ①아주 귀중(貴重)한 보배. 지보(至寶). ②천자의 지위. ③자기의 몸. ④임금의 옥새(玉璽). [大僕]<대복> 주대(周代)에 군정(軍政)의 일을 맡은 장관(長官). 후세(後世)의 태복시(太僕侍)에 해당함. [大福]<대복> 큰 복력(福力). [大本]<대본> ①크고 중요한 근본. ②같은 종류의 물건 가운데에서 가장 큰 본새. [大本山]<대본산> 같은 종지(宗旨)의 작은 말사(末寺)를 통할(統轄)하는 큰 절. [大封]<대봉> 큰 봉강(封疆). 큰 영토(領土). 큰 나라. [大父]<대부> ①조부(祖父). ②할아버지와 한 항렬되는, 유복친(有服親) 이외의 남자 친척. [大夫]<대부> ①주(周)나라 때의 벼슬지위. 사(士)의 위이며 경(卿)의 아래임. ②고려와 조선 때에, 벼슬 품계에 붙이던 칭호. ③소나무(松)의 아칭(雅稱). [大府]<대부> ①궁정(宮廷) 및 정부(政府)의 기물(器物)을 맡아 두는 창고. ②상고 시대(上古 時代)에 재정(財政)을 맡은 벼슬. 태부(太府). ③관부(官府). [大富]<대부> 큰 부자(富者). [大部分]<대부분> 반(半)이 훨씬 지나는 수효(數爻). 또는 분량(分量). [大富由命小富由勤]<대부유명소부유근> 대부(大富)는 천명(天命)으로 이루어지고 소부(小富)는 인력(人力)으로 이루어짐. [大夫人]<대부인> ①남의 어머니를 높여 일컫는 말. ②천자를 낳은 부인. [大北]<대북> 조선 선조(宣祖) 때 북인(北人)의 한 분파. [大佛]<대불> 거대한 불상(佛像). [大不幸]<대불행> 큰 불행(不幸). [大妃]<대비> 선왕(先王)의 비(妃). [大賓]<대빈> 높은 손님. [大士]<대사> ①덕(德)이 높은 사람. 대인(大人). ②벼슬이 높은 사람. ③주(周)나라 때 신명(神明)에 관한 일을 맡은 벼슬. ④옥송(獄訟)을 맡은 벼슬. ⑤(佛敎)불(佛)보살(菩薩)의 이칭(異稱). [大使]<대사> ①임금의 명을 받들고 일을 행하는 정사(正使). ②원수(元首)의 명을 봉행(奉行)하는 정사(正使)로서 한 나라를 대표하여 외국에 가 있어 외교관계를 맺는 최상급이 외교관. [大祀]<대사> 천자(天子)가 친히 지내는 큰 제사. [大事]<대사> ①부모의 상(喪). ②큰 사건. 비상한 일. ③원대한 사업. ④부역(賦役). ⑤전쟁. 병사(兵事). ⑥대례(大禮). [大師]<대사> ①다수(多數)의 군대. ②뛰어난 학자. ③불(佛)보살(菩薩)의 경칭(敬稱). ④나라에서 높은 선사(禪師)에게 내리는 칭호. [大赦]<대사> 나라에서 큰 경사(慶事)가 있을 때 죄수(罪囚)를 놓아 주거나 감형(減刑)하는 은전(恩典). [大蜡]<대사> 주대(周代)에 매해 섣달에 천자(天子)가 행(行)하던 제사(祭祀) 이름. [大司空]<대사공> 삼공(三公)의 하나. 전한말(前漢末)의 관제(官制)에서 토지(土地).민사(民事)를 맡은 벼슬. 주대(周代)의 사마(司馬)에 해당(該當)함. [大司寇]<대사구> 상고시대(上古時代)에 형벌(刑罰). 경찰(警察)의 일을 맡은 벼슬. [大司農]<대사농> 전한말(前漢末)의 관제(官制)에 곡화(穀貨)에 관한 사무를 맡은 벼슬. [大司徒]<대사도> 한대(漢代)에 교육(敎育)의 일을 맡은 벼슬. [大殺年]<대살년> 대단한 흉년(凶年). [大祥]<대상> 사람이 죽은 지 두 돌 만에 지내는 제사(祭祀). 대기(大朞). [大常]<대상> ①해와 달을 그린 천자(天子)의 기(旗). 태상(太常). ②구경(九卿)의 하나. 종묘(宗廟)의 의식(儀式)을 맡은 예관(禮官). 태상(太常). [大相不同]<대상부동> 조금도 같지 않고 아주 다름. 대단히 다름. [大暑]<대서> ①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의 열두째. 양력(陽曆) 칠월이십삼일(七月二十三日). ②몹시 심한 더위. [大書特書]<대서특서> 어떤 사실이나 사건을 특히 두드러지게 글자를 크게 씀. [大仙]<대선> ①뛰어난 신선. ②부처의 이칭(異稱). 여래(如來). [大船]<대선> 큰 배. [大雪]<대설> ①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의 스물한째. 양력 십이월 칠일(十二月七日). ②아주 많이 내린 눈. 장설(壯雪). [大成]<대성> ①크게 이룸. 크게 이루어짐. ②큰 인물이 됨. [大姓]<대성> ①집안이 번성한 성. ②지체가 높은 집안의 성씨. 거성(巨姓). [大聖]<대성> ①지극히 거룩한 사람. ②공자(孔子)의 존칭(尊稱). ③석가처럼 올바른 깨달음을 얻은 사람을 높이어 이르는 말. [大聲]<대성> 큰 목소리. [大聲不入里耳]<대성불입리이> 바른 음악은 속인(俗人)이 알 수 없다는 뜻으로 고상(高尙)한 언론은 범인(凡人)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비유로 쓰임. [大成殿]<대성전> 문묘 안에 공자의 위패를 모신 전각. [大聲叱呼]<대성질호> 큰 목소리로 꾸짖음. 대성일갈. [大聲痛哭]<대성통곡> 큰 소리로 목놓아 슬피 욺. [大勢]<대세> ①일이 진행되어 가는 결정적인 형세. ②세상이 돌아가는 형편. 국가 또는 천하의 추세(趨勢). ③큰 권세. ④병이 위급한 상태. [大小]<대소> 사물의 크고 작음. 큰 것과 작은 것. [大笑]<대소> 큰 목소리로 웃음. [大蘇]<대소> 송(宋)나라의 소식(蘇軾). 아우인 철(轍)을 소소(小蘇)라고 하는 것의 대(對). [大小家]<대소가> ①한집안의 큰집과 작은집. ②본마누라의 집과 작은마누라의 집. [大小事]<대소사> 크고 작은 모든 일. [大小祥]<대소상> 대상(大祥)가 소상. [大小腸]<대소장> 대장(大腸)과 소장. [大率]<대솔> 대략(大略).대강. [大水]<대수> ①큰 물. ②큰 강. [大數]<대수> ①많은 수(數). ②대체의 수. ③대강. 개략(槪略). [大樹]<대수> ①큰 수목(樹木). ②장군(將軍)의 이칭(異稱). 후한(後漢)의 풍이(馮異)가 겸손하여 공(功)을 자랑하지 아니하고 여러 장수(將帥)가 공(功)을 다툴 때 항상 피하여 나무 아래로 갔었으므로 군중(軍中)이 호(號)하여 대수장군(大樹將軍)이라 한 고사(故事)에서 나온 말. [大樹將顚非一繩所維]<대수장전비일승소유> 대하장전 비일목 소지(大廈將顚非一木所支)와 같은 말. [大手筆]<대수필> 대문장(大文章). [大樹下無美草]<대수하무미초> 현로(賢路)가 막힌 곳에서는 인재(人材)가 나오지 않음을 비유한 말. [大醇小疵]<대순소자> 대체는 순수(純粹)하나 조금 흠이 있음. [大乘]<대승> 후기 불교의 유파의 하나. 소승 불교가 수행에 따르는 개인의 해탈에 주력하는 데에 대하여, 이타(利他) 구제의 입장에서 널리 인간 전체의 평등과 성불(成佛)을 이상으로 삼고, 그것이 불타의 가르침의 참다운 대도(大道)임을 주장하는 교리. 대승불교(大乘佛敎). [大勝]<대승> ①썩 나음. ②크게 이김. 대승리. 대첩(大捷). [大乘經]<대승경> 대승의 교법을 해설한 다섯 가지의 불경. 곧, 화엄경(華嚴經)ㆍ대집경(大集經)ㆍ반야경(般若經)ㆍ법화경(法華經)ㆍ열반경(涅槃經). 대승 오부(大乘五部). [大乘佛敎]<대승불교> 대승의 교리를 기본 이념으로 하는 불교. 소승불교(小乘佛敎)의 대(對). [大始]<대시> 처음. 시초(始初). 태초(太初). [大食]<대식> ①아침ㆍ저녁의 끼니. ②음식을 많이 먹음. ③대식가. ④아바스 왕조(Abbas王朝) 때의 사라센(Saracen)을 중국 당나라에서 부르던 이름. [大息]<대식> 한숨쉼. 탄식(歎息). [大臣]<대신> ①의정(議政)을 통틀어 이르는 말. ②조선 고종(高宗) 때, 궁내부(宮內府) 각부의 으뜸 벼슬. ③군주국(君主國)에서 장관(長官)을 이르는 말. [大牙]<대아> ①천자(天子) 또는 장군(將軍)이 세우는 아기(牙旗). ②큰어금니. [大我]<대아> ①우주의 유일ㆍ절대의 본체. ②우주의 본체로서 참된 나. [大兒]<대아> ①형(兄). ②뛰어나게 어진 사람. 우자(優者). [大雅]<대아> ①서로 나이가 비슷한 친구 사이에 또는 문인에게 편지를 쓸 때, 편지 겉봉 이름 밑에 존경한다는 뜻으로 상대를 높여 쓰는 말. ②《시경》에 있는 시의 여섯 가지 문체 가운데 하나. [大惡]<대악> 매우 못된 짓. 또는 그런 짓을 하는 사람. [大安]<대안> ①당(唐)나라의 벼슬 이름. ②송악(宋樂)의 이름. [大厄]<대액> ①큰 재액(災厄). ②음양가(陰陽家)에서, 큰 재난이 다친다 하여 가장 꺼리는 나이. 남자에겐 사십이세(四十二歲), 여자는 삼십삼세(三十三歲). [大液]<대액> 한무제(漢武帝)가 금원(禁苑) 안에 만든 연못. 태액(太液). [大約]<대약> 사물의 골자. 대요(大要). 대략(大略). [大洋]<대양> ①중화민국(中華民國)의 은전(銀錢). ②대륙(大陸)을 싸고 있는 큰 바다. [大言]<대언> ①훌륭한 말. ②큰 소리. 장담(壯談). [大業]<대업> ①큰 사업(事業). ②나라를 세우는 일. 홍업(洪業). [大輿]<대여> 왕실의 초상 등에서 쓰던 큰 상여. [大役]<대역> ①국가의 대공사(大工事). ②책임이 무거운 직책이나 직무. 대임(大任). [大疫]<대역> 큰 유행병. [大逆]<대역> 왕권을 침해하거나 부모를 죽이는 큰 죄. [大逆無道]<대역무도> 대역으로 사람의 도리에 몹시 어그러짐. 또는 그런 행위. 대역부도. [大宴]<대연> 성대(盛大)한 잔치. [大淵獻]<대연헌> 고갑자(古甲子) 십이지(十二支)의 열두째. 해(亥). [大悅]<대열> 크게 기뻐함. [大烈]<대열> 뛰어난 훈공(勳功). [大熱]<대열> 심한 더위. 대서(大暑). [大瀛]<대영> 큰 바다. 대해(大海). 대양(大洋). [大悟]<대오> ①크게 깨달음. 똑똑히 이해함. ②번뇌(煩惱)를 벗어나 진리를 깨달음. [大獄]<대옥> 중대한 범죄(犯罪) 사건으로 많은 사람이 붙잡혀 갇히는 옥사(獄事). 큰 옥사. [大王]<대왕> ①선왕(先王)의 존칭(尊稱). ②훌륭하고 뛰어난 왕을 높여 일컫는 말. [大王父]<대왕부> ①증조(曾祖). ②조부(祖父). [大要]<대요> ①대강. 대략(大略). ②대본(大本). [大辱]<대욕> 큰 치욕(恥辱). [大慾]<대욕> 큰 욕망(慾望)이나 관심. [大用]<대용> ①중대한 사용(使用). ②큰 벼슬에 등용함. 중용(重用). [大勇]<대용> 큰 용기(勇氣). 의리(義理)에서 일어나는 용기. [大勇若怯]<대용약겁> 대단히 용맹한 사람은 함부로 날뛰지 않으므로 도리어 겁장이 같이 보임. [大雨]<대우> 큰비. [大愚]<대우> 크게 어리석음. 또 그 사람. [大憂]<대우> ①큰 근심. 큰 걱정. ②부모의 상사(喪事). 친상(親喪). [大運]<대운> ①천자(天子)가 될 운명. 천자의 지위. ②몹시 좋은 운수. ③하늘과 땅 사이에 돌아가는 기수(氣數). [大熊星]<대웅성> 북쪽 하늘에 있는 성좌(星座). 여기에 속한 별은 백오십(百五十)이나 되나 육안(肉眼)으로는 일곱개(七個)가 뚜렷하게 보이는데 이것이 북두칠성(北斗七星)임. [大原]<대원> 근본(根本). 대본(大本). [大員]<대원> 높은 벼슬아치. 고관(高官). [大圓]<대원> ①큰 원형(圓形). 대권(大圈). ②하늘. [大願]<대원> ①큰 소원(所願). ②((佛敎)) 성불(成佛)의 원망(願望). [大院君]<대원군> 왕위를 이을 적자손이 없어 왕족 중에서 왕위를 이어받았을 경우, 그 왕의 친아버지에게 봉(封)하던 직위. [大元帥]<대원수> ①전군(全軍)을 통솔하는 대장. 총대장(總大將). ②육해공군을 통수하는 원수(元帥)를 높이어 일컫는 칭호. ③인도의 신(神)으로 명왕부(明王部)의 총사(總司). [大月]<대월> 큰 달. 음력(陰曆)은 삼십일(三十), 양력(陽曆)은 삼십일일(三十一日)의 달.[大月氏]<대월지> 서역(西域)에 있던 나라. 전한(前漢)의 장건(張騫)이 무제(武帝)의 명(命)을 받들어 사신(使臣)간 나라임. [大位]<대위> ①매우 높은 관위. ②천자(天子)의 지위. [大尉]<대위> ①천하(天下)의 병사(兵事)를 총리(總理)하는 벼슬. ②위관(尉官)의 으뜸 계급 [大僞]<대위> 자연(自然) 그대로가 아닌 인위(人爲)를 가한 것. 위(僞)는 인위(人爲). [大威德]<대위덕> 명왕(明王)의 하나. 서방(西方)을 지킴. [大有]<대유> 육십사괘(六十四卦)의 하나. 곧 ☲☰(건하(乾下),이상(理想)).많이 소유(所有)한 상(象). [大儒]<대유> 학식(學識)이 높은 선비. 거유(巨儒). [大戎]<대유> 큰 병거(兵車). [大恩]<대은> 넓고 큰 은혜(恩惠). [大恩敎主]<대은교주> 석가모니(釋迦牟尼)의 존칭. [大隱隱朝市]<대은은조시> 참된 은사(隱士)는 자기의 닦은 도(道)가 행하여지지 않으면 혹은 조정에 출사하여 소관(小官)도 불사(不辭)하고 혹은 시중(市中)에서 의원․매복자(賣卜者) 노릇까지도 함. [大飮]<대음> 술을 많이 마심. [大邑]<대읍> 주민과 산물이 많고 땅이 넓은 고을. 웅읍(雄邑). [大意]<대의> ①대지(大旨). ②큰 뜻. 대지(大志). [大義]<대의> ①인륜(人倫)의 중대(重大)한 의리(義理). ②대강의 뜻. 대체(大體)의 의미. [大儀]<대의> 중대한 의식. [大義滅親]<대의멸친> 큰 도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부모나 형제도 돌보지 않음. [大義名分]<대의명분> ①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나 본분. 떳떳한 명목. ②어떤 일을 꾀하는 데 내세우는 마땅한 구실이나 이유. [大人]<대인> ①아버지의 경칭(敬稱). ②어머니의 경칭. ③큰 덕(德)이 있는 사람. ④벼슬이 높은 사람. 또 관직(官職)에 있는 사람. ⑤왕자(王者). ⑥부락(部落)에 있는 장(長). 추장(酋長). ⑦키가 큰 사람. 거인(巨人). ⑧스승․학자의 존칭. ⑨남을 부르는 경칭. ⑩주대(周代)에 꿈을 점치던 벼슬. [大人君子]<대인군자> 말과 행실이 바르고 점잖으며 덕이 높은 사람. 대인(大人). [大人物]<대인물> 훌륭한 기량ㆍ성격을 갖춘 사람. 뛰어난 사람. 위인(偉人). [大人虎變]<대인호변> 왕자(王者)가 천하(天下)를 변혁(變革)함은 조리(條理)가 병연(炳然)하여 범의 털에 문채(文采)가 있는 것과 같다는 말. [大一]<대일> ①지극히 큼. ②천지(天地)가 아직 갈리지 않은 혼돈(混沌)한 시초(始初). [大日如來]<대일여래> 진언 밀교(眞言密敎)의 본존(本尊). [大任]<대임> 아주 중대한 임무. [大字]<대자> ①큰 글자. ②대문자. ③팔과 다리를 양쪽으로 크게 벌린 모습. [大姊]<대자> ①맏누이. ②((佛敎)) 여인(女人)의 계명(戒名)에 덧붙이는 칭호. [大慈大悲]<대자대비> 넓고 커서 가없는 자비. 특히,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 대자비. [大自在]<대자재> ①속박이나 장애를 받지 않고 자유로운 것. 커다란 자유. ②대자재천. [大自在天]<대자재천> 대천(大千)세계를 주재하는 신. [大作]<대작> ①내용이 방대하고 규모가 큰 작품. ②뛰어난 작품. ③바람 소리ㆍ아우성 소리ㆍ구름 따위가 크게 일어남. [大匠]<대장> ①뛰어난 목수. ②도편수. [大壯]<대장> ①육십사괘(六十四卦)의 하나. 곧 ☲☰(건하(乾下), 진상(震上)). 양기(陽氣)가 왕성한 상(象). ②대단히 성(盛)함. ③궁전(宮殿). [大將]<대장> ①도성에 둔 각 영의 장수. ②육해공군의 장관(將官)의 가장 높은 급. ③한 무리의 우두머리. ④그 방면에 능하거나 몹시 즐기는 사람. [大腸]<대장> 소장(小腸)의 주위(周圍)를 돌아서 항문(肛門)에 이르는 창자. [大藏經]<대장경> 불경을 통틀어 모은 책. 경장(經藏)ㆍ율장(律藏)ㆍ논장(論藏) 등 모든 불경을 모아 놓은 책. [大長公主]<대장공주> 천자(天子)의 고모(姑母). [大將軍]<대장군> ①옛날 정토(征討)에 파견(派遣)되는 군(軍)의 총대장(總大將). 전군(全軍)을 지휘(指揮)하는 사람. ②음양가(陰陽家)의 팔장신(八將神)의 하나. ③신라 때, 무관의 우두머리. ④고려 때, 종삼품의 무관 벼슬. [大丈夫]<대장부> 사내답고 씩씩한 남자. 지조(志操)가 굳어 불의(不義)에 굽히지 않는 남자. 위장부(偉丈夫). [大才]<대재> 뛰어난 재주. [大災]<대재> 큰 재앙. 심한 재앙(災殃). [大災]<대재> 대재(大災). [大箏]<대쟁> 모양이 비파(琵琶)같으나 조금 작은, 십오현(十五絃)으로 된 현악기. [大氐]<대저> 대저(大抵). [大抵]<대저> 대체로 보아. 무릇. [大著]<대저> ①내용이 방대하고 규모가 큰 저서. 뛰어난 저술(著述). ②남의 저작(著作)의 존칭. [大賊]<대적> ①매우 큰 잘못을 저지른 죄인. ②크게 떼를 지은 도둑. [大適]<대적> 크게 즐김. [大磧]<대적> 넓은 사원(砂原). 사막(砂漠). [大敵]<대적> 썩 강한 적. 큰 적수. [大全]<대전> ①완전히 갖추어 모자람이 없음. ②어떤 사물에 관한 것을 빠짐없이 편찬한 책. ③언해본(諺解本)에 대한 원본임을 일컫는 말. [大典]<대전> ①귀중(貴重)한 대부(大部)의 서적(書籍). ②나라의 큰 의식. ③중대한 법전. [大殿]<대전> ①임금이 거처하는 궁전. ②임금의 존칭(尊稱). [大篆]<대전> 한자(漢子)의 한 체(體). 주(周)나라 선왕(宣王) 때 사주(史籒)가 처음 만들었다 함. 주문(籒文). 소전(小篆)의 대(對). [大戰]<대전> 큰 전쟁(戰爭). [大節]<대절> ①대의를 위하여 죽음으로써 지키는 절개. ②중대한 일. 대사(大事). ③크게 빛나는 절조. [大漸]<대점> 임금의 병세(病勢)가 위독(危篤)하여짐. [大政]<대정> ①해마다 음력 섣달에 행하는 대규모의 인사(人事) 행정. ②천하(天下)의 정치. 나라의 정사(政事). [大祭]<대제> ①성대히 지내는 제사. ②종묘에서 사맹월(四孟月)의 상순과 납일(臘日)에 지내는 제사와, 사직에서 정월 첫 신일(辛日)에 풍년을 빌며 지내는 제사. 또는 중춘(仲春)ㆍ중추(仲秋) 첫 무일(戊日)과 납일에 지내는 제사. [大帝]<대제> ①하늘. ②성덕(聖德)에 있는 천자의 미칭(美稱). [大提學]<대제학> 조선 때, 홍문관ㆍ예문관의 정이품의 으뜸 벼슬. 문형(文衡). 주문(主文). [大造]<대조> 큰 공(功). 위훈(偉勳). [大棗]<대조> 대추. [大詔]<대조> 천자(天子)의 조칙(詔勅). [大潮]<대조> 조수의 차가 가장 큰 때, 또는 그때의 조수. 매월 보름달 뜰 무렵과 그믐에 일어남. 한사리. [大早計]<대조계> 너무 성급함. 너무 서둚. [大族]<대족> 자손이 많고 세력이 있는 집안. [大蔟]<대족> ①크게 모임. ②대주(大蔟). [大宗]<대종> ①대종가의 계통. ②사물의 주류(主流). ③사물의 근본. ④어떤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대가. [大腫]<대종> 큰 종기(腫氣). [大鐘]<대종> 쇠로 만든 큰 종. 땅 속의 영혼을 대표하며 명부(冥府)의 모든 귀신을 부를 때에 침. [大宗家]<대종가> 동성동본의 일가 가운데 시조의 제사를 받드는 종가. 제일 큰 종가. [大坐]<대좌> 책상다리하고 앉음. [大罪]<대죄> 중대한 죄(罪). 중죄(重罪). [大洲]<대주> 큰 육지(陸地). 대륙(大陸). [大酒]<대주> 다량의 술을 마심. 또 그 사람. 호주(豪酒). [大蔟]<대주> ①십이율(十二律)의 하나. 정월에 배당함. 대주(大簇). ②음력 정월(正月). [大中]<대중> 과불급(過不及)없이 가장 바름. [大衆]<대중> ①수많은 사람의 무리. ②사회의 대다수를 점하고 있는 사람들. ③많은 중들. 곧, 비구(比丘)ㆍ비구니(比丘尼)ㆍ우바새(優婆塞)ㆍ우바이(優婆夷)의 사부(四部)를 통틀어 이르는 말. [大旨]<대지> 말이나 글의 대강의 내용이나 뜻. 대의(大意). [大地]<대지> ①대자연 속의 넓고 큰 땅. ②좋은 묏자리. [大志]<대지> 원대한 희망. 큰 뜻. [大指]<대지> ①엄지손가락. ②대지(大旨). [大智]<대지> 아주 뛰어난 슬기. 매우 지혜로움. [大智不異愚]<대지불이우> 슬기가 많은 사람은 슬기를 함부로 나타내지 않으므로 언뜻 보기에는 곧은 사람이 아닌 것같이 보임. [大陣]<대진> 동(東)로마제국(帝國)의 일컬음. [大盡]<대진> 음력(陰曆)의 큰 달. [大耋]<대질> 칠팔십세(七八十歲)의 노인(老人). [大質]<대질> 몸. 신체(身體). [大車]<대차> ①소 두 필이 끄는 큰 수레. ②대차륜. [大差]<대차> 큰 차이(差異). [大刹]<대찰> 규모가 아주 크거나 이름난 절. 거찰(巨刹). 대사(大寺). [大漲]<대창> 물이 몹시 불어 넘침. [大責]<대책> 몹시 꾸짖음. 큰 꾸지람. [大處]<대처> 도회지(都會地). [大川]<대천> 큰 내. 이름난 내. [大千世界]<대천세계> 삼천 세계의 셋째, 곧 중천(中千)세계의 천 갑절이 되는 세계. ‘삼천 대천세계’를 달리 이르는 말. 대천계. [大捷]<대첩> 크게 이김. 대승(大勝). [大廳]<대청> 한옥에서, 몸채의 방과 방 사이에 있는 큰 마루. 대청마루. [大體]<대체> 선조(先祖)의 큰 제사(祭祀). [大體]<대체> ①대략(大略). 대개. ②마음을 이름. 이목(耳目)을 소체(小體)라고 하는데 대한 말. ③대저(大抵). [大焦熱地獄]<대초열지옥> 팔열(八熱) 지옥의 일곱째. 초열지옥보다 고통이 더 심한 지옥. [大村]<대촌> 큰 마을. [大總統]<대총통> 중화민국(中華民國)의 국가 원수(元首). [大畜]<대축> 육십사괘(六十四卦)의 하나. 곧 건하(乾芐)간상(艮上).많이 저장(貯藏)하여 바깥에 나타나는 상(象). [大椿之壽]<대춘지수> 장수(長壽).상고(上古)에 대춘(大椿)이란 사람이 장수(長壽)하였다는데서 나온 말. [大蟲]<대충> 범. 호랑이 [大醉]<대취> 술이 몹시 취(醉)함. [大熾]<대치> 기세(氣勢)가 버썩 성함. [大癡]<대치> 심히 어리석음. 또 그사람. [大侵]<대침> 대기근(大穖釿). [大浸]<대침> 홍수(洪水). [大針]<대침> 큰 바늘. [大秤]<대칭> 큰 저울. 근칭(斤秤). [大卓]<대탁> 썩 잘 차린 음식상. 또는 그렇게 잘하는 대접. [大宅]<대택> ①큰 주택. ②천지(天地). [大澤]<대택> 큰 못. 큰 늪. [大通]<대통> 인정(人情)에 정통(精通)함. 사물에 구애(拘礙) 하지 않음.또 그사람 [大統]<대통> 임금의 계통. 황동(皇동). [大通]<대통> 몹시 앓는 병의 고통. [大統領]<대통령> ①두목. ②공화국(共和國)의 원수(元首). [大腿]<대퇴> 넓적다리. [大破]<대파> ①크게 부서짐. ②적(敵)을 크게 쳐부숨. [大旆]<대패> 일월(日月)의 형상을 그린 천자(天子)의 기(旗). [大敗]<대패> ①큰 실패. ②싸움이나 경기 따위에서 크게 짐. [大篇]<대편> 길고 웅대(雄大)한 시문(詩文)또는 저서(著書) [大弊]<대폐> 큰 폐해(弊害). [大砲]<대포> 화약(火藥)의 힘으로 포탄을 멀리 내쏘는 큰 화기(火器) [大舖]<대포> 천자(天子)가 백성에게 주식(酒食)을 크게 내림. [大風]<대풍> ①몹시 부는 바람. ②서풍(西風). ③문둥병. 나병(癩病). [大豊]<대풍> 곡식이 썩 잘되어 수확이 많음. 또는 그러한 해. [大筆]<대필> ①큰 붓. ②썩 잘 쓴 글씨. 또는 글씨를 잘 쓰는 사람. ③크게 쓴 글씨. [大夏]<대하> ①하(夏)나라. 우(禹)임금이 제정(制定)한 무악(舞樂)의 이름. ②한여름. 성하(盛夏). ③사서(史書)에 보이는 서역(西域)의 한 나라. 서기전(西紀前) 이세기경(二世起頃) 월지(月至)에게 침략(侵略)되었음. (四)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 흉노족(匈奴族)혁련발발(赫連勃勃)이가 세운 나라로서 지금의 섬서(陝西)의 북서부(北西部) 감숙(甘肅)북동부(北東部)의 땅. 삼주 (三主) 이십오년(二十午年)만에 토욕혼(吐浴渾)에게 망하였음. (四O七四三一) [大廈]<대하> 큰 건물(建物). 큰집. 거옥(巨屋). [大廈成燕雀相賀]<대하성연작상하> 밝은 정치 밑에서 편안히 살게 되는 백성의 즐거움의 비유. [大廈將典非一木所支]<대하장전비일목소지> 큰 집이 넘어지려 하는 것을 나무 하나로는 버틸 수 없다는 뜻으로 국가(國家)가 장차 망하려 할 때에는 한 사람의 힘으로는 도저히 구할수 없음을 비유한 말. [大廈之材非一丘之木]<대하지재비일구지목> 한 언덕의 나무로 큰 집을 세울수 없듯이 한두 신하(臣下)의 힘으로 치국안민(治國安民)을 기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말. [大虐]<대학> ①인륜(人倫)에 심히 어그러진 행위. 군부(君父)를 시해(弑害)하는 일 따위. ②학정(虐政). [大學]<대학> ①중국 상대(上代)에 고등교육을 실시하던 학교. 천자(天子)의 도읍에 설립한 것을 벽웅(僻雄) 제후(諸侯)의 나라에 설립한 것을 반궁(泮宮)이라 함. ②고등 교육의 중심을 이루는 기관으로, 학문의 이론이나 응용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학교. ③사서(四書)의 하나. 공자(孔子)의 가르침을 정통으로 나타낸 유교(儒敎)의 경전. [大壑]<대학> 해양(海洋)의 이칭(異稱). [大學士]<대학사> ①학사(學士)의 최상급(最上級). 송대(宋代)에는 고관(高官)의 퇴직자(退職子)에게 준 칭호(稱號). ②고려 보문각ㆍ홍문관ㆍ수문전ㆍ집현전의 으뜸 벼슬. ③중국 명(明)나라ㆍ청(淸)나라 때의 내각의 장관. ④조선 초 예문 춘추관의 정이품 벼슬. [大學衍義]<대학연의> 책이름. 송(宋)나라 진덕수(眞德秀)의 저(著). 사십삼권(四十三權). 군주(君主)의 수양(修養)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대학(大學)의 정신(精神)을 경전(經典)과 사실(史實)에 의거하여 해설(解說)한 것임. 명(明)나라의 구준(邱濬)이 이를 보충(補充)하여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백육십권(百六十卷)을 저술(著述)하였음. [大學者]<대학자> 학식이 아주 뛰어나고 학문적 업적이 많은 학자. [大旱]<대한> 큰 가뭄. [大限]<대한> 수명(壽命)의 종말. [大寒]<대한> ①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의 마지막 절후(節侯). 양력(陽曆)일월 이십 일일경(一月二十一日頃). 일년 중 가장 추움. ②아주 대단한 추위. [大旱望雲麑]<대한망운예> 큰 가물에 구름이 일기를 갈망하듯이 자기가 목적하는 바의달성을 몹시 초조하게 바란다는 뜻. [大寒索求]<대한색구> 혹한이 닥쳐오자 비로소 갖옷을 구한다는 뜻으로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式)의 만시지탄(晩時之歎)을 이름. [大韓帝國]<대한제국> 조선 고종 34년(1897) 8월부터 1910년 10월 국권 피탈 때까지의 우리나라 국호. [大蛤]<대합> 백합과의 바닷물 조개. 담수가 혼합하는 해변의 진흙 모래밭에 사는데 껍데기의 길이는 8cm, 높이는 6cm, 폭은 4cm가량이며, 빛은 회백갈색, 안쪽은 흼. 맛이 좋고 껍질은 바둑돌로 쓰고 태워서 석회를 만듦. 대합조개. [大海]<대해> 넓고 큰 바다. [大害]<대해> 큰 손해(損害). [大行]<대행> ①임금이나 왕비가 죽은 뒤, 시호(諡號)를 정하기 전에 이르던 칭호. ②큰 행위 큰 사업. ③빈객(賓客)을 접대 하는 일을 맡은 벼슬. [大行不顧細謹]<대행불고세근> 큰 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는 자질구레한 일에 구애(拘礙)하지 아니함. [大虛]<대허> 하늘. 대공(大空) [大憲]<대헌> ①대사헌. ②큰 법률. 중대한 법규. 헌법(憲法). ③천도교의 교법. [大憲章]<대헌장> 영국 헌법의 근거가 된 최초의 문서. 1215년 6월 존 왕과 봉건 귀족과의 타협에 의해 성립된 것으로,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침해하지 않을 것을 약정함. [大絃]<대현> 거문고의 굵은 줄. [大賢]<대현> 성인(聖人) 다음가는 지덕(智德)이 아주 높은 사람. [大俠]<대협> 뛰어난 협기(俠氣). [大兄]<대형> ①맏형. 장형(長兄). ②형의 경칭. ③붕오간(朋友間)의 경칭. ④대종교(大倧敎)에서, 사교(司敎)ㆍ정교(正敎)의 교직을 가진 사람을 높이어 이르는 말. ⑤고구려 때의 오품관의 벼슬. [大刑]<대형> ①중(重)한 형벌(刑罰). ②무거운 죄. [大戶]<대호> ①살림이 넉넉하고 식구가 많은 집안. ②주호(酒豪). [大惑者終身不解]<대혹자종신불해> 보통 사람은 평생(平生) 진리를 해득하지 못함을 이름. [大昏]<대혼> 대혼(大婚). [大婚]<대혼> 임금이나 왕세자의 혼인. [大紅蓮]<대홍련> 팔한지옥(八寒地獄)의 하나. 격심한 추위로 살이터서 붉은 연꽃처럼 된다 함. [大火]<대화> ①큰불. ②화성(火星). ③여름의 더위. [大化]<대화> 넓고 큰 덕화(德化). [大禍]<대화> 큰 재앙(災殃). [大廓]<대확> 크고 넓음. [大患]<대환> ①큰 병환. 대병(大病). 중환(重患) ②큰 근심이나 재난. 큰 환난(患難). [大寰]<대환> 천하(天下). 천지(天地). [大荒]<대황> ①큰 흉년(凶年). 대흉(大凶). 기근(饑饉). ②지극히 먼 곳. 일설(一說)에는 세계의 동쪽 끝의 거친 바다. ③하늘. 대공(大空) [大黃]<대황> ①큰 황색(黃色)의 활. ②여뀟과의 여러해살이풀. 시베리아 원산. 줄기는 1.5m가량, 속이 비고 잎은 넓음. 뿌리는 굵고 크며 황색인데 약용임. 7-8월에 황백색 꽃이 핌. [大荒落]<대황락> 고갑자(古甲子) 십이지(十二支)의 하나. 사(巳). [大黃蜂]<대황봉> 말벌. [大會]<대회> ①어떠한 행사를 위해 많은 사람이 모임. 성대한 회합. ②실력이나 재주 따위를 겨루는 모임. ③대규모의 법회. [大孝]<대효> ①지극한 효도 또는 지극한 효자. 지효(至孝). ②편지 따위에서, 부모의 상중(喪中)에 있는 사람에게 그 사람을 높이어 이르는 말. [大堠]<대후> ①제후(諸侯)가 화살을 쏘는 큰 과녁. ②큰 나라의 제후(諸侯). [大訓]<대훈> ①본받을 만한 훌륭한 교훈. ②임금이 백성에게 주는 훈시를 높여 이르는 말. [大勳]<대훈> 큰 공훈. [大麾]<대휘> 대장기(大將旗). 지휘기(指揮旗) [大凶]<대흉> ①매우 흉(凶)함. 또 그러한 일. ②큰 죄악(罪惡). ③큰 흉년이 듦. 또 큰 흉년. [大睧]<대혼> 새벽. 동틀녘. [大喜]<대희> 큰 기쁨. 또는 크게 기뻐함. [大羹]<태갱> 양념을 하지 아니한 고깃국. [大羹不和]<태갱불화> 태갱에는 양념을 하지않음. 사람에게질소(質素)한 마음을 기르기 위해서임. [大廟]<태묘> 종묘(宗廟). [大儀]<태의> 중대한 의식(儀式). 대전(大典).
저장형식
Text
HTML
HTML + BR
패스워드
Copyright(c) 한자박사. All rights reserved.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