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획(總劃)
제 목
E-Mail
내 용
*<font color="blue" size="5">【郊】</font>(성 밖 교) 총9획:邑-6획,〔肴〕 (中) jiāo (日) こう (英) suburb ▣ 字解(자해) ▣ 1. 성 밖. 不出國郊<呂氏春秋> 2. 국경. 軍於邯鄲之郊<戰國策> 3. 끝. 가장자리. 同人于郊<易經> 4. 들. 전야(田野). 悉爲農郊<司馬相如> 5. 시골. 回頭梁楚郊 永與中原隔<蘇軾> 6. 하늘과 땅에 지내는 제사. 昔者周公郊祀后稷以配天<孝經> 7. 지방관(地方官). 郊野載旐<周禮> 8. 땅 이름. 춘추 시대 진(晋)의 땅. ▣ 用例(용례) ▣ [郊歌]<교가> 교사(郊祀) 때 부르는 노래. [郊坰]<교경> 교외(郊外). [郊關]<교관> 교외(郊外)에 있는 관문(關門). [郊圻]<교기> 성읍(城邑)의 경계. [郊畿]<교기> 교기(郊圻). [郊壇]<교단> 천자가 교사(郊祀)를 지내던 단. 교구(郊丘). 원구(圜丘). 태단(泰壇). [郊勞]<교로> 교외까지 마중 나가서 위로함. [郊里]<교리> 마을. 읍리(邑里). [郊陌]<교맥> 시골의 길. [郊保]<교보> 교외의 작은 성. [郊祀]<교사> 천자가 도성 밖에서 하늘ㆍ땅에 올리는 제사. 동지(冬至)에는 하늘에, 하지에는 땅에 제사를 지냈음. 교제(郊祭). 교사(郊社). [郊社]<교사> 천지(天地)의 제사. 사(社)는 지신(地神)에 지내는 제사. [郊使]<교사> 교외까지 마중 나오는 사신(使臣). [郊射]<교사> 교외에서 사례(射禮)를 행함. [郊祀歌]<교사가> 한문제(漢武帝)가 교사(郊祀)의 예(禮)를 정하고, 악부(樂府)를 세워, 이연년(李延年)으로 협률랑(協律郞)을 삼고 만들어 내게 한 19장(章)의 노래. [郊墅]<교서> 시골에 있는 별장. [郊送]<교송> 교외까지 배웅함. [郊遂]<교수> 교외의 땅. 국도(國都) 밖을 ‘교(郊)’라 하고, 교(郊) 밖을 ‘수(遂)’라 함. [郊野]<교야> 교외의 들. [郊驛]<교역> 서울 교외에 있는 역참(驛站). [郊迎]<교영> 교외나 성문 밖에 나가서 맞이함. [郊外]<교외> 들 밖. 시가(市街) 밖. 성문(城門) 밖. [郊原]<교원> 도시의 주변에 있는 들. [郊囿]<교유> 성밖의 금수(禽獸)를 기르는 동산. [郊甸]<교전> 국도(國都)에 가까운 시골. [郊戰]<교전> 교외에서 싸움. 국도(國都)에 가까운 들에서 싸움. [郊餞]<교전> 교외나 성문 밖에 나가서 사람을 전송함. [郊祭]<교제> 천지(天地)에의 제사. 동지(冬至)에는 남교(南郊)에서 하늘에 제사지내고, 하지(夏至)에는 북교(北郊)에서 땅에 제사지냄. 교사(郊祀). [郊兆]<교조> 교외(郊外)의 하늘을 제사지내는 곳. [郊次]<교차> ①교외에서 숙박함. 또, 교외에서 숙박하며 사람을 기다림. ②교외에 있는 숙사(宿舍). [郊天]<교천> 임금이 천신에게 제사(祭祀)를 지냄. [郊禘]<교체> 천자(天子)가 천지를 제사지내는 교(郊) 제사와 조상을 하늘에 배(配)하여 제사지내는 체(禘)제사. [郊墟]<교허> 마을 가까이에 있는 들과 언덕. [郊寰]<교환> 도읍의 외곽(外廓).
저장형식
Text
HTML
HTML + BR
패스워드
Copyright(c) 한자박사. All rights reserved.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