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획(總劃)
제 목
E-Mail
내 용
*<font color="blue" size="5">【記】</font>(적을 기) 총10획:言-3획,〔寘〕 (中) jì (日) き(シルス) (英) record ▣ 字解(자해) ▣ 1. 적다. 기록함. 門人記之也<大學> 2. 외다. 기억함. 撻以記之<書經> 3. 문서(文書). ① 일의 내력을 적은 문서. 記曰 脣亡則齒寒<公羊傳> ② 교서(敎書). 웃관서에서 내린 문서. 受記考事<漢書> ③ 상주(上奏)하는 글. 주장(奏狀). 前後十餘通記<後漢書> 4. 주해(注解). 경서(經書)의 주해. 孔子所定謂之經 弟子所釋謂之傳 或謂之記<經學歷史> 5. 문체(文體)의 한 가지. 사실대로 적는 글. 기사(紀事), 지(志), 술(述) 따위. 6. 도장(圖章). 인장. 鑄銅記給之<宋史> 7. 발어사(發語辭). ▣ 用例(용례) ▣ [記功]<기공> 공훈의 사적을 기록함. [記念]<기념> 어떤 뜻 깊은 일이나 훌륭한 인물 등을 오래도록 잊지 아니하고 마음에 간직함. [記念碑]<기념비> 어떤 뜻 깊은 일이나 훌륭한 인물 등을 오래도록 잊지 아니하고 마음에 간직하기 위하여 세운 비. [記得]<기득> 기억(記憶)함. 득(得)은 조자(助字). [記覽]<기람> 견문(見聞)을 넓혀 사물을 많이 기억하는 일. 실용(實用)을 떠난 학문의 뜻으로 쓰임. [記錄]<기록> ①주로 후일에 남길 목적으로 어떤 사실을 적음. 또는 그런 글. ②운동 경기 따위에서 세운 성적이나 결과를 수치로 나타냄. 특히, 그 성적이나 결과의 가장 높은 수준을 이름. [記末]<기말>《韓》편지를 쓸 때 자기보다 지위가 낮은 사람에게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말. 기하(記下). [記名]<기명> ①이름을 기억함. ②이름을 적음. [記問之學]<기문지학> 단순히 책을 읽거나 외기만 할 뿐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학문. [記府]<기부> 기록을 보관하는 창고. [記簿]<기부> 장부(帳簿). 노트. [記事]<기사> ①사실을 적음. 또는 그런 글. ②신문이나 잡지 따위에서, 어떠한 사실을 알리는 글. [記寫]<기사> 베낌. 씀. [記事本末]<기사본말> 역사의 한 체(體). 연월일의 순서를 따르지 아니하고 한 사건마다 그 전 말을 적은 것. [記性]<기성> 사물을 기억하는 능력. [記誦]<기송> 기억하여 외어 읽음. [記述]<기술> 대상이나 과정의 내용과 특징을 있는 그대로 열거하거나 기록하여 서술함. 또는 그런 기록. [記憶]<기억> 마음 속에 간직하여 잊지 아니함. [記憶喪失]<기억상실> 자기와 관계 깊은 어떤 사실이나 어떤 시간 내에 있었던 일이 생각나지 않게 되는 일. [記入]<기입> 수첩이나 문서 따위에 적어 넣음. [記者]<기자> ①문서를 기초하는 사람. ②신문ㆍ잡지 따위의 기사를 취재, 집필, 편집하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 [記帳]<기장> 장부에 적어 넣음. 치부(置簿)함. [記章]<기장> 어떤 일을 기념하는 뜻을 표시한 휘장. 기념장(記念章). [記載]<기재> 문서 따위에 기록하여 올림. [記傳]<기전> 역사(曆史) 및 전기(傳記). [記號]<기호> 어떠한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쓰이는 부호, 문자, 표지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저장형식
Text
HTML
HTML + BR
패스워드
Copyright(c) 한자박사. All rights reserved.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