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획(總劃)
제 목
E-Mail
내 용
*<font color="blue" size="5">【觀】</font>(볼 관) 총25획:見-18획,〔㈠寒,㈡翰〕 (中) guān,guàn (日) かん(ミル) (英) observe ▣ 字解(자해) ▣ ㈠ 관 1. 보다. ① 살펴보다. 予欲觀古人之象<書經> ② 점쳐 보다. 觀成潢<漢書> ③ 바라보다. 諸將皆從壁上觀<史記> ④ 쳐다보다. ⑤ 거울삼다. 본받음. 書而不法 後嗣何觀<左傳> ⑥ 널리 보다. 觀其所由<論語> 2. 눈. 또는, 시선(視線). 坐者皆屬觀<後漢書> 3. 유람(遊覽)하다. 吾何修而可以比於先王觀也<孟子> 4. 사고력(思考力). 판단 능력. 5. 체계화한 견해. 正觀不起況邪觀<范成大> 人生觀. 6. 사념(思念)하다. 고구(考究)함. 萬物靜觀皆自得 四時佳興與人同<程顥> ㈡ 관 1. 나타내다. 밝힘. 以觀欲天下<漢書> 2. 보이다. 나타내 보임. 嘉量旣成 以觀四國<周禮> 3. 드러내다. 명시함. 以觀欲天下<漢書> 4. 볼품. 외관. 上用目則下飾觀<韓非子> 5. 경관. 경치. 背湖山之觀 而行桑麻之野<蘇軾> 6. 모양. 의용. 習容觀玉聲<禮記> 7. 양관(兩觀). 궁문(宮門) 좌우에 있는 높은 대(臺). 8. 누각. 망루. 宮室不觀<左傳> 9. 촉루대(髑髏臺). 시체를 한데 쌓고 흙으로 덮어 둔 무덤. 收晋戶 以爲京觀<左傳> 10. 도관(道觀). 선인(仙人)이나 도사(道士)가 수도하는 곳. 上寺留便二十一 上觀道士十四<唐書> 11. 관괘(卦). 64괘의 하나. 곤하 손상(坤下巽上). 내순 외손(內順外遜)의 상(象). 12. 많다. 貫과 通함. 遹觀厥成<詩經> 13. 황새. 鸛과 通함. 觀雀蚊虻<莊子> ▣ 用例(용례) ▣ [觀感]<관감> 눈으로 보고 마음으로 느낌. 또는 그런 것. [觀感興起]<관감흥기> 눈으로 보고 감동하여 분기(奮起)함. [觀客]<관객> 공연 따위를 구경하는 사람. [觀經]<관경>《佛》경문(經文)을 읽음. [觀過知仁]<관과지인> 어진 사람의 과오는 너무 후(厚)한 데서 오고 어질지 않은 사람의 과오는 너무 박(薄)한 데서 온다는 뜻으로, 과오를 저지른 과정을 보고 그 사람의 어질고 어질지 않음을 알 수 있음을 이르는 말. [觀光]<관광> 다른 지방이나 다른 나라에 가서 그곳의 풍경, 풍습, 문물 따위를 구경함. [觀闕]<관궐> 누문(樓門). 또는, 궁성의 문. [觀闕之誅]<관궐지주> 공자(孔子)가 노(魯)나라의 사구(司寇)가 되어, 정치를 문란케 한대부(大夫) 소정묘(少正卯)를 관궐 옆에서 벤 고사(故事). 전(轉)하여, 부정한 공경대부가 주륙(誅戮)당하는 일. [觀念]<관념> ①어떤 일에 대한 견해나 생각. . ②현실에 의하지 않는 추상적이고 공상적인 생각. [觀念論]<관념론> 정신, 이성, 이념 따위를 본질적인 것으로 보고, 이것으로 물질적 현상을 밝히려는 이론. 형이상학에서는 유심론, 인생관ㆍ세계관에서는 이상주의라 하며, 주관적 관념론, 객관적 관념론, 선험적 관념론 따위가 있음. [觀得]<관득> ① 잘 보고 이해함. ②신심(信心)이 두터워서, 신불(神佛)이 기원을 받아들 임. [觀燈]<관등> 초파일이나 절의 주요 행사 때에 등대를 세우고 온갖 등을 달아 불을 밝히는 일. [觀樂]<관락> 구경하며 즐김. [觀覽]<관람> 연극, 영화, 운동 경기, 미술품 따위를 구경함. [觀蓮節]<관련절> 음력 6월 24일. [觀望]<관망> 한발 물러나서 어떤 일이 되어 가는 형편을 바라봄, 풍경 따위를 멀리서 바라봄. [觀廡]<관무> 누각(樓閣). [觀榜]<관방> 방문(榜文)을 봄. 시험 성적에 게시(揭示)를 봄. [灌法]<관법> ①법(法)을 환희 관찰함. ②《佛》진리를 관념(觀念)하는 일. [觀兵]<관병> ①군대의 위세를 보임. ②군대를 정렬시키고 사열함. [觀相]<관상> 수명이나 운명 따위와 관련이 있다고 믿는 사람의 생김새, 얼굴 모습. 또는 사람의 얼굴을 보고 그의 운명, 성격, 수명 따위를 판단하는 일. [觀象]<관상> 천문(天文)이나 기상(氣象)을 관측하는 일. [觀賞]<관상> 취미에 맞는 동식물 따위를 보면서 즐김. [觀象臺]<관상대> 천체(天體)를 관측(觀測)하는 곳. 천문대(天文臺). [觀世音]<관세음>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觀世音菩薩]<관세음보살> 아미타불의 왼편에서 교화를 돕는 보살. 사보살의 하나임. 세상의 소리를 들어 알 수 있는 보살이므로 중생이 고통 가운데 열심히 이 이름을 외면 도움을 받게 됨. [觀示]<관시> 보임. [觀視]<관시> ①분명하게 봄. ②가리킴. 보임. [觀往知來]<관왕지래> 과거를 회고(回顧)하고 장래(將來)를 추찰(推察)함. [觀魏]<관위> 궁문(宮門)의 누관(樓觀). [觀音]<관음>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觀音堂]<관음당> 관세음보살을 모신 당우(堂宇). [觀音菩薩]<관음보살>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觀者如堵]<관자여도> 구경하는 사람이 대단히 많아 마치 담을 친 것 같아 보임. [觀自在]<관자재> 마음이 맑고 보는 데 걸림이 없음. [觀戰]<관전> 싸움을 바라봄. [觀照]<관조> 고요한 마음으로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하거나 비추어 봄 [觀潮會]<관조회> 조수(潮水)를 보는 모임. [觀衆]<관중> 연극이나 운동 경기 따위를 구경하는 무리. [觀察]<관찰> 사물을 자세히 살펴 앎. [觀察使]<관찰사> 고려 시대에, 주(州)와 부(府)에 둔 벼슬. 성종 때 두었다가 목종 때 없앰. [觀廳]<관청> ①봄과 들음. ②구경하는 사람. [觀測]<관측> ①천문을 관찰하여 천체의 변화 운행 등을 측량함. ②사물을 살펴 헤어림. [觀風]<관풍> 타국의 풍속과 인정을 관찰함. [觀海]<관해> 바다를 본다는 뜻으로, 견문과 학식이 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觀形察色]<관형찰색> 얼굴빛을 살펴봄. [觀花]<관화> 꽃구경. [觀釁]<관흔> 적(敵)의 틈을 엿봄. 틈을 타려고 기회를 기다림. [觀釁而動]<관흔이동> 적군(敵軍)의 틈을 보아 아군(我軍)의 병사(兵士)를 움직임.
저장형식
Text
HTML
HTML + BR
패스워드
Copyright(c) 한자박사. All rights reserved.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