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획(總劃)
제 목
E-Mail
내 용
*<font color="blue" size="5">【蒙】</font>(입을 몽) 총14획:艸-10획,〔東〕 (中) méng,mēng (日) とう(コウムル), もう, ぼう ▣ 字解(자해) ▣ 1. 입다. 입힘. 冡과 通함. ① 덮다. 蒙被縐絺<詩經> ② 싸다. 以幕蒙之<左傳> ③ 받다. 今日所蒙 稽古之力也<後漢書> ④ 쓰다. 입음. 間蒙甲胄<國語> 2. 숨기다. 常蒙其罪<漢書> 3. 덮개. 덮어씀. 蒙塵. 至說公孫弘等 如發蒙耳<漢書> 4. 무릅 쓰다. 冒와 通함. 雖有患禍 猶蒙死而存之<漢書> 5. 어지럽히다. 질서를 흐트림. 蒙者 君臣上下相冒亂也<後漢書> 6. 흐트러진 모양. 尨과 通함. 7. 섞이다. 蒙伐有苑<詩經> 8. 만나다. 逢과 通함. 以蒙大難<易經> 9. 속이다. 上下相蒙<左傳> 10. 어리석다. 어두움. 蒙昧. 11. 어리석은 사람. 12. 어린이. 童蒙求我<易經> 13. 어린 모양. 物生必蒙<易經> 14. 싹이 트다. 萌과 通함. 15. 이다. 치켜 듦. 捫과 通함. 籧篨蒙璆<國語> 16. 기운. 기(氣)의 모양. 蒙之比也<後漢書> 17. 저. 자기의 겸칭. 蒙竊惑焉<張衡> 18. 몽괘(卦). 감하 간상(坎下艮上). 사물이 희미하여 밝지 아니한 상(象). 19. 새삼. 토사(菟絲). 여라(女蘿)의 이칭. 20. 어둡다. 濛과 通함. 21. 안개. 霧와 通함. 22. 땅 이름. 노(魯)의 고을. 산동성(山東省)에 있음. 公會齊侯盟于蒙<左傳> 23. 나라 이름. 몽고(蒙古)의 약칭. 24. 성(姓). ▣ 用例(용례) ▣ [蒙古]<몽고> ①서기 13세기에 흑룡강(黑龍江)의 상류에서 일어나 유럽과 아시아 두 대륙을 석권(席卷)하여 전고 무비(前古無比)의 대제국을 창건한 부족. ②중국 북부의 북쪽, 만주의 서쪽, 시베리아의 남쪽, 신강성(新疆省)의 동쪽에 있는 땅. ‘몽고’란 명칭은, 실상은 중국이 몽골을 경멸하여 ‘어리석고 낡았다.’는 뜻으로 붙인 음표(音標) 명칭임. [蒙固]<몽고> 어리석고 고집(固執)이 셈. [蒙古班]<몽고반> 동양(東洋) 사람들에게 흔한 데, 어린애의 허리나 엉덩이에 생겼다가 자라면서 없어지는 푸른빛의 큰 얼룩점. [蒙古風]<몽고풍> 몽고의 풍속(風俗)이나 격식(格式). 몽고의 고비사막(沙漠)으로부터 만주(滿洲)와 중국(中國) 북쪽으로 세게 부는 건조(乾燥)한 바람. 몽고바람. [蒙卦]<몽괘> 육십사(六十四) 괘(卦)의 하나. 간괘(艮卦)에 감괘(坎卦)가 거듭된 것으로 산 밑에 샘이 남을 상징(象徵)함. [蒙求]<몽구> ①몽매한 사람이 나에게 의문을 풀어 줄 것을 바람. 동몽구아(童蒙求我). ②중국(中國) 당(唐)나라의 이한(李瀚)이 어린 아이들의 학습(學習)에 편리(便利)하도록 경사(經史) 속에서 고인의 사적을 뽑아 엮은 책. 고대(古代)에서 남북조(南北朝)까지의 유명(有名)한 사람의 엇비슷한 언행(言行)을 둘씩 짝지어 배열(配列)해서 4자구의 운어(韻語)로 기록(記錄)하였음. 모두 3권. [蒙棘]<몽극> 매우 무성하게 자란 가시. [蒙頭]<몽두> 조선 시대에, 죄인을 잡아 올 때 죄인의 얼굴을 싸서 가리던 물건. 중죄인을 잡아 올 때만 사용하였는데, 원래는 쇠로 만든 항아리 모양의 것을 씌웠으나 뒤에는 죄인의 도포 소매를 잘라서 사용하였음. [蒙絡]<몽락> 덩굴이 덮이고 얽힘. [蒙利]<몽리> ①이익을 얻음. 또는 덕을 봄. ②저수지, 보(洑) 따위의 수리 시설에 의하여 물을 받음. [蒙吏]<몽리> 장주(莊周)를 이름. 그가 몽읍(蒙邑)의 관리로 있었으므로 이름. 몽장(蒙莊). [蒙網捉魚]<몽망착어> 그물을 쓰고 고기를 잡는다는 뜻으로, 그물을 물에 던져야 고기가 걸리는 법인 데, 그물을 머리에 쓰고서도 고기가 걸리는 법인 데, 그물을 머리에 쓰고서도 고기가 잡힌다는 것이니, 요행(僥倖)히 운이 좋았음을 이르는 말. [蒙昧]<몽매> 어리석고 사리에 어두움. 우매(愚昧). 완매(頑昧). [蒙命]<몽명> 명령을 받음. [蒙蒙]<몽몽> ①어두운 모양. ②성(盛)한 모양. [蒙民]<몽민> 무식(無識)하고 사리(事理)에 어두운 백성(百姓). [蒙密]<몽밀> 초목(草木)이 빽빽이 들어서고 무성한 모양. [蒙放]<몽방> 죄인이 풀려 남. [蒙批]<몽비> 상소(上疏)에 대한 임금의 비답을 받음. [蒙士]<몽사> 몽매(蒙昧)한 선비. [蒙死]<몽사> 죽음을 무릅씀. [蒙喪]<몽상> 부모상을 당하고 상복을 입음. [蒙叟]<몽수> 장자(莊子)의 딴 이름. 몽(蒙)은 장자의 출생지, 수(叟)는 장로(長老). [蒙首]<몽수> 부녀자(婦女子)가 외출(外出)할 때 남에게 얼굴을 보이지 않게 하려고 덮어쓰던 것. [蒙騃]<몽애> 사리에 어둡고 철이 없음. 미거(未擧). [蒙然]<몽연> 어두운 모양. 환하지 아니한 모양. [蒙恬]<몽염> 진(秦)나라 때의 장군. 군사 30만은 거느리고 나아가서 흉노(匈奴)를 무찌르고 장성(長城)을 쌓았음. 처음으로 붓(筆)을 만들었음. [蒙茸]<몽용> ①풀 따위가 더부룩하게 난 모양. 또는 그 풀. ②질서 없이 뒤섞여 달리거나 나는 모양. [蒙幼]<몽유> 어림. 유소(幼少). [蒙宥]<몽유> 몽방(蒙放). [蒙幼未知]<몽유미지> 철이 없는 어린아이는 알지 못한다는 말. [蒙戎]<몽융> 몽용(蒙茸). [蒙恩]<몽은> 은덕을 입음. [蒙耳]<몽이> 귀를 막고 듣지 아니함. [蒙莊]<몽장> 몽리(蒙吏). [蒙塵]<몽진> ①먼지를 덮어씀. ②임금이 난리를 만나 궁궐 밖의 다른 곳으로 피신하는 일. 평상시와 같이 깨끗이 청소한 다음 거둥하지 못하고 먼지를 뒤집어 쓰며 간다는 뜻. [蒙衝]<몽충> ‘몽충(艨衝)’과 같음. [蒙稚]<몽치> 몽유(蒙幼). [蒙蔽]<몽폐> 덮어 감춤. [蒙被]<몽피> 받음. 입음. [蒙學]<몽학> ①어린애의 공부. ②몽골어를 연구하는 학문. [蒙學訓長]<몽학훈장> 어린아이나 가르칠 훈장. 蒙學은 小學. [蒙惠]<몽혜> 은혜(恩惠)를 입음. [蒙禍]<몽화> 화를 입음.
저장형식
Text
HTML
HTML + BR
패스워드
Copyright(c) 한자박사. All rights reserved. 1999